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 용접의 정의
2. 본론
2.1 - 용접의 원리
2.2 - 용접의 특징
2.3 - 용접의 장점
2.4 - 용접의 단점
3. 결론
4. 의견
5. 참고문헌
1.1 - 용접의 정의
2. 본론
2.1 - 용접의 원리
2.2 - 용접의 특징
2.3 - 용접의 장점
2.4 - 용접의 단점
3. 결론
4. 의견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응력집중에 극히 민감하고, 저온 취성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3. 결론
용접이란 2개 이상의 부재를 접합시키는 부재 사이에 연속성이 유지하도록 열, 압력 또는 이들을 가하여 하나로 만드는 조작. 용접 에너지(전기, 기계, 화학반응, 빛)와 용접 형태인 융접(fusion welding), 압접(pressure welding), 납땜으로 나눈다. 용접의 원리는 아이작 뉴턴의 만유인력법칙에 따라 양자 간에 작용하는 원자인력을 사용한다. 이때 원자 인력은 cm(1A) 이다. 용접은 재료를 접합하는 방법으로 크게 기계적 접합법과 야금적 접합법으로 나눌 수 있고 기계적 접합법은 볼트, 리벳, 키 등을 이용한 접합법이며, 야금적 적합법은 융접, 압접, 납땜으로 나눠진다. 용접의 장점으로는 재료의 절약 , 공정수의 절약 성능 및 수명의 향상 등에 유리하므로 경제적이다. 특히 리벳 접합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접합 효율이 훨씬 우수하다. 또한 주조와 비교하여 본다면 주형이 필요없고 강도가 크고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고 또 종류가 다른 재료를 접합할 수 있으며 시설비가 적게 들고 보수하기 쉽고 복잡한 형상의 제품도 싸게 제작할 수 있다. 단조와 비교하여 유리한 점은 설비비가 싸고 대형 단조기계와 값비싼 단조형이 필요없기 때문에 중량을 작게 하고 제작비를 경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용접은 기계 및 구조물을 수리할 때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 중에는 주물 및 단조물의 수리 마모된 부품의 재생 용접에 의한 표면 경화 내식성 또는 내열성의 개선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용접의 단점으로는 용접부분의 취성파손 및 내부 결함이 생기기 쉽고 검사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용접사의 능력에 따라 용접부의 강도 차이가 남으로 고도의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며 고열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력과 피부에 유해할 수 있으며 폭발의 위험 또한 존재한다.
4. 의견
이번 리포트를 작성하면서 용접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이해하며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중간고사 기간에 공부를 하면서 이해가 잘 되지 않았던 것도 리포트 작성을 하면서 직접 찾아보았더니 이해가 더 잘 되었다. 항상 교수님께서 직접 궁금증을 가지고 찾아보는 게 공부라고 하셨는데 그 말씀이 이해가 되면서 왜 그렇게 강조를 하셨는지 알 것 같았다. 처음에는 협의적인 의미와 광의적인 의미가 무슨 뜻인지 조차 알지 못하였으나 이번 기회에 확실히 이해하고 알 수 있었다. 또한 용접의 장단점을 조사하면서 용접이 어디서 시작되었고 어떠한 방식으로 현재 사용되며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생각해보니 용접에 더 관심이 생기고 금속공학사를 취득하고 싶어졌다. 하지만 용접의 단점중 고온에 의한 화상과 화재, 폭발, 그리고 자외선 적외선 등으로 시력에 미치는 것을 생각하면 무섭기도 하다. 이번 남은 학기동안 박재원 교수님께 용접에 대해 더욱더 많은 것을 배워서 용접에 대하여 확실하게 이해하고 공학사 진로에 대하여 다시 한번더 고민해 봐야겠다.
5. 참고문헌
박재원 저, 용접 공학, 원창출판사, 2017개정
[네이버 지식백과] 용접 [welding, 鎔(熔)接]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용접 [welding, 鎔接, ようせつ]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 용접 [welding] (금속용어사전, 1998. 1. 1., 성안당)
[네이버 지식백과] 용접 [Welding] (학문명백과 : 공학, 형설출판사)
[네이버 블로그] 용접의 장점|작성자 블루, 2009
[네이버 지식In] 단조,주조,압연,용접의 특징과 제품, 2005
사진1 - 용접, 구글이미지, 해양과조선
사진2 - 아이작뉴턴 이야기, 구글이미지, musiki.tistory, 2012
3. 결론
용접이란 2개 이상의 부재를 접합시키는 부재 사이에 연속성이 유지하도록 열, 압력 또는 이들을 가하여 하나로 만드는 조작. 용접 에너지(전기, 기계, 화학반응, 빛)와 용접 형태인 융접(fusion welding), 압접(pressure welding), 납땜으로 나눈다. 용접의 원리는 아이작 뉴턴의 만유인력법칙에 따라 양자 간에 작용하는 원자인력을 사용한다. 이때 원자 인력은 cm(1A) 이다. 용접은 재료를 접합하는 방법으로 크게 기계적 접합법과 야금적 접합법으로 나눌 수 있고 기계적 접합법은 볼트, 리벳, 키 등을 이용한 접합법이며, 야금적 적합법은 융접, 압접, 납땜으로 나눠진다. 용접의 장점으로는 재료의 절약 , 공정수의 절약 성능 및 수명의 향상 등에 유리하므로 경제적이다. 특히 리벳 접합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접합 효율이 훨씬 우수하다. 또한 주조와 비교하여 본다면 주형이 필요없고 강도가 크고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고 또 종류가 다른 재료를 접합할 수 있으며 시설비가 적게 들고 보수하기 쉽고 복잡한 형상의 제품도 싸게 제작할 수 있다. 단조와 비교하여 유리한 점은 설비비가 싸고 대형 단조기계와 값비싼 단조형이 필요없기 때문에 중량을 작게 하고 제작비를 경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용접은 기계 및 구조물을 수리할 때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 중에는 주물 및 단조물의 수리 마모된 부품의 재생 용접에 의한 표면 경화 내식성 또는 내열성의 개선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용접의 단점으로는 용접부분의 취성파손 및 내부 결함이 생기기 쉽고 검사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용접사의 능력에 따라 용접부의 강도 차이가 남으로 고도의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며 고열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력과 피부에 유해할 수 있으며 폭발의 위험 또한 존재한다.
4. 의견
이번 리포트를 작성하면서 용접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이해하며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중간고사 기간에 공부를 하면서 이해가 잘 되지 않았던 것도 리포트 작성을 하면서 직접 찾아보았더니 이해가 더 잘 되었다. 항상 교수님께서 직접 궁금증을 가지고 찾아보는 게 공부라고 하셨는데 그 말씀이 이해가 되면서 왜 그렇게 강조를 하셨는지 알 것 같았다. 처음에는 협의적인 의미와 광의적인 의미가 무슨 뜻인지 조차 알지 못하였으나 이번 기회에 확실히 이해하고 알 수 있었다. 또한 용접의 장단점을 조사하면서 용접이 어디서 시작되었고 어떠한 방식으로 현재 사용되며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생각해보니 용접에 더 관심이 생기고 금속공학사를 취득하고 싶어졌다. 하지만 용접의 단점중 고온에 의한 화상과 화재, 폭발, 그리고 자외선 적외선 등으로 시력에 미치는 것을 생각하면 무섭기도 하다. 이번 남은 학기동안 박재원 교수님께 용접에 대해 더욱더 많은 것을 배워서 용접에 대하여 확실하게 이해하고 공학사 진로에 대하여 다시 한번더 고민해 봐야겠다.
5. 참고문헌
박재원 저, 용접 공학, 원창출판사, 2017개정
[네이버 지식백과] 용접 [welding, 鎔(熔)接]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용접 [welding, 鎔接, ようせつ]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 용접 [welding] (금속용어사전, 1998. 1. 1., 성안당)
[네이버 지식백과] 용접 [Welding] (학문명백과 : 공학, 형설출판사)
[네이버 블로그] 용접의 장점|작성자 블루, 2009
[네이버 지식In] 단조,주조,압연,용접의 특징과 제품, 2005
사진1 - 용접, 구글이미지, 해양과조선
사진2 - 아이작뉴턴 이야기, 구글이미지, musiki.tistory, 2012
추천자료
용접공학~~ 스테인리스강 용접부분 조직관찰 보고서~~
용접공학 관련
아크용접의 원리와 종류 및 TIG용접의 원리
용접의 원리와 분류 및 응용사례와 특징
절단및 아크용접실험 보고서-기계공학과
용접공학 중간고사 대비
용접공학 실험 - 용접 열영향부 미세조직 관찰
[용접 실습 보고서] 용접의 개념 및 원리와 분류 및 용도
재료공학실습 - 액체 침투 탐상 검사(Liquid Penetrant Testing) : 용접품, 단조품, 주강품, ...
[건축학] 철골구조 (鐵骨構造 / steel structure) (철골구조의 정의, 철골구조의 장단점, 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