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청소년기 인지발달
I.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1. 추상적 사고
2. 가설적, 연역적 사고
3. 조합적 사고
II. Vygotsky의 사회, 문화적 인지이론
III. 정보처리접근
* 참고문헌
I.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1. 추상적 사고
2. 가설적, 연역적 사고
3. 조합적 사고
II. Vygotsky의 사회, 문화적 인지이론
III. 정보처리접근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것이었다. 그러나 Vygotsky는 혼잣말을 아동의 인지발달에 있어서 자기조절을 향하는 중간단계로 보았고, 혼잣말을 많이 하는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사회적 능력 이 더 뛰어난 것으로 믿었다. 이러한 그의 믿음은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수행 된 연구결과에서도 증명된 바 있다.
III. 정보처리접근
1960년대에 등장하여 최근에 이르기까지 활발한 연구결과를 생산하고 있는 정보처리접근은 인간의 정신을 컴퓨터와 비슷하다고 가정한다. 인간의 정신이 마치 컴퓨터처럼 외부로부터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고, 그리고 필요할 때 꺼내 사용하는 복잡한 시스템으로 보는 것이다. 이 접근은 하나의 이론이기보다는 인지발달에 대해 비슷한 입장을 취하는 이론이나 개념 및 방법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정보처리접근이 어떤 것인지 그 특징을 간단히 기술하기는 어렵지만 관련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전제로 한다.
1/ 인지현상은 관찰가능한 자극과 반응 사이에 끼 여 있는 정신과정과 표상들에 의해 기술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모든 인지활동은 소수의 기초정신과정들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3/ 정신과정들은 상호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으로 작용하여 복잡한 인지활동들을 이루어낸다.
4/ 인지능력은 정보처리시스템의 자기 수정에 의해 변화하고 발달한다.
인지발달과 관련하여, Piaget는 나이가 많아지면서 민지구조가 더 복잡해지고 더 정교해지는 것으로 인지발달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인지발달을 정보처리로 이해하는 학자들은 인지의 발달이 정보처리능력이 발달하는 것으로 본다. 정보처리능력이 발달한다는 것은 청소년기과 관련지어 볼 때, 이 시기에는 주의를 집중하는 능력의 발달, 단기기억의 용량의 확대, 그리고 정보처리속도의 빠른 증가 등을 의미한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이해를 위한 심리학 - 김보기/김인기 저, 양서원, 2017
전생애 발달심리학 - 장휘숙 저, 박영사, 2013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Shepard 저, 사회평론아카데미, 2017
발달심리학 - Santrock 저, 이지연/임춘희 옮김, 교육과학사, 2016
의사소통의 실제 - 임숙빈/김덕희 외 3명 저, 현문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강봉규 저, 태영출판사, 2015
III. 정보처리접근
1960년대에 등장하여 최근에 이르기까지 활발한 연구결과를 생산하고 있는 정보처리접근은 인간의 정신을 컴퓨터와 비슷하다고 가정한다. 인간의 정신이 마치 컴퓨터처럼 외부로부터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고, 그리고 필요할 때 꺼내 사용하는 복잡한 시스템으로 보는 것이다. 이 접근은 하나의 이론이기보다는 인지발달에 대해 비슷한 입장을 취하는 이론이나 개념 및 방법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정보처리접근이 어떤 것인지 그 특징을 간단히 기술하기는 어렵지만 관련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전제로 한다.
1/ 인지현상은 관찰가능한 자극과 반응 사이에 끼 여 있는 정신과정과 표상들에 의해 기술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모든 인지활동은 소수의 기초정신과정들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3/ 정신과정들은 상호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으로 작용하여 복잡한 인지활동들을 이루어낸다.
4/ 인지능력은 정보처리시스템의 자기 수정에 의해 변화하고 발달한다.
인지발달과 관련하여, Piaget는 나이가 많아지면서 민지구조가 더 복잡해지고 더 정교해지는 것으로 인지발달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인지발달을 정보처리로 이해하는 학자들은 인지의 발달이 정보처리능력이 발달하는 것으로 본다. 정보처리능력이 발달한다는 것은 청소년기과 관련지어 볼 때, 이 시기에는 주의를 집중하는 능력의 발달, 단기기억의 용량의 확대, 그리고 정보처리속도의 빠른 증가 등을 의미한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이해를 위한 심리학 - 김보기/김인기 저, 양서원, 2017
전생애 발달심리학 - 장휘숙 저, 박영사, 2013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Shepard 저, 사회평론아카데미, 2017
발달심리학 - Santrock 저, 이지연/임춘희 옮김, 교육과학사, 2016
의사소통의 실제 - 임숙빈/김덕희 외 3명 저, 현문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강봉규 저, 태영출판사, 2015
추천자료
[인간 발달단계][아동기사회성발달][아동기인지발달][아동발달특성][청소년기발달특성][청소...
청소년기의 사회 인지발달 이론과 특징
청소년기의 인지발달단계론적 접근
[★우수레포트★][청소년기의 인지적 발달] 청소년기의 인지발달의 특징,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
청소년기의 성장발달 (청소년기, 청소년기성장, 청소년기발달, 청소년신체발달, 청소년인지발...
청소년기 인지발달이 장기적 가치와 자기중심성에 미치는 영향 (장기적인 가치, 우리나라에서...
청소년기(인간행동과사회환경, 청소년기신체발달, 인지발달, 사회체계, 심리체계, 청소년기문제)
[청소년靑少年교육개론] 청소년기 인지발달 - 피아제의 이론에 기초한 청소년기의 인지발달, ...
청소년기 사회인지발달(청소년기의 자아중심성)
청소년기 인지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