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2.1.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할께요. 춤출까요? 울라울라~ 아냐 노래를 할께요 심심~심심~ 아냐아냐 아무튼 떠나지 마세요
A : 으어어어어어억!!!
이번 사례에서는 심심이가 표현하는 부분을 보는 것이 중요한데 먼저 “울라울라~”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여기서 “울라울라”는 통신 언어의 표현적 장치에 해당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실제로 글을 이용한 대화 보여줄 수 없는 부분인 춤을 시각적인 표현으로 나타내어 자신이 현재 춤을 추고 있다는 상태를 상대방에게 보여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심심~심심~”이라는 표현은 현재 자신이 노래를 부르고 있는 중이라는 것을 상대에게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마지막에 A가 “으어어어어어어억!!!”은 통신 언어의 표현적 장치 중에서 음절 수 늘리기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본드 “으억”이라는 표현을 늘려 “으어어어어어억”으로 바꾸었으며, 뒤에 “!!!”를 붙임으로써 통신 언어의 표현적 장치 중 기호를 이용한 표현에서 문장부호를 이용하여 놀람 혹은 큰 소리를 의미하는 느낌표를 3번 반복함으로 매우 큰 소리를 내고 있음을 표현하고 있다.
결론
통신 언어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더 많은 사람이 일상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자료를 수집하면서 느낀 바로는 생각보다 더 많은 말들이 통신 언어였으며, 그 종류는 많이 다양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보면서 혹시 나는 이러한 통신 언어를 사용하는데 너무 편해진 만큼 본래 사용해야하는 규범적인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이렇게 많은 부분에서 사용되어지는 이 언어가 어떤 윤리나 규범도 없이 우후죽순으로 뻗어나가기 만을 반복한다면 그 안에서 현재 나타나는 인터넷 도덕인 네티켓들이 나타나는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기에 언어를 사용함에 있어 한 번씩 더 생각하게 만들었다. 이는 단순히 청소년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인터넷이라고 하는 특수성이 가져다주는 익명성은 우리에게 도덕성을 숨겨주는 일종의 가면의 역할을 하기에 아이들이 우리의 비겁한 모습을 보고 배우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이는 과학의 발전을 인간의 윤리의식이 따라잡지 못한 대표적인 예라고 생각하는데 이를 위해 우리는 인터넷을 이용한 이러한 대화에서도 서로간의 예의를 지키고 표현을 극심하게 바뀌지 않도록 주의 해야 할 것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언어와 생활 01강_강의록/ 고성환 국어국문학과 교수
언어와 생활 02강_강의록/ 고성환 국어국문학과 교수
[세로카톡]세종대왕도 울고 갈 전설의 한글의 마법사 中/ 유튜브 세로톡톡톡/ 2017.12.05. (https://youtu.be/eGDA_0_eXZY)
[세로카톡]영화부산행에 나온 번호에 장난 카톡을 해보았는데... 답장이 왔다?... 中/ 유튜브 세로톡톡톡/ 2017.12.14. (https://youtu.be/16EImbt4qTk)
진화를 끝낸 심심이의 인공지능은 놀라웠다. 中/ 유튜브 Kakao Coffee/ 2017.09.27.
(https://youtu.be/iSaVm26Yg7E)
A : 으어어어어어억!!!
이번 사례에서는 심심이가 표현하는 부분을 보는 것이 중요한데 먼저 “울라울라~”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여기서 “울라울라”는 통신 언어의 표현적 장치에 해당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실제로 글을 이용한 대화 보여줄 수 없는 부분인 춤을 시각적인 표현으로 나타내어 자신이 현재 춤을 추고 있다는 상태를 상대방에게 보여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심심~심심~”이라는 표현은 현재 자신이 노래를 부르고 있는 중이라는 것을 상대에게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마지막에 A가 “으어어어어어어억!!!”은 통신 언어의 표현적 장치 중에서 음절 수 늘리기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본드 “으억”이라는 표현을 늘려 “으어어어어어억”으로 바꾸었으며, 뒤에 “!!!”를 붙임으로써 통신 언어의 표현적 장치 중 기호를 이용한 표현에서 문장부호를 이용하여 놀람 혹은 큰 소리를 의미하는 느낌표를 3번 반복함으로 매우 큰 소리를 내고 있음을 표현하고 있다.
결론
통신 언어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더 많은 사람이 일상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자료를 수집하면서 느낀 바로는 생각보다 더 많은 말들이 통신 언어였으며, 그 종류는 많이 다양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보면서 혹시 나는 이러한 통신 언어를 사용하는데 너무 편해진 만큼 본래 사용해야하는 규범적인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이렇게 많은 부분에서 사용되어지는 이 언어가 어떤 윤리나 규범도 없이 우후죽순으로 뻗어나가기 만을 반복한다면 그 안에서 현재 나타나는 인터넷 도덕인 네티켓들이 나타나는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기에 언어를 사용함에 있어 한 번씩 더 생각하게 만들었다. 이는 단순히 청소년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인터넷이라고 하는 특수성이 가져다주는 익명성은 우리에게 도덕성을 숨겨주는 일종의 가면의 역할을 하기에 아이들이 우리의 비겁한 모습을 보고 배우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이는 과학의 발전을 인간의 윤리의식이 따라잡지 못한 대표적인 예라고 생각하는데 이를 위해 우리는 인터넷을 이용한 이러한 대화에서도 서로간의 예의를 지키고 표현을 극심하게 바뀌지 않도록 주의 해야 할 것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언어와 생활 01강_강의록/ 고성환 국어국문학과 교수
언어와 생활 02강_강의록/ 고성환 국어국문학과 교수
[세로카톡]세종대왕도 울고 갈 전설의 한글의 마법사 中/ 유튜브 세로톡톡톡/ 2017.12.05. (https://youtu.be/eGDA_0_eXZY)
[세로카톡]영화부산행에 나온 번호에 장난 카톡을 해보았는데... 답장이 왔다?... 中/ 유튜브 세로톡톡톡/ 2017.12.14. (https://youtu.be/16EImbt4qTk)
진화를 끝낸 심심이의 인공지능은 놀라웠다. 中/ 유튜브 Kakao Coffee/ 2017.09.27.
(https://youtu.be/iSaVm26Yg7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