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준 ‘석양’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태준 ‘석양’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품 줄거리
2. 인물의 성격, 시간과 공간
(1) 인물의 성격
(2) 소설의 시간과 공간
3.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본문내용

‘타옥’과 헤어진 이후 여관방에 누워 ‘타옥’을 생각하면서 행동하지 못하는 상태에 빠져 있을 때, “메마른 두 손을 배 위에 맞잡고 무엇인지 자기의 마디마디뼈를 해마다 무게를 가해 누르는 그 무형한 힘에서 편안히 인종하려 한다.” 또한 “매헌에겐 늙음이 오는 새 타옥에겐 청춘이 절정으로 올라 닿는 듯하였다.”, “자기가 다섯 번을 쉴 새 그는 여섯 번은 쉬어야 된다.” 등과 같이 말한다.
3.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소설 ‘석양’은 ‘불륜’을 떠올리기 쉬운 여행을 나온 유부남 작가와 젊은 여자의 만남 이야기이다. 그런데 두 인물의 성격이나 소설의 장치들이 ‘불륜’으로 향하지 않게 한다. 이 소설이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의 이야기라면 그것은 ‘매헌’에게 국한된 사랑이다. ‘매헌’은 ‘타옥’을 통해 ‘천진’을 느끼고, 종교적 숭배의 대상으로까지 생각하지만 ‘타옥’의 ‘천진성’은 이런 것에 구애되지 않는다. 그녀의 ‘천진’은 어떤 표준적 기준으로 자신을 평가하여 자신의 가치를 드러내거나 다른 사람보다 우월한 자신의 모습에서 어떤 가치를 찾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자신의 모습에서 가치를 찾는다. 즉, ‘매헌’만의 사랑이다. 그녀가 “선생님! 저이들 장래를 축복해 주세요 네?”라고 쓴 것을 보면 그녀 역시 ‘매헌’의 감정을 알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또한 ‘오릉’, ‘영지’, ‘해운대’라는 공간적 배경과 ‘석양’, ‘겨울’이라는 시간적 배경, 여러 공간에서 나타나는 물의 이미지는 ‘매헌’의 사랑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을 보여 주는 소설적 장치이다. ‘석양’이 그렇듯 인간 역시 항상 변할 수 있는 존재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11.02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83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