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양력장치
1. 앞전플랩
2. 뒷전플랩
2. 고항력장치
1. 공중/지상 스포일러
2. 역추력장치
3. 제동 낙하산
1. 앞전플랩
2. 뒷전플랩
2. 고항력장치
1. 공중/지상 스포일러
2. 역추력장치
3. 제동 낙하산
본문내용
앞전 반지름을 크게 하여 양력을 증가시키는 장치이다.
경계층 제어 장치
받음각이 클때 흐름의 떨어짐을 직접 방지하는 장치이다. 불어날림과 빨아들임 방식이 있는데, 불어날림 방식은 고압의 공기를 날개면 뒤쪽으로 분사하여 경계층을 불어 날리는 방식이다. 빨아들임 방식은 날개 윗면에서 흐름을 강제적으로 빨아들여 흐름의 가속을 촉진함과 동시에 흐름의 떨어짐을 방지하는 방식이다.
2.고항력 장치
고항력 장치는 양력을 증가시키는 고양력 장치나 항력 감소 장치들은 비행기의 양항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들이다. 반면에, 항공기에는 항력만을 증가시키는 장치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는 비행기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이 된다. 고양력 장치에는 에어/지상 스포일러, 역추력 장치, 제동 낙하산이 있다.
공중/지상 브레이크
공중/지상 브레이크는 날개 중앙 부분에 부착하는 일종의 평판이고, 이것을 날개 윗면, 또는 밑면에 펼침으로써 흐름을 강제로 떨어지게 하여 양력을 감소시키고 항력을 증가시키는 장치이다. 기체에 따라서는 동체의 뒤쪽에 붙이는 것도 있다. 대표적인 스포일러(Spoiler)가 고속 비행 중에 좌우 날개에 대칭적으로 스포일러는 펼치면 에어/지상 브레이크에서의 기능을 가지게 되고 보조 날개와 연동해서 좌우 비대칭적인 작동을 시키면 보조 날개의 역할을 보조하는 기능이 된다.
역추력 장치(thrust reverser)
제트기에서는 기관의 배기가스를 막는 판, 또는 편류시키는 판을 이용해서 배기가스 흐름을 억류시켜 추력의 방향을 반대로 바꾸는 방법이 있다. 이 장치를 역추력 장치라 한다. 기체에 따라서는 비행 중에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착륙 후의 활주 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서 지상에서만 사용되는 예가 많다.
드래그 슈트(drag chute)
고속항공기가 착륙할 때 활주거리를 단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낙하산을 제동 낙하산이라고도 한다. 접지 직전이나 직후에 동체의 꼬리 쪽에서 방출되어 펴져서 항공기의 저항을 급증시켜 브레이크 작용을 한다. 제동 낙하산은 낙하산 자체를 작게 접을 수 있으므로 설치 위치나 공간에 대한 문제가 적은 데다가 무게도 작다. 또한 공기저항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커지므로, 바퀴브레이크가 효과를 내기 전인 고속 시에 최대의 효과를 올릴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더구나 활주로가 젖었거나 미끄러지기 쉬운 상태일 때는 바퀴브레이크의 효력은 전혀 기대할 수 없고, 이러한 공력적인 브레이크가 효과적이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결론>
고양력장치에는 뒷전플랩과 앞전플랩에 따라 분류되는 여러 플랩과 양력을 증가시켜주는 장치들이 있었으며 고항력장치에는 에어/지상 브레이크와 역추력장치, 제동 낙하산이 있었다. 이번 레포트를 통하여 내가 고양력장치와 고항력장치에 대해 다 알고 있었다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몰랐던 점이 너무 많았다.
<참고 문헌>
항공 산업기사(성안당)
비행원리
http://aviation-team.tistory.com/57
https://cafe.naver.com/kingofthepilot
경계층 제어 장치
받음각이 클때 흐름의 떨어짐을 직접 방지하는 장치이다. 불어날림과 빨아들임 방식이 있는데, 불어날림 방식은 고압의 공기를 날개면 뒤쪽으로 분사하여 경계층을 불어 날리는 방식이다. 빨아들임 방식은 날개 윗면에서 흐름을 강제적으로 빨아들여 흐름의 가속을 촉진함과 동시에 흐름의 떨어짐을 방지하는 방식이다.
2.고항력 장치
고항력 장치는 양력을 증가시키는 고양력 장치나 항력 감소 장치들은 비행기의 양항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들이다. 반면에, 항공기에는 항력만을 증가시키는 장치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는 비행기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이 된다. 고양력 장치에는 에어/지상 스포일러, 역추력 장치, 제동 낙하산이 있다.
공중/지상 브레이크
공중/지상 브레이크는 날개 중앙 부분에 부착하는 일종의 평판이고, 이것을 날개 윗면, 또는 밑면에 펼침으로써 흐름을 강제로 떨어지게 하여 양력을 감소시키고 항력을 증가시키는 장치이다. 기체에 따라서는 동체의 뒤쪽에 붙이는 것도 있다. 대표적인 스포일러(Spoiler)가 고속 비행 중에 좌우 날개에 대칭적으로 스포일러는 펼치면 에어/지상 브레이크에서의 기능을 가지게 되고 보조 날개와 연동해서 좌우 비대칭적인 작동을 시키면 보조 날개의 역할을 보조하는 기능이 된다.
역추력 장치(thrust reverser)
제트기에서는 기관의 배기가스를 막는 판, 또는 편류시키는 판을 이용해서 배기가스 흐름을 억류시켜 추력의 방향을 반대로 바꾸는 방법이 있다. 이 장치를 역추력 장치라 한다. 기체에 따라서는 비행 중에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착륙 후의 활주 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서 지상에서만 사용되는 예가 많다.
드래그 슈트(drag chute)
고속항공기가 착륙할 때 활주거리를 단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낙하산을 제동 낙하산이라고도 한다. 접지 직전이나 직후에 동체의 꼬리 쪽에서 방출되어 펴져서 항공기의 저항을 급증시켜 브레이크 작용을 한다. 제동 낙하산은 낙하산 자체를 작게 접을 수 있으므로 설치 위치나 공간에 대한 문제가 적은 데다가 무게도 작다. 또한 공기저항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커지므로, 바퀴브레이크가 효과를 내기 전인 고속 시에 최대의 효과를 올릴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더구나 활주로가 젖었거나 미끄러지기 쉬운 상태일 때는 바퀴브레이크의 효력은 전혀 기대할 수 없고, 이러한 공력적인 브레이크가 효과적이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결론>
고양력장치에는 뒷전플랩과 앞전플랩에 따라 분류되는 여러 플랩과 양력을 증가시켜주는 장치들이 있었으며 고항력장치에는 에어/지상 브레이크와 역추력장치, 제동 낙하산이 있었다. 이번 레포트를 통하여 내가 고양력장치와 고항력장치에 대해 다 알고 있었다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몰랐던 점이 너무 많았다.
<참고 문헌>
항공 산업기사(성안당)
비행원리
http://aviation-team.tistory.com/57
https://cafe.naver.com/kingofthepilot
추천자료
자성체 세라믹스(자기 특성 장치)의 특성 및 종류와 활용 분야에 대하여
고양력장치와 고항력장치
[항공역학] 고항력장치(High Drag Device)와 고양력장치(High Lift Device)에 대하여
고양력장치(High Lift Device)와 고항력장치(High Drag Device)란? 정의와 종류
고양력장치(High Lift Device), 고항력장치(High Drag Device)
고양력장치와 고항력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고양력 장치와 고항력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고양력장치와 고항력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항공역학 리포트 고양력장치와 고항력장치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