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영양지원 방법의 유형, 적응증 및 장단점, 간호중재
2) 당뇨환자에게 발생가능한 급만성 합병증 및 간호중재
3) 당뇨환자 case study
4) 당뇨환자의 맞춤형 간호교육 기획 및 효과평가 방법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영양지원 방법의 유형, 적응증 및 장단점, 간호중재
2) 당뇨환자에게 발생가능한 급만성 합병증 및 간호중재
3) 당뇨환자 case study
4) 당뇨환자의 맞춤형 간호교육 기획 및 효과평가 방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멸균된 syringe, needle 사용
④ 주사 부위를 다르게 하기 ⑤ 사용 후 버릴 것, 재사용 금지
⑥ 처방된 diet 따르도록. 저혈당 대비해서 사탕 지니도록 함
⑦ 네임카드 착용하도록(이름, 주소, 전화번호, 당뇨병에 대한 내용, 처방 등을 적음)
⑧ 오심,구토,열&감염 있으면 의사에게 연락(오심, 구토는 insulin 요구량 감소 및 저혈당증이 나타날 수 있음/ 발열과 감염은 인슐린 요구량 증가시켜 저혈당 초래한다.)
⑨ 최소한 하루에 한번 소변검사를 실시한다. ⑩ 고혈당, 저혈당 조기 증상 및 치료법 가르친다.
[2] 인슐린 자가 투여에 대한 교육
-대상자 교육 평가방법 : 대상자가 직접 인슐린 주사를 간호사의 관리감독 아래 투여해본다.
1. 교환식이 Exchange measured diet : 실제적
-기본처방식이는 변화시키지 않고, 같은 식품군 안에서 (영양소와 칼로리가 같은) 음식물을 서로 교환하여 섭취함
-식품교환표: 식품을 6군(곡류, 어육류, 채소, 지방, 우유, 과일군)으로 나누고 각 조마다 식품이름과 영양소 함량 기록. 각 군에 있는 음식물은 동일한 열량, 동일한 영양소(탄,단,지)를 포함하고 있음
ex) 곡류군에서 밥 1교환 단위는 70g(1/3공기)가 100kcal 이고, 빵은 35g(1쪽)이 100kcal 이므로 교환, 모든 식품에 대해 80kcal에 해당되는 양을 1단위로 한다. (1600kcal의 에너지를 섭취하려면 20단위 식사 필요)
2. 고정식이, Fixed weighted diet
-교환식이보다 더욱 정확하고 모든 음식을 저울로 측정하여 섭취
-milk, fat, bread, cereal의 양이 매일매일 변화 없이 고정됨
[3] 식이요법 교육
-대상자 교육 평가방법 : 대상자가 교환식이 표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직접 식단표를 수정해보도록 한다.
1. 운동 지도
① 같은 시간, 같은 양의 운동을 매일(돌발성 운동 피함, 규칙적이게) 식후 운동이 중요: 식후 고혈당 시점에서 동맥경화 시작
② 혈당 250mg/dl 넘거나 소변 케톤 나올 때, 저혈당시 운동을 금한다.
③ 식이, 인슐린 용양을 활동정도에 맞춰야 하므로 정상적 스케줄에 따라 활동하도록 한다.
④ 큰 근육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유산소 운동유익-보행, 조깅, 수영, 자전거
⑤ 1일 20~30분, 주 2~3회 운동-평소보다 많이 운동하면 간식 섭취(격렬한 운동-10분 운동에 1단위(80kca)l 보충)
2. Foot care
① 매일 발적, 물집, 균열, 굳은살, 발 기형 검사한다.
② 매일 경한비누와 미지근한 물로 씻고, 철저히 건조시킨다.
③ 식물성 기름으로 균열예방 위한 마사지를 시행한다. ④ 발톱 구석은 깎지 않는다.
⑤ 발에 잘 맞는 부드러운 가죽으로 된 낮은 굽 구두 신도록 한다.
[4] 생활습관 지도
-대상자 교육 평가방법 : 대상자에게 구두로 질문에 답하게 하여 생활습관을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3. 결론
대상자는 하나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병원에 오더라도 간호사를 포함한 모든 의료진은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잠재적 문제를 해결하게 위해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식이조절도 그 일환 중 하나이다. 환자에게 더욱 더 안전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환자에게 제공되는 모든 식이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주의 깊게 간호를 수행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문헌
근거기반 기본간호학 상 (2014). 강현숙,임난영 외4. 수문사
근거기반 기본간호학 하 (2014). 강현숙,임난영 외4. 수문사
성인간호학1. suzanne C외 . 2011. 군자출판사
성인간호학2. suzanne C외 . 2011. 군자출판사
④ 주사 부위를 다르게 하기 ⑤ 사용 후 버릴 것, 재사용 금지
⑥ 처방된 diet 따르도록. 저혈당 대비해서 사탕 지니도록 함
⑦ 네임카드 착용하도록(이름, 주소, 전화번호, 당뇨병에 대한 내용, 처방 등을 적음)
⑧ 오심,구토,열&감염 있으면 의사에게 연락(오심, 구토는 insulin 요구량 감소 및 저혈당증이 나타날 수 있음/ 발열과 감염은 인슐린 요구량 증가시켜 저혈당 초래한다.)
⑨ 최소한 하루에 한번 소변검사를 실시한다. ⑩ 고혈당, 저혈당 조기 증상 및 치료법 가르친다.
[2] 인슐린 자가 투여에 대한 교육
-대상자 교육 평가방법 : 대상자가 직접 인슐린 주사를 간호사의 관리감독 아래 투여해본다.
1. 교환식이 Exchange measured diet : 실제적
-기본처방식이는 변화시키지 않고, 같은 식품군 안에서 (영양소와 칼로리가 같은) 음식물을 서로 교환하여 섭취함
-식품교환표: 식품을 6군(곡류, 어육류, 채소, 지방, 우유, 과일군)으로 나누고 각 조마다 식품이름과 영양소 함량 기록. 각 군에 있는 음식물은 동일한 열량, 동일한 영양소(탄,단,지)를 포함하고 있음
ex) 곡류군에서 밥 1교환 단위는 70g(1/3공기)가 100kcal 이고, 빵은 35g(1쪽)이 100kcal 이므로 교환, 모든 식품에 대해 80kcal에 해당되는 양을 1단위로 한다. (1600kcal의 에너지를 섭취하려면 20단위 식사 필요)
2. 고정식이, Fixed weighted diet
-교환식이보다 더욱 정확하고 모든 음식을 저울로 측정하여 섭취
-milk, fat, bread, cereal의 양이 매일매일 변화 없이 고정됨
[3] 식이요법 교육
-대상자 교육 평가방법 : 대상자가 교환식이 표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직접 식단표를 수정해보도록 한다.
1. 운동 지도
① 같은 시간, 같은 양의 운동을 매일(돌발성 운동 피함, 규칙적이게) 식후 운동이 중요: 식후 고혈당 시점에서 동맥경화 시작
② 혈당 250mg/dl 넘거나 소변 케톤 나올 때, 저혈당시 운동을 금한다.
③ 식이, 인슐린 용양을 활동정도에 맞춰야 하므로 정상적 스케줄에 따라 활동하도록 한다.
④ 큰 근육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유산소 운동유익-보행, 조깅, 수영, 자전거
⑤ 1일 20~30분, 주 2~3회 운동-평소보다 많이 운동하면 간식 섭취(격렬한 운동-10분 운동에 1단위(80kca)l 보충)
2. Foot care
① 매일 발적, 물집, 균열, 굳은살, 발 기형 검사한다.
② 매일 경한비누와 미지근한 물로 씻고, 철저히 건조시킨다.
③ 식물성 기름으로 균열예방 위한 마사지를 시행한다. ④ 발톱 구석은 깎지 않는다.
⑤ 발에 잘 맞는 부드러운 가죽으로 된 낮은 굽 구두 신도록 한다.
[4] 생활습관 지도
-대상자 교육 평가방법 : 대상자에게 구두로 질문에 답하게 하여 생활습관을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3. 결론
대상자는 하나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병원에 오더라도 간호사를 포함한 모든 의료진은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잠재적 문제를 해결하게 위해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식이조절도 그 일환 중 하나이다. 환자에게 더욱 더 안전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환자에게 제공되는 모든 식이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주의 깊게 간호를 수행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문헌
근거기반 기본간호학 상 (2014). 강현숙,임난영 외4. 수문사
근거기반 기본간호학 하 (2014). 강현숙,임난영 외4. 수문사
성인간호학1. suzanne C외 . 2011. 군자출판사
성인간호학2. suzanne C외 . 2011. 군자출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