본문내용
떤 회사도 나를 받아주는 곳이 없다. 나는 무능력한 사람이다. 죽고만 싶다."라고 자주 말해왔으며, 그의 부인의 말에 따르면 실직당한 후에 방안에서 잘 나오려고 하지도 않고, 식욕도 없다고 식사를 거르는 때가 많았다고 한다. 또한 세수도 안하고 옷도 잘 안갈아입고 우울한 표정으로 있을 때가 많다고 했다. 최근에는 일기장에 "나는 쓸모없는 사람이다"며 자살하고 싶다는 내용을 거의 매일 썼으며, 남몰래 유언장을 작성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러한 이상행동이 점점 악화되고, 불면증에 시달려서 입원하게 되었다.
Ⅲ. 간호과정
1. 순위별 간호진단
1) 실직경험과 관련된 절망감
2) 실직으로 인한 자존감저하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2. 간호과정
1) 실직경험과 관련된 절망감 사 정
진 단
계 획
중 재 (수 행)
평 가
<주관적자료>
1. "어떤 회사도 나를 받아주는 곳이 없어요."
2. "전 정말 무능력한 사람인가봐요..."
3. "죽고싶어요"
<객관적자료>
1. 우울한 표정 계속 짓고
있음
2. 침대에서 나오려고 하 지 않음
3. 일기장에 자신이 한심 하다며 자살하고 싶다 는 내용을 씀
4. 모든 일에 무기력함
“절망감”
-NANDA-
*정의: 개인이 선택의 여지가 제한되었다거나 없다고 느끼는 주관적인 상태로서, 자신을 위해 에너지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
* Expected Outcome *
(Client Goal)
1. 대상자는 치료적인 환경에서 자신의 감정(절망감, 무력감 등)을 인식하고 언어적으로 표현할 것이다.
2. 대상자는 자아가치감과 관련된 감정을 표현할 것이다.
① 대상자와 함께 시간을 보내며 지지적 동반자 관계를 통해 라포를 형성한다.
② 대상자의 우울원인 및 양상에 대해 표현하게 하고, 대상자의 말을 적극적으로 경청한다.
③ 대상자의 절망감을 인식하면서 회복할 수 있다는 희망감을 전달한다.
④ 대상자를 수용하면서 대상자의 자기가치감을 증진시킨다.
⑤ 대상자에게 자기표현기술을 교육한다.
⑥ 대상자의 부정적 사고가 긍정적 사고로 바뀌도록 격려한다.
⑦ 비슷한 문제가 있는 타인과 만나게 해줌으로써 대상자의 무력감, 절망감 을 완화한다.
⑧ 대상자가 우울감, 절망감 때문에 자살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1:1관찰 및 간호를 수행한다.
⑨ 대상자에게 오락요법, 작업요법을 실시하여 우울한 기분이 들지 않도록 하며, 칭찬을 함으로써 대상자의 가치를 증진시킨다.
* 평가 *
① 대상자는 우울한 기분이 감소했다고 말한다.
② 대상자는 부정적인 사고에서 긍정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 된다.
③ 대상자는 자살과 같은 극단적인 행동을 취하지 않는다.
④ 대상자는 자신의 가치감을 인식하게 된다.
실직경험과 관련된 절망감
2) 실직으로 인한 자존감저하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사 정
진 단
계 획
중 재 (수 행)
평 가
<주관적자료>
1. (보호자) "식욕없다면서 밥도 잘 안먹어요."
2. "실직한 이후로 밤에 잠을 잘 못자요."
<객관적자료>
1. 체중이 감소함
(입원전 : 72kg-> 입원후
: 66kg)
2. 옷을 잘 갈아입지 않음
3. 세수를 안함
4. 불면증에 시달림
(평균수면시간: 2시간반)
“자가간호결핍”
* Expected Outcome *
(Client Goal)
1. 대상자는 불면증에 시달리지 않고 충분한수면을 취할 것이다.
2. 대상자는 적절한 자가관리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3. 대상자는 규칙적으로
식사를 할 것이다.
① 대상자의 수면양상을 파악한다.
② 대상자의 불면증의 원인을 파악하고, 올바른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한다.(온화한 조명, 소음 감소, 단순한 장식)
③ 대상자의 영양섭취를 관찰하고 I&O를 기록한다.
④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식을 준비하여 소량씩 자주준다.
⑤ 모양이나 색이 예쁜 그릇을 사용하여 맛있는 냄새로 식욕을 자극한다.
⑥ 대상자에게 목욕과 적절한 옷차림을 선택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⑦ 대상자가 스스로 할 수 있는 개인위생을 지지한다.
⑧ 대상자에게 낮에는 활동적인 운동을 하도록 권장한다.
⑨ 대상자의 청결한모습과 행위에 대해 즉시 알아차려서 칭찬한다.
* 평가 *
① 대상자의 수면시간은 증가한다.
② 대상자의 자가관리능력이 향상된다.
③ 대상자는 규칙적으로 식사를 할 수 있게 되고, 체중이 증가한다.
실직으로 인한 자존감저하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 참고문헌 ▨
원리 및 실무 중신의 정신간호학, 현문사, 2009, 김수지 외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수업자료 유인물
Ⅲ. 간호과정
1. 순위별 간호진단
1) 실직경험과 관련된 절망감
2) 실직으로 인한 자존감저하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2. 간호과정
1) 실직경험과 관련된 절망감 사 정
진 단
계 획
중 재 (수 행)
평 가
<주관적자료>
1. "어떤 회사도 나를 받아주는 곳이 없어요."
2. "전 정말 무능력한 사람인가봐요..."
3. "죽고싶어요"
<객관적자료>
1. 우울한 표정 계속 짓고
있음
2. 침대에서 나오려고 하 지 않음
3. 일기장에 자신이 한심 하다며 자살하고 싶다 는 내용을 씀
4. 모든 일에 무기력함
“절망감”
-NANDA-
*정의: 개인이 선택의 여지가 제한되었다거나 없다고 느끼는 주관적인 상태로서, 자신을 위해 에너지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
* Expected Outcome *
(Client Goal)
1. 대상자는 치료적인 환경에서 자신의 감정(절망감, 무력감 등)을 인식하고 언어적으로 표현할 것이다.
2. 대상자는 자아가치감과 관련된 감정을 표현할 것이다.
① 대상자와 함께 시간을 보내며 지지적 동반자 관계를 통해 라포를 형성한다.
② 대상자의 우울원인 및 양상에 대해 표현하게 하고, 대상자의 말을 적극적으로 경청한다.
③ 대상자의 절망감을 인식하면서 회복할 수 있다는 희망감을 전달한다.
④ 대상자를 수용하면서 대상자의 자기가치감을 증진시킨다.
⑤ 대상자에게 자기표현기술을 교육한다.
⑥ 대상자의 부정적 사고가 긍정적 사고로 바뀌도록 격려한다.
⑦ 비슷한 문제가 있는 타인과 만나게 해줌으로써 대상자의 무력감, 절망감 을 완화한다.
⑧ 대상자가 우울감, 절망감 때문에 자살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1:1관찰 및 간호를 수행한다.
⑨ 대상자에게 오락요법, 작업요법을 실시하여 우울한 기분이 들지 않도록 하며, 칭찬을 함으로써 대상자의 가치를 증진시킨다.
* 평가 *
① 대상자는 우울한 기분이 감소했다고 말한다.
② 대상자는 부정적인 사고에서 긍정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 된다.
③ 대상자는 자살과 같은 극단적인 행동을 취하지 않는다.
④ 대상자는 자신의 가치감을 인식하게 된다.
실직경험과 관련된 절망감
2) 실직으로 인한 자존감저하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사 정
진 단
계 획
중 재 (수 행)
평 가
<주관적자료>
1. (보호자) "식욕없다면서 밥도 잘 안먹어요."
2. "실직한 이후로 밤에 잠을 잘 못자요."
<객관적자료>
1. 체중이 감소함
(입원전 : 72kg-> 입원후
: 66kg)
2. 옷을 잘 갈아입지 않음
3. 세수를 안함
4. 불면증에 시달림
(평균수면시간: 2시간반)
“자가간호결핍”
* Expected Outcome *
(Client Goal)
1. 대상자는 불면증에 시달리지 않고 충분한수면을 취할 것이다.
2. 대상자는 적절한 자가관리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3. 대상자는 규칙적으로
식사를 할 것이다.
① 대상자의 수면양상을 파악한다.
② 대상자의 불면증의 원인을 파악하고, 올바른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한다.(온화한 조명, 소음 감소, 단순한 장식)
③ 대상자의 영양섭취를 관찰하고 I&O를 기록한다.
④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식을 준비하여 소량씩 자주준다.
⑤ 모양이나 색이 예쁜 그릇을 사용하여 맛있는 냄새로 식욕을 자극한다.
⑥ 대상자에게 목욕과 적절한 옷차림을 선택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⑦ 대상자가 스스로 할 수 있는 개인위생을 지지한다.
⑧ 대상자에게 낮에는 활동적인 운동을 하도록 권장한다.
⑨ 대상자의 청결한모습과 행위에 대해 즉시 알아차려서 칭찬한다.
* 평가 *
① 대상자의 수면시간은 증가한다.
② 대상자의 자가관리능력이 향상된다.
③ 대상자는 규칙적으로 식사를 할 수 있게 되고, 체중이 증가한다.
실직으로 인한 자존감저하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 참고문헌 ▨
원리 및 실무 중신의 정신간호학, 현문사, 2009, 김수지 외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수업자료 유인물
추천자료
우울증 사례연구
우울증에 대한 조사와 사례연구
정신간호 우울증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사례연구
우울증 사례 연구
사례연구 - 산후우울증
Dual Diagnosis Disorders(이중진단장애) 개입실천을 바탕으로 한 사례연구
정동 장애(우울증)의 이론과 치료 및 사례연구
[행정사례연구 3공통]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갈등사례를 선택하여 사례일...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위기개입이론을 적용한 사례연구 (위기개입 모델의 등...
행정사례연구 = 1) 게임 문화 사진 영화 음악 스포츠 등의 사례들 중 하나의 사례를 선택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