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대상자 건강상태 사정기록지
1. 간호사정
2. 대상자의 건강력
3. 문헌고찰
4. 진단검사((혈액검사, 소변검사, 대변검사)
5. 진단검사
6. 수액 및 약물보고서(order sheet)
7. 각종 Sheet
Ⅱ. 간호과정
1. 간호문제 목록 작성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참고문헌
1. 간호사정
2. 대상자의 건강력
3. 문헌고찰
4. 진단검사((혈액검사, 소변검사, 대변검사)
5. 진단검사
6. 수액 및 약물보고서(order sheet)
7. 각종 Sheet
Ⅱ. 간호과정
1. 간호문제 목록 작성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슐린과 함께 투여
구강투여 통한 영양소를 함께 제공하도록 한다.
치료 및 검사 치료 및 검사
목적
준비 및 방법
결과
동맥혈 가스분석 검사
ABGA
호흡 기능의 파악 목적
동맥혈의 ph, 탄산가스분압, 산소분압을 측정하여 체액 ph의 항상성, 산/염기 평형상태를 판정하고 PO₂와 PCO₂를 측정하여 폐에서의 가스교환상태를 판정한다.
동맥 방향과 needle의 방향을 같게 찌른다. 혈액물을 체취 해서 전용용기에 혈액을 담아 검사실로 이동시켜서 검사한다.
ABGA
진단검사
결과치
참고치
Pco2
37mmHg
35~45
Po2
48mmHg
80~100
pH
7.32
7.35~7.45
Hco3
18mmol/L
22~26
2017.6.5
C단백질 반응성 단백 시험
CRP
감염성 질환이나 자가 면역질환의 진단, 경과 관찰에 이용한다.
채혈 전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고 채혈한 검체를 가지고 검사실에서 면역검사를 이용하여 C 반응성 단백을 측정한다.
항목
6.5
6.7
CRP
9.3↑
6↑
염증 반응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적혈구 침강 속도
ESR
적혈구의 침강속도를 보고 판단하는 검사이며 면역질환, 감염 및 염증 질환, 악성 및 외상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을 진단할 때 사용한다.
특별한 준비사항 없이 소량을 채혈하고 검사실에서 검사를 한다.
항목
6.5
6.7
ESR
60↑
51↑
염증 반응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 혈액 검사
CBC
검사를 통해 혈액 내 존재하는 세포를 확인하여 질환의 진단, 치료 및 추적 관찰을 할 때 사용한다.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으며 검사용 용기에 소량 채혈하면 된다.
혈구의 수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 혈액을 적절하게 희석한 후에 일정 용적 내의 각각의 혈구 세포수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자동 혈구 분석기가 널리 쓰이고 있다.
아래 혈액검사
생화학 검사
질병의 진단, 경과, 예후 등의 변이를 파악할 수가 있고, 결과를 확인하여 간, 신등의 중요한 장기의 기능을 알 수 있고 더 나아가 영양상태등의 전신상태의 판정 할 수 있다.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으며 검사용 용기에 소량 채혈하면 된다.
혈구의 수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 혈액을 적절하게 희석한 후에 일정 용적 내의 각각의 혈구 세포수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자동 혈구 분석기가 널리 쓰이고 있다.
아래 생화학검사
혈액 배양 검사
패혈증이나 균혈증이 의심되는 환자의 원인균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진단할 때 시행한다.
혈액을 무균적으로 채취한다.
이 혈액 검체를 배지에 섞어서 배양해서 확인한다.
검사 결과 그람 음성균으로 확인됨.
혈액 응고 검사
혈소판이나 응고인자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행한다.
검사 부위를 소독하고 소독솜이 다 마른 뒤 그 부위를 찌르거나 절개한 뒤 혈액이 흘러나오는 것을 관찰하고 30초마다 여과지를 출혈부위에 접촉시킨다. 완전히 지혈되서 혈반점이 찍히지 않을 때 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검사 결과 PT시간이 연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목
정상수치
6.5
6.7
검사목적&해석
WBC
3.80~10.58
10^3/㎕
23.24↑
18.24↑
H: 감염성 질환
L: aplasticanemia,agranulocytosis
RBC
4.2~5.59
10^6/㎕
4.47
4.26
Hgb
13.6-17.4g/dL
11.1↓
12.2↓
H:만성폐색성폐질환, 울혈성심부전, 다혈구혈증, 탈수 등
L:갑상선기능항진증,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 출혈 등
Hct
40.4-51.3%
52.3↑
53.4↑
H:erythrocytosis, 탈수, 다혈구혈증, 체액손 실 등
L:갑상선기능항진증,hemolysis, anemia of pregnancy, 빈혈, 백혈병 등
MCV
85.8-98.1μ3
89.4
92.5
H:악성빈혈,엽산/비타민B12부족에 의한 빈 혈
L:소구성빈혈, 납중독, 철분결핍성빈혈, 저 색소성빈혈
MCH
28.8-33.5pg
29.1
30.2
H:대구성 빈혈
L:소구성 빈혈
MCHC
32.3-34.9g/dL
34.0
34.3
PLT
141~316
10^3/㎕
113.1↓
122.2↓
H:악성장애, 원발성 다혈구증,철분결핍성 빈혈, 류마티스성 관절염
L:출혈, 용혈성 빈혈, 악성빈혈, 감염
Lymphocyte
20~44%
47.3
33.8
Monocyte
3~13%
7.8
12.0
H:감염(결핵,말라리아 등), 단핵구성백혈병
L:약물요법, predinsone
Eosinophil
0.0~6.0%
3.7
2.2
Basophil
0~2%
0.6
0.6
ESR
0~20mm/hr
60↑
51↑
H:감염성 질환
항목
정상치
6.5
6.7
검사목적
B.U.N
10~26
mg/dl
29.3↑
31.6↑
H:신부전증, 고단백식사
L:간경화증 등 간질환시 다소 감소하나 임상적 의의 없음
Creatinine
0.6~1.2
mg/dl
0.9
1.1
Ca
8.5~10.5
mg/㎗
8.6
8.5
Na
134~146
mmol/ℓ
151↑
145
H:Sodium섭취증가,Sodium손실감소, 유리체수분과다손실
L:Sodium섭취감소, Sodium손실감소, 유리체 수분증가
K
3.9~5.9
mmol/ℓ
4.8
4.7
Cl
98~110
mmol/1ℓ
116↑
114↑
H:탈수
L:구토, 부신피질 기능저하증
A.S.T
(GOT)
10~40 U/㎗
74↑
64↑
H:급성간염, obstructive jaundice,
간질환등
A.L.T
(GPT)
6~50U/㎗
64↑
55↑
Albumin
3.6~5.4g/dl
2.8↓
3.1↓
H:shock, multiple myeloma, chronic infection
L:malnutrition, hemorrhage, loss of plasma from burns 등
Total protein
6.1~7.9
4.4↓
5.7↓
H:탈수로 인한 혈액농축이 있을 시 다소 증 가하나, 임상적의의 없고 드물게 나타나지 만 다발성 골수증 시 병적으로 증가한다.
L:영양불량, 임신, 간질환, 단백질 상실 장 병변, 과수화, 모세혈관 투과력 증가, 염증 질환, 가족성 특발성 이상단백혈증
CRP
0~0.3mg/dl
9.3↑
6↑
H: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등의 염증반응 시 증가
혈액검사 생화학검사
구강투여 통한 영양소를 함께 제공하도록 한다.
치료 및 검사 치료 및 검사
목적
준비 및 방법
결과
동맥혈 가스분석 검사
ABGA
호흡 기능의 파악 목적
동맥혈의 ph, 탄산가스분압, 산소분압을 측정하여 체액 ph의 항상성, 산/염기 평형상태를 판정하고 PO₂와 PCO₂를 측정하여 폐에서의 가스교환상태를 판정한다.
동맥 방향과 needle의 방향을 같게 찌른다. 혈액물을 체취 해서 전용용기에 혈액을 담아 검사실로 이동시켜서 검사한다.
ABGA
진단검사
결과치
참고치
Pco2
37mmHg
35~45
Po2
48mmHg
80~100
pH
7.32
7.35~7.45
Hco3
18mmol/L
22~26
2017.6.5
C단백질 반응성 단백 시험
CRP
감염성 질환이나 자가 면역질환의 진단, 경과 관찰에 이용한다.
채혈 전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고 채혈한 검체를 가지고 검사실에서 면역검사를 이용하여 C 반응성 단백을 측정한다.
항목
6.5
6.7
CRP
9.3↑
6↑
염증 반응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적혈구 침강 속도
ESR
적혈구의 침강속도를 보고 판단하는 검사이며 면역질환, 감염 및 염증 질환, 악성 및 외상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을 진단할 때 사용한다.
특별한 준비사항 없이 소량을 채혈하고 검사실에서 검사를 한다.
항목
6.5
6.7
ESR
60↑
51↑
염증 반응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 혈액 검사
CBC
검사를 통해 혈액 내 존재하는 세포를 확인하여 질환의 진단, 치료 및 추적 관찰을 할 때 사용한다.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으며 검사용 용기에 소량 채혈하면 된다.
혈구의 수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 혈액을 적절하게 희석한 후에 일정 용적 내의 각각의 혈구 세포수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자동 혈구 분석기가 널리 쓰이고 있다.
아래 혈액검사
생화학 검사
질병의 진단, 경과, 예후 등의 변이를 파악할 수가 있고, 결과를 확인하여 간, 신등의 중요한 장기의 기능을 알 수 있고 더 나아가 영양상태등의 전신상태의 판정 할 수 있다.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으며 검사용 용기에 소량 채혈하면 된다.
혈구의 수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 혈액을 적절하게 희석한 후에 일정 용적 내의 각각의 혈구 세포수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자동 혈구 분석기가 널리 쓰이고 있다.
아래 생화학검사
혈액 배양 검사
패혈증이나 균혈증이 의심되는 환자의 원인균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진단할 때 시행한다.
혈액을 무균적으로 채취한다.
이 혈액 검체를 배지에 섞어서 배양해서 확인한다.
검사 결과 그람 음성균으로 확인됨.
혈액 응고 검사
혈소판이나 응고인자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행한다.
검사 부위를 소독하고 소독솜이 다 마른 뒤 그 부위를 찌르거나 절개한 뒤 혈액이 흘러나오는 것을 관찰하고 30초마다 여과지를 출혈부위에 접촉시킨다. 완전히 지혈되서 혈반점이 찍히지 않을 때 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검사 결과 PT시간이 연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목
정상수치
6.5
6.7
검사목적&해석
WBC
3.80~10.58
10^3/㎕
23.24↑
18.24↑
H: 감염성 질환
L: aplasticanemia,agranulocytosis
RBC
4.2~5.59
10^6/㎕
4.47
4.26
Hgb
13.6-17.4g/dL
11.1↓
12.2↓
H:만성폐색성폐질환, 울혈성심부전, 다혈구혈증, 탈수 등
L:갑상선기능항진증,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 출혈 등
Hct
40.4-51.3%
52.3↑
53.4↑
H:erythrocytosis, 탈수, 다혈구혈증, 체액손 실 등
L:갑상선기능항진증,hemolysis, anemia of pregnancy, 빈혈, 백혈병 등
MCV
85.8-98.1μ3
89.4
92.5
H:악성빈혈,엽산/비타민B12부족에 의한 빈 혈
L:소구성빈혈, 납중독, 철분결핍성빈혈, 저 색소성빈혈
MCH
28.8-33.5pg
29.1
30.2
H:대구성 빈혈
L:소구성 빈혈
MCHC
32.3-34.9g/dL
34.0
34.3
PLT
141~316
10^3/㎕
113.1↓
122.2↓
H:악성장애, 원발성 다혈구증,철분결핍성 빈혈, 류마티스성 관절염
L:출혈, 용혈성 빈혈, 악성빈혈, 감염
Lymphocyte
20~44%
47.3
33.8
Monocyte
3~13%
7.8
12.0
H:감염(결핵,말라리아 등), 단핵구성백혈병
L:약물요법, predinsone
Eosinophil
0.0~6.0%
3.7
2.2
Basophil
0~2%
0.6
0.6
ESR
0~20mm/hr
60↑
51↑
H:감염성 질환
항목
정상치
6.5
6.7
검사목적
B.U.N
10~26
mg/dl
29.3↑
31.6↑
H:신부전증, 고단백식사
L:간경화증 등 간질환시 다소 감소하나 임상적 의의 없음
Creatinine
0.6~1.2
mg/dl
0.9
1.1
Ca
8.5~10.5
mg/㎗
8.6
8.5
Na
134~146
mmol/ℓ
151↑
145
H:Sodium섭취증가,Sodium손실감소, 유리체수분과다손실
L:Sodium섭취감소, Sodium손실감소, 유리체 수분증가
K
3.9~5.9
mmol/ℓ
4.8
4.7
Cl
98~110
mmol/1ℓ
116↑
114↑
H:탈수
L:구토, 부신피질 기능저하증
A.S.T
(GOT)
10~40 U/㎗
74↑
64↑
H:급성간염, obstructive jaundice,
간질환등
A.L.T
(GPT)
6~50U/㎗
64↑
55↑
Albumin
3.6~5.4g/dl
2.8↓
3.1↓
H:shock, multiple myeloma, chronic infection
L:malnutrition, hemorrhage, loss of plasma from burns 등
Total protein
6.1~7.9
4.4↓
5.7↓
H:탈수로 인한 혈액농축이 있을 시 다소 증 가하나, 임상적의의 없고 드물게 나타나지 만 다발성 골수증 시 병적으로 증가한다.
L:영양불량, 임신, 간질환, 단백질 상실 장 병변, 과수화, 모세혈관 투과력 증가, 염증 질환, 가족성 특발성 이상단백혈증
CRP
0~0.3mg/dl
9.3↑
6↑
H: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등의 염증반응 시 증가
혈액검사 생화학검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