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폭발위험장소의 분류과정
2. 2종 장소의 방폭 구조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Ⅱ. 본 론
1. 폭발위험장소의 분류과정
2. 2종 장소의 방폭 구조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스분위기가 용기의 내부로 유입되기 어렵게 설계되는 방폭구조이다. 따라서 용기 내부의 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한다. 유입 방폭구조는 일정 이상의 유량의 유지를 통해 점화원이 될 수 있는 요소를 유중에 포함시켜 폭발성 가스의 인화를 방지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필요유량의 유지가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이외로 방폭 전기기기의 선정원칙에 따른 비 점화용 방폭구조가 존재한다. 이는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스위치가 없는 고정설치된 기구로서 정상적인 사용의 표면온도가 발화점의 80%를 초과하지 않는 고온에 대한 낙하방지 가드가 존재하는 비 방폭형 구조를 의미한다.
Ⅲ. 결 론
지금까지 폭발위험장소의 분류에 대해 알아보고 2종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방폭 구조들에 대해 서술해 보았다. 이는 폭발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서 사용되는 설비들에 대한 적절한 선정과 설치에 대한 지침이기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기준이다. 따라서 신중함과 면밀한 검토의 필요성이 반드시 요구되는 부분이라 생각된다.
Ⅳ. 참고문헌
1. 폭발위험 장소의 구분(KS C IEC 60079).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2012
2. 전기 방폭의 기본. 안전보건공단. www.kosha.or.kr
Ⅲ. 결 론
지금까지 폭발위험장소의 분류에 대해 알아보고 2종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방폭 구조들에 대해 서술해 보았다. 이는 폭발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서 사용되는 설비들에 대한 적절한 선정과 설치에 대한 지침이기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기준이다. 따라서 신중함과 면밀한 검토의 필요성이 반드시 요구되는 부분이라 생각된다.
Ⅳ. 참고문헌
1. 폭발위험 장소의 구분(KS C IEC 60079).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2012
2. 전기 방폭의 기본. 안전보건공단. www.kosha.or.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