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모의상황을 설정하여 학습자의 의사결정을 촉진. ‘교육과정의 너른 재구성’과 ‘교과서 내용에 많은 변화주기’라는 최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는 개정 교육과정을 변용하는 최교사의 수업패턴과 불일치. 이런 간극만큼 최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는 모호하고 흐릿. 최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는 박교사에 비해 추상적인 진술. 이런 간극은 최교사의 개정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수업패턴을 형성하고 변환시키는 힘.
▶두 교사의 수업패턴을 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에 의해 해석.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는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교사의 관점, 정향, 가치를 함축.
▶교사가 교실수업에서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양상은 일정한 패턴. 이것은 실행하는 교사의 관점, 정향, 가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는 교사의 교육과정 이해의 산물.
▶두 교사는 상호멘토링 과정에서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과 방향을 논의하면서 개정 교육과정의 ‘대강화’방침이 주창하는 교사의 자율성 확보에 대해 공감. 그러나 이것은 두 교사에게 다른 실행의 양상으로 나타남. 박교사는 교사의 자율성을 자신이 처한 현실과 동떨어진 이상적 상황. 이것은 박교사가 개정 교육과정을 수업에서 실행할 때의 딜레마의 원인. 최교사는 수업에서 개정 교육과정을 실행하면서 교과서 내용을 준거점으로 설정. 이것은 최교사가 교사의 자율성을 교육과정의 적극적 재구성으로 이해한 바와 딜레마를 낳는 원인. 최교사의 딜레마는 최교사의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교사의 자율성 이해에 질곡을 가져옴. 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는 이런 교사의 자율성 딜레마와 밀접히 맞닿아 있음. 두 교사의 자율성 딜레마는 두 교사가 교육과정 재구성을 바라보는 시선을 일정하게 재단하는 근원.
▶교과서가 개정 교육과정의 ‘대강화’방침에 의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텍스트에 대해 자율성을 확보하였다고 해도, 이것은 교육과정 텍스트의 방향과 방침을 준수하는 한도 내의 상대적 자율성. 교육과정 텍스트는 교과서 내용을 통해 현실화. 교과서는 교육과정 텍스트가 서술하고 있는 내용지식의 체계와 계열성에 따라 구성된 단원의 집합체. 교과서의 단일성을 가정하는 국정교과서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사회과는 교육과정텍스트와 교과서가 하나의 패키지처럼 일체화되는 모습. 교과서 저자의 자율성은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과 방침과 교과서 내용의 끊임없는 대화 속에서 형성. 왜냐 하면, 국정교과서 체제에서 개정 교육과정의 구심력을 해체하기 어려움.
▶본 연구는 박교사와 최교사의 사례를 통해 2007 개정 초등사회과교육과정이 실행되는 양상을 연구하였으나, 여기서 밝혀진 수업패턴이 다른 교사들의 수업패턴을 포괄할 수 있는 것은 아님. 물론, 연구자의 의도가 일반화된 패턴을 발견하려 하는데 있는 것은 아님. 다만,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2007 개정 초등사회과교육과정이 교실수업에서 이해되고 실행되는 양상을 탐색하고 일정한 패턴을 발견하는 것이 필요. 이를 통해 교육과정텍스트의 의미를 수업의 맥락에서 확장, 심화하는 교사의 존재와 그 관계에 대한 탐구가 진행되었으면 함.
※ 논의 쟁점
개정 초등사회과교육과정에서는 교사에게 교육과정 재구성자로서 역할과 책무를 부여한다. 교육과정 재구성에서의 구체적인 교사의 역할은 무엇일까? 논문을 읽으면서 나의 수업패턴과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나의 수업패턴과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는 논문에 제시된 최교사와 비슷한 것 같다. 초등사회과교육과정에서의 나의 수업패턴과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는 무엇일까? 최교사처럼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와 수업패턴이 불일치할 때 일치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두 교사의 수업패턴을 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에 의해 해석.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는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교사의 관점, 정향, 가치를 함축.
▶교사가 교실수업에서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양상은 일정한 패턴. 이것은 실행하는 교사의 관점, 정향, 가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는 교사의 교육과정 이해의 산물.
▶두 교사는 상호멘토링 과정에서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과 방향을 논의하면서 개정 교육과정의 ‘대강화’방침이 주창하는 교사의 자율성 확보에 대해 공감. 그러나 이것은 두 교사에게 다른 실행의 양상으로 나타남. 박교사는 교사의 자율성을 자신이 처한 현실과 동떨어진 이상적 상황. 이것은 박교사가 개정 교육과정을 수업에서 실행할 때의 딜레마의 원인. 최교사는 수업에서 개정 교육과정을 실행하면서 교과서 내용을 준거점으로 설정. 이것은 최교사가 교사의 자율성을 교육과정의 적극적 재구성으로 이해한 바와 딜레마를 낳는 원인. 최교사의 딜레마는 최교사의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교사의 자율성 이해에 질곡을 가져옴. 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는 이런 교사의 자율성 딜레마와 밀접히 맞닿아 있음. 두 교사의 자율성 딜레마는 두 교사가 교육과정 재구성을 바라보는 시선을 일정하게 재단하는 근원.
▶교과서가 개정 교육과정의 ‘대강화’방침에 의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텍스트에 대해 자율성을 확보하였다고 해도, 이것은 교육과정 텍스트의 방향과 방침을 준수하는 한도 내의 상대적 자율성. 교육과정 텍스트는 교과서 내용을 통해 현실화. 교과서는 교육과정 텍스트가 서술하고 있는 내용지식의 체계와 계열성에 따라 구성된 단원의 집합체. 교과서의 단일성을 가정하는 국정교과서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사회과는 교육과정텍스트와 교과서가 하나의 패키지처럼 일체화되는 모습. 교과서 저자의 자율성은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과 방침과 교과서 내용의 끊임없는 대화 속에서 형성. 왜냐 하면, 국정교과서 체제에서 개정 교육과정의 구심력을 해체하기 어려움.
▶본 연구는 박교사와 최교사의 사례를 통해 2007 개정 초등사회과교육과정이 실행되는 양상을 연구하였으나, 여기서 밝혀진 수업패턴이 다른 교사들의 수업패턴을 포괄할 수 있는 것은 아님. 물론, 연구자의 의도가 일반화된 패턴을 발견하려 하는데 있는 것은 아님. 다만,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2007 개정 초등사회과교육과정이 교실수업에서 이해되고 실행되는 양상을 탐색하고 일정한 패턴을 발견하는 것이 필요. 이를 통해 교육과정텍스트의 의미를 수업의 맥락에서 확장, 심화하는 교사의 존재와 그 관계에 대한 탐구가 진행되었으면 함.
※ 논의 쟁점
개정 초등사회과교육과정에서는 교사에게 교육과정 재구성자로서 역할과 책무를 부여한다. 교육과정 재구성에서의 구체적인 교사의 역할은 무엇일까? 논문을 읽으면서 나의 수업패턴과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나의 수업패턴과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는 논문에 제시된 최교사와 비슷한 것 같다. 초등사회과교육과정에서의 나의 수업패턴과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는 무엇일까? 최교사처럼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와 수업패턴이 불일치할 때 일치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추천자료
교육과정 재구성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
유치원 초등학교 저학년 연계교육에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인식과 태도
국어교육의 이해 요약정리
초등사회교육, 평화수업
[사회과교육][ICT활용]사회과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목표, 사회과 ICT활용교육(정보통신...
초등학교 6학년 교육목표와 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와 영어과 교육과정, 초등...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의미, 교육과정의 관점, 교육과정의 개발 접근, 학교중심교육과정 개발...
중1) 국어 <국어과 교육과정의 이해> 7학년 1학기 - 2. 읽기의 바탕 : (2) 옛 그림 읽기
제7차 교육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