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의 가족변화와 가족문제
I. 핵가족 이념의 확대
II. 가부장권의 축소
III. 탈가족화
IV. 가족의 다양성 증가
V. 대안가족의 등장
VI. 분산가족의 증가
* 참고문헌
I. 핵가족 이념의 확대
II. 가부장권의 축소
III. 탈가족화
IV. 가족의 다양성 증가
V. 대안가족의 등장
VI. 분산가족의 증가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념에 근거한다.
서구와 같이 가족의 핵심이 부부관계에 있는 곳에서는 이혼 전 단계의 공식적인 별거가 아니고는 장기간 남편과 아내의 분리거주는 상상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가족분산은 공업화 이후 지속되어 왔다. 주로 남편의 직장이 지방일 때 남편은 지방에, 아내는 자녀교육을 위해 대도시에 머무는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부부는 주로 주말부부 또는 주말가족으로 불렸다. 남편이 외국에 유학 중일 때에도 분산 또는 부부별거는 당연한 것으로 여겨졌다.
오늘날에는 경제적 상황, 교육여건의 변화, 전 지구화로 민해 과거 주말부부 형태의 가족분산이 국제적 분산으로 확산되었고, 이로 인한 문제가 사회적 쟁점으로까지 부각되고 있다. 이처럼 국경을 넘어 떨어져 지내는 가족을 일컬어 '초국적 기족(transnational family)' 내지 그 과정을 강조하여 '전 지구적 가족 형성(global househoding)'이라 한다.
한편, 은퇴 후에 자식들과 헤어져서 부부끼리 또는 본인 단독으로 해외에서 거주하는 삶을 계획하는 사람도 있다. 적지 않은 사람이 은퇴 후에 우리나라보다 생활비는 적게 들면서 환경과 기후 조건은 좋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사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은퇴자 해외이주'의 장점으로는 노인에게 적합한 따뜻한 기후와 한국보다 청정한 환경, 저렴한 생활비 등이 있고, 단점으로는 가족과의 단절감, 외국생활에서 오는 외로움, 언어소통의 어려움 등이 지적된다. 평균수명이 늘어나는 데도 은퇴 시기는 앞당겨지는 추세와 더는 자식의 부양을 기대하지 못하는 분위기 속에서 은퇴 후의 해외이주는 점점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가족분산은 한국의 전통적 가족이념이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으며, 그것이 한국인의 삶에 어떤 의미를 가져다주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예로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서구와 같이 가족의 핵심이 부부관계에 있는 곳에서는 이혼 전 단계의 공식적인 별거가 아니고는 장기간 남편과 아내의 분리거주는 상상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가족분산은 공업화 이후 지속되어 왔다. 주로 남편의 직장이 지방일 때 남편은 지방에, 아내는 자녀교육을 위해 대도시에 머무는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부부는 주로 주말부부 또는 주말가족으로 불렸다. 남편이 외국에 유학 중일 때에도 분산 또는 부부별거는 당연한 것으로 여겨졌다.
오늘날에는 경제적 상황, 교육여건의 변화, 전 지구화로 민해 과거 주말부부 형태의 가족분산이 국제적 분산으로 확산되었고, 이로 인한 문제가 사회적 쟁점으로까지 부각되고 있다. 이처럼 국경을 넘어 떨어져 지내는 가족을 일컬어 '초국적 기족(transnational family)' 내지 그 과정을 강조하여 '전 지구적 가족 형성(global househoding)'이라 한다.
한편, 은퇴 후에 자식들과 헤어져서 부부끼리 또는 본인 단독으로 해외에서 거주하는 삶을 계획하는 사람도 있다. 적지 않은 사람이 은퇴 후에 우리나라보다 생활비는 적게 들면서 환경과 기후 조건은 좋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사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은퇴자 해외이주'의 장점으로는 노인에게 적합한 따뜻한 기후와 한국보다 청정한 환경, 저렴한 생활비 등이 있고, 단점으로는 가족과의 단절감, 외국생활에서 오는 외로움, 언어소통의 어려움 등이 지적된다. 평균수명이 늘어나는 데도 은퇴 시기는 앞당겨지는 추세와 더는 자식의 부양을 기대하지 못하는 분위기 속에서 은퇴 후의 해외이주는 점점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가족분산은 한국의 전통적 가족이념이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으며, 그것이 한국인의 삶에 어떤 의미를 가져다주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예로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추천자료
[현대가족문제] 현대 가족, 한국(우리나라) 가족의 문제 - 현대가족의 이해, 가족 변화양상, ...
[가족관계] 현대사회에 있어 가족의 의미와 특성, 가족의 변화 양상에 대해 서술하시오 - 가...
[가족복지론] 현대 한국 사회의 변화와 함께 나타난 가족의 변화를 설명하고, 이와 함께 등장...
가족의 다양한 정의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나라 가족의 형태의 특징과 변화양상에 대해 논하시오
[성 사랑 사회 C형] 현대 사회에서 가족의 의미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점차 다양해지는 ...
[성사랑사회C형] 현대 사회에서 가족의 의미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점차 다양해지는 가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