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I. 콜버그(Kohlberg)의 생애
II. 주요 개념
III. 도덕발달단계
1. 전 인습적 도덕
2. 인습적 도덕
3. 후인습적 도덕 : 자기수용적 도덕
IV. 콜버그 이론의 평가
V. 피아제와 콜버그 이론의 비교
VI. 콜버그 이론의 한계
* 참고문헌
I. 콜버그(Kohlberg)의 생애
II. 주요 개념
III. 도덕발달단계
1. 전 인습적 도덕
2. 인습적 도덕
3. 후인습적 도덕 : 자기수용적 도덕
IV. 콜버그 이론의 평가
V. 피아제와 콜버그 이론의 비교
VI. 콜버그 이론의 한계
* 참고문헌
본문내용
넷째, 콜버그의 이론이 추구하는 도덕적 정의는 개인의 권리와 공정성이라는 도덕성의 한 측면만을 반영하고 있으며 인간관계 속에서 타인을 배려하고 타인과의 관련성을 중시하는 관계적 측면을 등한시 하고 있다.
다섯째, 도덕적 퇴행 현상이다. 노년기인지능력의 감퇴가 일어나기 전까지 는 도덕성발발단계가 퇴보하는 일이 있을 수 없다고 되어 있으나 일부 연구에서 고등학교 시기 사이에 4단계에서 5단계로 진전하는 대신에 전인습적 수준으로 퇴행하는 경향을 찾을 수 있었다.
V. 피아제와 콜버그 이론의 비교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은 인간과 환경의 적응성과 상호작용을 강조한 이론으로 인간을 사고하는 합리적인 존재로 보아 인지발달을 '자발적이고 단계적인 과정'으로 보았다는 점에서 인간의 성장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고 아동발달에 폭넓은 관점을 제공해 주어 아동에 대한 이해를 넓혀 주었다.
<표> 발달단계이론의 비교
VI. 콜버그 이론의 한계
콜버그의 연속적인 발달은 피아제에 의해 기술된 인지적 과정을 수단으로 어린이가 성인도덕을 향해 어떻게 발전되는지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계적 조직화에는 다소 결점이 있다.
첫째, 도덕 사태에 대한 아동의 판단은 아동이 행동했을 때, 성인이 적절한 언급을 해 줌으로써 간단히 성숙 쪽으로 쉽게 바뀔 수 있다.
이것은 각 단계가 이론이 가정한 것처럼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제시한다. 도덕적 판단의 발달은 아동 인지의 기본변화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 둘째, 단계의 계열, 특히 도덕의 후기 단계는 이론이 제시한 것처럼 고정된 것이 아니다. 호간(Hogan, 1970)의 연구에 의하면 급진적인 대학생은 다른 사람의 기대와 일치하는 족으로 움직일 수 있었으며(단계3), 중간 단계의 경험 없이 '보다 높은 법칙(단계 6)'의 개인적 양심으로 직접 움직일 수 있었다. 게다가 서로 다른 사회는 다른 관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성인기에 다른 결과로 나타난다. 단계에 대한 언급은 성인 도덕 판단의 본질에 대해 우리를 잘못 이끌고 있음이 틀림없다. 어떤 성인은 도덕성의 마지막 수준을 결코 도달할 수 없으며 항상성 있게 그 수준을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인지가 도덕성의 필수적인 한 부분이기는 하나, 그들은 전체 형태 중한 부분을 형성할 뿐이다. 부족한 부분은 행동주의 학습이론(instrumental or the S-R Theory)과 정신분석이론(affective aspects or the dynamic approach)이라고 하겠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다섯째, 도덕적 퇴행 현상이다. 노년기인지능력의 감퇴가 일어나기 전까지 는 도덕성발발단계가 퇴보하는 일이 있을 수 없다고 되어 있으나 일부 연구에서 고등학교 시기 사이에 4단계에서 5단계로 진전하는 대신에 전인습적 수준으로 퇴행하는 경향을 찾을 수 있었다.
V. 피아제와 콜버그 이론의 비교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은 인간과 환경의 적응성과 상호작용을 강조한 이론으로 인간을 사고하는 합리적인 존재로 보아 인지발달을 '자발적이고 단계적인 과정'으로 보았다는 점에서 인간의 성장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고 아동발달에 폭넓은 관점을 제공해 주어 아동에 대한 이해를 넓혀 주었다.
<표> 발달단계이론의 비교
VI. 콜버그 이론의 한계
콜버그의 연속적인 발달은 피아제에 의해 기술된 인지적 과정을 수단으로 어린이가 성인도덕을 향해 어떻게 발전되는지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계적 조직화에는 다소 결점이 있다.
첫째, 도덕 사태에 대한 아동의 판단은 아동이 행동했을 때, 성인이 적절한 언급을 해 줌으로써 간단히 성숙 쪽으로 쉽게 바뀔 수 있다.
이것은 각 단계가 이론이 가정한 것처럼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제시한다. 도덕적 판단의 발달은 아동 인지의 기본변화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 둘째, 단계의 계열, 특히 도덕의 후기 단계는 이론이 제시한 것처럼 고정된 것이 아니다. 호간(Hogan, 1970)의 연구에 의하면 급진적인 대학생은 다른 사람의 기대와 일치하는 족으로 움직일 수 있었으며(단계3), 중간 단계의 경험 없이 '보다 높은 법칙(단계 6)'의 개인적 양심으로 직접 움직일 수 있었다. 게다가 서로 다른 사회는 다른 관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성인기에 다른 결과로 나타난다. 단계에 대한 언급은 성인 도덕 판단의 본질에 대해 우리를 잘못 이끌고 있음이 틀림없다. 어떤 성인은 도덕성의 마지막 수준을 결코 도달할 수 없으며 항상성 있게 그 수준을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인지가 도덕성의 필수적인 한 부분이기는 하나, 그들은 전체 형태 중한 부분을 형성할 뿐이다. 부족한 부분은 행동주의 학습이론(instrumental or the S-R Theory)과 정신분석이론(affective aspects or the dynamic approach)이라고 하겠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교육심리학] 가드너중다지능이론과 콜버그도덕성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
[교육심리학공통] 가드너의 중다지능이론과 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
다중지능이론: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과 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
[콜버그도덕성발달이론] [유아발달]콜버그 도덕성 발달 이론과 유아의 도덕성발달을 위한 교...
[2016 교육심리학]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설명,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교육적시사점, 계속...
[콜버그도덕성발달이론 계속적강화 간헐적강화]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설명, 콜버그 도덕성...
(2016년 교육심리학) 콜버그도덕성발달이론 설명,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교육적시사점 /계속...
인간과교육] 1. 후기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과...
인간과교육 1. 후기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있는 인간관의 특징, 과학적인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