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력
(1) 일반적 사항
(2) 과거 산과력 및 건강력
(3) 현재 산과력
(4) 산욕기 매일 사정
2. 진단적 검사
3. 투약
4. 대상자 사례 기술 및 분석
5. 간호과정
-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 아기의 상태 및 예후와 관련된 슬픔
-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1) 일반적 사항
(2) 과거 산과력 및 건강력
(3) 현재 산과력
(4) 산욕기 매일 사정
2. 진단적 검사
3. 투약
4. 대상자 사례 기술 및 분석
5. 간호과정
-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 아기의 상태 및 예후와 관련된 슬픔
-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본문내용
를 사정하였다.
12/06
아침
못 먹음
점심
1/4정도 먹음
저녁
1/4정도 먹음
12/07
아침
1/3정도 먹음
점심
1/2정도 먹음
저녁
1/2정도 먹음
12/08
아침
평소대로 먹음
점심
평소대로 먹음
(아기 면회 갔다가 집에서 먹고 옴)
저녁
평소대로 먹음
4. 대상자의 v/s를 측정하였다.
BP
BT
HR
RR
12/05
10:00
134/96
36.6
72
20
10:30
144/89
36.6
68
20
11:30
139/83
37.2
73
20
14:50
37.5
20
15:30
132/81
37.1
81
20
18:00
137/77
37.2
84
20
22:20
139/82
37.0
79
20
12/06
06:00
136/81
36.6
82
20
13:50
110/51
36.6
87
20
18:00
127/72
36.8
90
20
12/07
06:00
124/79
36.5
80
20
11:00
124/77
36.6
71
20
18:00
131/87
37.0
81
20
12/08
13:26
136/82
36.5
87
20
18:00
132/81
37.0
93
20
12/09
13:30
133/78
36.5
84
20
18:30
150/81
36.6
78
20
21:00
140/90
73
20
12/10
06:00
135/83
36.7
77
20
5. 대상자의 수술 부위와 IV site에 감염의 징후(발적, 열감, 부종)가 나
타나는지 사정하였다.
수술 부위
IV stie
12/05
op site oozing none
redness/edema (-/-)
12/06
op site oozing none
redness/edema (-/-)
12/07
op site oozing none
redness/edema (-/-)
12/08
op wd clear
redness/edema (-/-)
6. 요로감염의 징후(배뇨시 통증, 빈뇨, 하복부 통증, 발열)를 확인하였
다.
배뇨시 통증
요의감/시원감
하복부 통증
발열
12/06
none
(+/+)
none
36.8
12/07
none
(+/+)
none
37.0
12/08
none
(+/+)
none
37.0
7. 드레싱 교환, 상처 관리, 카테터 관리 및 취급, 말초 정맥 삽입 시 무
균법을 유지하였다.
8. 간호 활동 시 마다 손 씻기를 하였다.
→ v/s을 잴 때마다 병실 앞에 있는 손 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하였
다.
9. 방문객을 제한하였다.
→ 병실 안에는 보호자 1인만 들어갈 것, 면회객은 병실 외부에 위치
한 면회실에서 기다리게 하여 방문객을 제한하였다.
10. 예방적 목적으로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진통제
12/05
07:15
세프라딘주 1g, IVS
10:00
아미카신 주사액 6mL, IVS
18:00
아미카신 주사액 6mL, IVS
21:00
세프라딘주 1g, IVS
12/06
08:00
아미카신 주사액 6mL, IVS
09:00
세프라딘주 1g, IVS
12/07
08:00
아미카신 주사액 6mL, IVS
09:00
세프라딘주 1g, IVS
16:00
아미카신 주사액 6mL, IVS
21:00
세프라딘주 1g, IVS
12/08
09:00
cefradine 500mg, PO
13:00
18:00
12/09
09:00
13:00
18:00
13. 감염이나 감기에 걸린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 간호사 선생님께서 보호자에게 호흡기 감염 환자는 가급적이면
접촉을 피하고 불가피하게 접촉해야 한다면 마스크를 쓸 것을 교
육하셨다.
14. 대상자와 돌봄제공자에게 감염의 징후(발열, 발적, 부종)를 교육하고
감염의 징후가 나타날 시 바로 의료진에게 보고할 것을 교육하였다.
15. 대상자와 돌봄제공자에게 F-cath 관리 방법을 교육하였다.
- urine bag에 소변이 차면 스스로 비우지 말고 간호사실에 알릴 것
- 끝부분이 땅에 닿지 않게 할 것
- urine bag을 항상 침상 아래에 위치시킬 것
16. 대상자와 돌봄제공자에게 IV catheter 삽입부위와 수술 부위의 관리
방법을 교육하였다.
- 손 대지 말 것
- dressing이 떨어진다면 간호사실에 알릴 것
간호 평가
단기목표 1. '대상자는 수술 후 12시간 이내에 Foley catheter 관리 방법(urine bag에 소변이 차면 스스로 비우지 말고 간호사실에 알릴 것, 끝부분이 땅에 닿지 않게 할 것, urine bag을 항상 침상 아래에 위치시킬 것)에 대해 2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다.'는 대상자가 수술 당일 저녁에 소변이 차면 스스로 비우지 말고 간호사실에 알릴 것, urine bag을 항상 침상 아래에 위치시킬 것을 말하였으므로 달성되었다. 단기목표 2. 대상자는 수술 후 12시간 이내에 IV catheter 삽입부위와 수술 부위의 관리 방법(손 대지 말 것, dressing이 떨어진다면 간호사실에 알릴 것)을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는 대상자가 수술 당일 저녁에 손 대지 말 것, dressing이 떨어지면 간호사실에 알릴 것을 말하였으므로 달성되었다. 단기목표 3. ’대상자는 수술 후 2일 이내에 활력징후(특히 체온)가 정상범위 내에 있다.‘는 12/06일 06:00 기준으로 36.6 check 되었으므로 달성되었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의 징후(발열, 발적, 부종)가 나타나지 않는다.’ 는 퇴원 시에 대상자의 체온이 stable하고 수술부위와 IV line부위에 발적, 부종이 나타나지 않았고 부종 또한 없고, 요로감염의 징후(배뇨시 통증, 빈뇨, 하복부 통증, 발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앞으로 감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추후 관리 교육(가정에서 상처부위를 어떻게 관리해야하는지, 추후 병원 날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Ⅶ. 참고문헌
- 한국화이자제약주식회사
-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
- 임상검사와 간호. 수문사 (1998)
-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5)
-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현문사 (1992)
- 여성건강간호학 Ⅱ. 현문사 (2017)
- 여성건강간호와 비판적사고(1). 군자출판사 (2010)
12/06
아침
못 먹음
점심
1/4정도 먹음
저녁
1/4정도 먹음
12/07
아침
1/3정도 먹음
점심
1/2정도 먹음
저녁
1/2정도 먹음
12/08
아침
평소대로 먹음
점심
평소대로 먹음
(아기 면회 갔다가 집에서 먹고 옴)
저녁
평소대로 먹음
4. 대상자의 v/s를 측정하였다.
BP
BT
HR
RR
12/05
10:00
134/96
36.6
72
20
10:30
144/89
36.6
68
20
11:30
139/83
37.2
73
20
14:50
37.5
20
15:30
132/81
37.1
81
20
18:00
137/77
37.2
84
20
22:20
139/82
37.0
79
20
12/06
06:00
136/81
36.6
82
20
13:50
110/51
36.6
87
20
18:00
127/72
36.8
90
20
12/07
06:00
124/79
36.5
80
20
11:00
124/77
36.6
71
20
18:00
131/87
37.0
81
20
12/08
13:26
136/82
36.5
87
20
18:00
132/81
37.0
93
20
12/09
13:30
133/78
36.5
84
20
18:30
150/81
36.6
78
20
21:00
140/90
73
20
12/10
06:00
135/83
36.7
77
20
5. 대상자의 수술 부위와 IV site에 감염의 징후(발적, 열감, 부종)가 나
타나는지 사정하였다.
수술 부위
IV stie
12/05
op site oozing none
redness/edema (-/-)
12/06
op site oozing none
redness/edema (-/-)
12/07
op site oozing none
redness/edema (-/-)
12/08
op wd clear
redness/edema (-/-)
6. 요로감염의 징후(배뇨시 통증, 빈뇨, 하복부 통증, 발열)를 확인하였
다.
배뇨시 통증
요의감/시원감
하복부 통증
발열
12/06
none
(+/+)
none
36.8
12/07
none
(+/+)
none
37.0
12/08
none
(+/+)
none
37.0
7. 드레싱 교환, 상처 관리, 카테터 관리 및 취급, 말초 정맥 삽입 시 무
균법을 유지하였다.
8. 간호 활동 시 마다 손 씻기를 하였다.
→ v/s을 잴 때마다 병실 앞에 있는 손 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하였
다.
9. 방문객을 제한하였다.
→ 병실 안에는 보호자 1인만 들어갈 것, 면회객은 병실 외부에 위치
한 면회실에서 기다리게 하여 방문객을 제한하였다.
10. 예방적 목적으로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진통제
12/05
07:15
세프라딘주 1g, IVS
10:00
아미카신 주사액 6mL, IVS
18:00
아미카신 주사액 6mL, IVS
21:00
세프라딘주 1g, IVS
12/06
08:00
아미카신 주사액 6mL, IVS
09:00
세프라딘주 1g, IVS
12/07
08:00
아미카신 주사액 6mL, IVS
09:00
세프라딘주 1g, IVS
16:00
아미카신 주사액 6mL, IVS
21:00
세프라딘주 1g, IVS
12/08
09:00
cefradine 500mg, PO
13:00
18:00
12/09
09:00
13:00
18:00
13. 감염이나 감기에 걸린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 간호사 선생님께서 보호자에게 호흡기 감염 환자는 가급적이면
접촉을 피하고 불가피하게 접촉해야 한다면 마스크를 쓸 것을 교
육하셨다.
14. 대상자와 돌봄제공자에게 감염의 징후(발열, 발적, 부종)를 교육하고
감염의 징후가 나타날 시 바로 의료진에게 보고할 것을 교육하였다.
15. 대상자와 돌봄제공자에게 F-cath 관리 방법을 교육하였다.
- urine bag에 소변이 차면 스스로 비우지 말고 간호사실에 알릴 것
- 끝부분이 땅에 닿지 않게 할 것
- urine bag을 항상 침상 아래에 위치시킬 것
16. 대상자와 돌봄제공자에게 IV catheter 삽입부위와 수술 부위의 관리
방법을 교육하였다.
- 손 대지 말 것
- dressing이 떨어진다면 간호사실에 알릴 것
간호 평가
단기목표 1. '대상자는 수술 후 12시간 이내에 Foley catheter 관리 방법(urine bag에 소변이 차면 스스로 비우지 말고 간호사실에 알릴 것, 끝부분이 땅에 닿지 않게 할 것, urine bag을 항상 침상 아래에 위치시킬 것)에 대해 2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다.'는 대상자가 수술 당일 저녁에 소변이 차면 스스로 비우지 말고 간호사실에 알릴 것, urine bag을 항상 침상 아래에 위치시킬 것을 말하였으므로 달성되었다. 단기목표 2. 대상자는 수술 후 12시간 이내에 IV catheter 삽입부위와 수술 부위의 관리 방법(손 대지 말 것, dressing이 떨어진다면 간호사실에 알릴 것)을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는 대상자가 수술 당일 저녁에 손 대지 말 것, dressing이 떨어지면 간호사실에 알릴 것을 말하였으므로 달성되었다. 단기목표 3. ’대상자는 수술 후 2일 이내에 활력징후(특히 체온)가 정상범위 내에 있다.‘는 12/06일 06:00 기준으로 36.6 check 되었으므로 달성되었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의 징후(발열, 발적, 부종)가 나타나지 않는다.’ 는 퇴원 시에 대상자의 체온이 stable하고 수술부위와 IV line부위에 발적, 부종이 나타나지 않았고 부종 또한 없고, 요로감염의 징후(배뇨시 통증, 빈뇨, 하복부 통증, 발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앞으로 감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추후 관리 교육(가정에서 상처부위를 어떻게 관리해야하는지, 추후 병원 날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Ⅶ. 참고문헌
- 한국화이자제약주식회사
-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
- 임상검사와 간호. 수문사 (1998)
-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5)
-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현문사 (1992)
- 여성건강간호학 Ⅱ. 현문사 (2017)
- 여성건강간호와 비판적사고(1). 군자출판사 (2010)
추천자료
경막하혈종 케이스 스터디(SDH case study)
결장암 케이스 트터디(case study)
급성신질환 (Acute Kidney Injury) case study
(A+) 난소출혈 케이스 스터디 Ovarian Bleeding case study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담석증의 식사요법, 증상, 진단, 담석증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
[A+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분열증(조현병/schizoprenia)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
충수절제술(충수돌기절제술/appendectomy)과 관련된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입...
아동간호학case study-급성기관지염
A+_Diffuse large cell type lymphoma(non-hodgkins lymphoma) 비호지킨병 케이스 스터디, no...
DKA, Diabetic ketoacidosis (당뇨병성 케톤산증 케이스, 당뇨병성 케톤산증 CASE, DKA CASE ...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A+ (급성 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급성신부전 사례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