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장기간 의삭장애환자 간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장기간 의삭장애환자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의식장애 환자 가족에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
(1) 신체적 문제
(2) 심리적 문제
(3) 사회적 문제
2. 해결방안
(1) 의식장애환자 가족 모임 활성화
(2) 지역사회 자원 활용
(3) 가족들의 참여
(4) 스트레스 해소 방안
3. 의식장애 환자 간호
(1) 간호사정
① 반응 수준 사정
② 글래스고 혼수척도
③ 활력징후
④ 피부상태 및 체위 이상
⑤ 동공의 변화
(2) 간호 중재
① 관찰
② 효율적인 기도유지
③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간호문제
④ 개인위생
⑤ 영양, 수분, 전해질 간호
⑥ 실금, 배변간호
⑦ 수동운동

Ⅲ. 결론

본문내용

유지하며 필요시 공기침요를 사용하도록 한다.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윤활로션 등을 사용해 피부간호를 실시해 주도록 하고, 마사지를 주기적으로 해 줌으로써 욕창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④ 개인위생
의식이 저하된 환자의 개인위생을 유지하기 위해 세안과 구강위생 간호를 하며 부분목욕이나 침상세발 등이 필요하다. 무의식환자는 각막반사가 소실된 상태에서 눈을 감고 있는 경우가 많다. 눈의 건조를 막기 위해 윤활제를 안검에 바르거나 젖은 거즈를 눈에 대주어 습기제공과 함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보호해 각막염 또는 각막궤양을 예방하며 실명으로부터 눈을 보호한다. 코는 호흡에 장애가 없도록 청결히 하고 부드럽게 윤활시킨다. 두부손상 후 비출혈이 있는 경우 의사의 지시에 의해 비강을 씻어주고 멸균된 솜을 부드럽게 비강에 삽입한다. 무의식 환자의 경우 구강으로 호흡하기 때문에 쉽게 건조되고 점액이 고착되기 쉽기 때문에 입과 입술에 윤활유를 도포하며 자주 관찰해주고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해준다. 귀의 경우 출혈이 있으면 멸균솜으로 외이도를 느슨하게 막아주고 필요시마다 갈아주어 오염을 예방하도록 한다.
⑤ 영양, 수분, 전해질 간호
의식저하 환자는 입원해서 첫 24~48시간 동안 정맥주입이나 피하주입을 통해 영양 균형을 유지하다 계속 무의식이거나 정맥혈관이 좋지 않고 잦은 체위변경 등으로 어려운 점이 많아지면 비관이나 위 누공을 통해 매 2~3시간마다 100~300㎖, 성인 기준 2,500~3,000Cal의 비타민이나 무기질도 결핍되지 않도록 확인하며 유동식으로 주입해준다. 경관 영양 시 주입 전에 위 잔류량을 확인해야 하며, 주입 동안에는 흡인이 되지 않도록 상체를 30도 이상 높인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경관주입이 끝나면 30㎖ 정도의 보리차를 주입하여 영양관이 막히지 않도록 관리한다.
⑥ 실금, 배변간호
무의식 환자의 경우 정체도뇨관(foley catheter)을 삽입하여 피부를 건조시키고 청결히 유지하도록 하고, 방광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방관세척을 하거나 정기적으로 도뇨관을 교체한다. 도뇨관을 통해 지속 배액하는 동안에는 도뇨관을 통한 감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도뇨관 제거한 후에는 주기적으로 방광팽만을 관찰해야 한다. 피부에 있는 소변이 피부를 자극하므로 깨끗한 홑이불 한 장을 환자 둔부 아래에 깔아주고 자주 교환하도록 한다.
의식이 저하된 환자에게는 변비가 많이 생긴다. 배변횟수를 잘 점검하고 변비나 변의 실금을 막기 위해 경한 하제를 매 2~3일마다 주고 다음날 관장을 실시한다.
⑦ 수동운동
관절의 위축과 부동을 예방하기 위해 수도운동을 정기적으로 실시하나 뇌내압 상승 환자의 경우 뇌내압을 상승시키는 운동이 있으므로 주의하여 실시해주어야 한다.
Ⅲ. 결론
무의식환자 가족은 돌보는 과정에서 가족에의 상호작용에 중요한 부분을 이루어 왔던 일상적인 틀이 해체됨과 더불어 부담감, 우울, 적응의 경험하게 됨으로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는 가족구성원은 보다 효율적인 지지가 필요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가족을 지지하는 것은 환자의 치료과정을 돕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며 시기적절한 가족중재는 가족구성원의 정신적, 신체적 질환에 대한 예방을 통해 가족단위의 건강을 유지케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간호사는 환자에게 제공해주는 직접적인 간호도 중요하나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가족에게도 섬세한 간호를 제공해주어 환자의 환경이 최대한 유지될 수 있도록 돕는 것 또한 중요한 것을 인지하고 간호사는 환자는 물론 가족기능이 정상적일 수 있도록 하고 안녕 된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이선옥, 조남옥 (2014). 성인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 전시자 외 (2007).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3. 이평숙 외 (2007). 정신건강간호학 상. 신광출판사
4. 김귀분, 이경호 (2001). 노인층과 청·장년층 뇌졸중 환자가족의 건강상태·부담감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제13권 제2호.
5. 고현진, 김선희, 김분한 (2008). 무의식 환자 가족의 무의식에 대한 태도. 간호과학연구소지 제13권 제2호
6. 이영옥 (2000). 무의식 환자 가족의 부담감, 우울 및 적응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7. 박효선, 이정섭 (1999). 뇌졸중 환자가족의 가정간호 이용경험. 정신간호학회지 제8권 제2호
[참고사이트]
1. 도봉구 보건소 (http://health.dobong.go.kr/)
[그림 1]
  • 가격4,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10.16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52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