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엔터테인먼트 경영전략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M엔터테인먼트 경영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선정배경
2. 기업소개
3. 기업의 비전 및 목표 가치
1) 아시아를 대표하는 CT회사로의 발전
2) 인터넷과 모바일 시장을 이끌어갈 최고의 Digital Contents Provider
3)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성장
4. 업의본질
1) 엔터테인먼트 산업 소개
2) K-pop시장 산업
3) 시장의 특성
4) 위협요소
5) 잠재적 진출기업에 대한 위협
6) 뛰어난 마케팅과 기획 능력

Ⅱ. 본론
1. SM엔터테인먼트의 지속적 성장요인 분석
1) 기업차원의 전략
2) 사업부차원의 전략
3) 제품차원의 전략
2. 7S 시스템으로 분석한 SM의 한국적 경영요소
1) Strategy
2) Shared Value
3) Skills
4) Systems
5) Staff
6) Style
7) Structure

Ⅲ. 결론
3.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바에 대해서는 도전을 하였고 성공하였다. 예를 들어, 다른 기획사들이 한창 미국 또는 유럽 등의 서구시장에 눈을 돌린 반면 이수만 회장은 중국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 요즘 K-POP열풍을 생각하면 서구시장에 마케팅 공략을 하는 것이 유리해 보일 수 있겠으나 이수만 회장은 중국시장 확보가 우선이라고 생각하여 중국시장 공략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이수만의 카리스마적 경영방식은 대다수 한국의 경영방식인 ‘경영자 위주’적 경영방식에 접목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많은 기업들이 TOP-DOWN 방식의 경영을 하고 있는데 SM의 이수만 회장 역시 이러한 경영방식을 사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BOTTOM-UP방식의 경영방식도 유행이라고는 하지만 이수만 회장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안목과 경영적 안목에 비추어 볼 때, 이수만 회장 위주의 경영방식은 SM을 성장시키는데 큰 원동력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7) Structure
SM은 현재 많은 계열사를 가지고 있다.
상호
주요사업
SM 엔터테인먼트 T JAPAN Inc.(주)
일본지역 매니지먼트
SM 엔터테인먼트 USA Inc.
미국지역 매니지먼트
SM 엔터테인먼트 T BEJING CO. LTD
중국지역 매니지먼트
DREAMMAKER Entertainment Ltd
국내외 공연사업
㈜스타라이트
학원운영 사업
이 외에도 SM은 영상 콘텐츠 제작 및 매니지먼트를 전문으로 하는 회사, 외식 및 외식 프랜차이즈를 전문으로 운영되는 회사 등 각 분야에 전문성을 두기 위해서 조직 구조를 다양화 시켰다. 이뿐 아니라 SM은 직업의 특징도 고려하여 대부분 가수 및 연기자를 관리하는 지배기업인 SM은 최근 전입한 강호동, 신동엽, 이수근, 전현무 등과 같이 프리랜서 MC 및 희극인을 관리하는 SM사의 계열사인 SM C&C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체계적인 구조 시스템은 SM이 여러 가지 사업을 하는데 있어서 성공의 요인이 되었다.
이는 한국적 경영방식의 특징인 ‘스피드와 팀워크’ 대한 예로 들 수 있다. 우리나라의 농경문화는 협력과 강력한 리더십으로 경영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SM도 마찬가지로 이수만 회장의 강력한 리더십 아래 여러 회사들이 유기적이고 협력적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한국적 경영구조가 SM이 지금까지 안정적으로 운영되는지 보여주는 한 단면이라 볼 수 있겠다.
Ⅲ.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SM이라는 기업을 살펴보았다. SM은 국내 최고의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오고 있는데 기업 고유의 강점과 한국적 경영요소가 결합되어 지금의 이 자리까지 올 수 있었다. 간혹 한국적 경영요소는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실질적으로 기업을 소유한 오너의 지분은 얼마 되지 않지만 오너 위주의 경영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경영방식은 세계적인 흐름으로 볼 때 개선해야할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한국적 경영요소가 있었기 때문에 기업이 보다 공격적인 투자를 할 수 있어 성장의 동력이 되었던 것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SM이 더욱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도전적 목표설정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해야 한다. 하지만 실현 불가능한 목표를 설정하면 조직의 피로도만 높아지기 때문에 적절한 도전적 목표를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두 번째로 가족같은 분위기를 통해 소속 가수들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해야 한다. 셋째로 우리나라는 IT수준이 세계최고인데 이러한 기술들과 CT기술을 접목시킬 수 있어야 한다. 넷째로 우리나라만의 체계적인 시스템을 적절히 이용해야 하는데 무작정 해외의 시스템만 따라하는 것 보다 온고지신의 자세로 받아들일건 받아들이고 발전시킬 것은 발전시켜야 한다. 다섯째로 한 명의 스타를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스텝들의 노력이 필요한데 개개인의 능력만 믿고 따로 노는 것 보다 전체를 보고 희생할 수 있어야 한다. 여섯째는 SM이 아무리 국내 최고의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라고 하지만 세계시장에서 경쟁하기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최고경영자의 리더십이 중요한데 그만큼 최고경영자가 책임감을 갖고 회사를 이끌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팀워크를 통한 결속이 중요하다. SM은 세계 여러 나라에 자회사를 두고 있는데 이들은 SM이라는 하나의 구조 속에 묶을 수 있어야 한다. 비록 생김새가 다르고 언어가 다르더라도 SM안에서 우리는 하나라는 인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참고문헌
1. SM타운 페이스북 페이지 http://www.facebook.com/smtown()
2. 김영민 대표, 매일경제문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2&no=20677
3.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205217438g
4. F(x) 컴백소식 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39119557338804010
5. 연출 매니저 훈련 수첩: http://www.doc88.com/p-907960974029.html
6. 백도문고(중국 웹사이트): http://wenku.baidu.com/view.html
7. 텅신(중국 웹사이트): http://news.QQ.com
8. 이투데이 뉴스 2013.4.12.일자 ‘공룡 “SM” 더 큰 무대 기획하다’
9. LG주간경제 2004.11.24 이병주 연구원 ‘한국적 경영혁신의 특징과 한계’
10. 김환표 “전 세계에 SM공동체 건설을 꿈꾸다”
11. 한국콘텐츠 진흥원 상상발전소 ‘SM공연과 기술의 융화 - 가상현실에서 가능성을 찾다’
12. 스타투데이 2013.03.12. “SM YG JYP 핵심부서...A&R을 보면 회사가 보인다.”
13. 헤럴드 경제 장연주 기자 2012.07.06. ‘SM, 매년 30만명 오디션·스타육성에만 50억 투자’
14. ‘연예 IN 연예 人 고재열의 독설닷컴 2013.05.30 SM이수만, JYP박진영, YG양현석 리더십 비교’
15. SM사업보고서
16. 전 세계에 SM공동체 건설을 꿈꾼다, 김환표
17. ChosunBiz 김성수, 김경준 2013.01.11. ‘유목민 스피드에 유교적 리더십 “한국 스타일” 경영에 미래 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8.11.12
  • 저작시기201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9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