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운동의 등장과 기독교의 사회참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민운동의 등장과 기독교의 사회참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995년에 한민연은 민중교회 희년선언을 발표했는데 여기에서 민중의 외연이 확대된 것을 알 수 있다. 민중은 노동자, 농민, 빈민 뿐 아니라 장애인, 여성, 양심수, 외국인 노동자로까지 확대되었다. 지역 민교는 인천 지역 외에는 거의 해체되거나 무력화되었다. 이시기의 특징은 민중교회운동의 구심력의 약화와 원심력의 강화다. 조직적 구심점이 약화되면서 상대적으로 개교회의 다양한 활동이 펼쳐졌다.
(6) 결론
민주화 시기 이전의 우리 사회에는 자신들의 권리와 존재를 위협당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의 권리와 존재를 보장해주기 위해 당시 민중교회들은 움직였다. 그들은 당시 아직 성숙하지 못했던 사회운동을 보호하고 양육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교회의 활동을 단순한 사회운동의 일환으로, 그 대상을 특정한 계급으로 한정지을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때때로 그러한 양태를 보이기도 했다. 그 결과 아이러니하게도 그들은 민중들에게 외면당하며 정체성의 위기를 맞기도 한다. 이처럼 여러 가지 보완해 나가야할 문제점들이 있지만 여전히 사람들이 자신들의 권리와 존재를 위협당하는 현실에 교회가 움직여야 한다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복음주의 기독교의 사회 참여에 대한 평가는 우선 그들의 사회 참여의 배경이 우리의 생각이 바뀌어서 사회 참여가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이 안타까웠다. 74년 로잔언약으로부터 시작하여 여러 서양의 선언들이 손봉호 이만열 등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어서 시작되었다. 결국 서양의 신학적 사상의 변화에 의해서 사회 참여가 시작 된 것이다. 진보적인 교회의 민중 신학과 같은 우리 고유의 신학적 배경 없이 사회 참여를 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기윤실 경실연등이 복음주의 진영의 사회 참여의 출발이고 주도 단체였다는 것과 이런 단체들과 활동들이 87년 6월 항쟁이후 시민운동의 시발점이 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뿐만 아니라 후대의 시민 활동과 단체와 NGO의 설립과 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준 점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공적인 면이 있다면 과적인 부분도 존재하기 마련이다. 이런 단체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시대가 흐름에 따라 그리고 그 단체들을 후원하던 교회들이 대형교회가 됨에 따라서 이 첫 마음 즉 초심을 잃고 부패하였다는 것이 이들의 문제점이다.
참고자료
『한국기독교의 역사 3』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9
논문『민중교회 선교역사(1983-1997)』황홍렬 2001년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1.20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08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