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지체 아동의 과학과 교수학습지도 방법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지체 아동의 과학과 교수학습지도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과학교육의 성격

2. 정신지체 아동과 과학교육
1) 정신지체 아동의 인지적 및 심리적 특성
(1) 주의집중력
(2) 의미론적 기억
(3) 논리적 사고력
(4) 외향성
2) 정신지체 아동과 과학교육의 필요성

3. 정신지체 아동의 과학과 교수학습지도 방법
1) 정신지체 아동의 과학교육 방향
2) 과학과 교수학습지도 시 유의점

4. 정신지체 아동의 과학과 교수학습 지도 방법 및 실제
1) STS학습 모형
(1) 개관
(2) 기본교육과정과 STS교육
(3) STS교육의 실제
2) 순환학습 모형
(1) 개관
(2) 기본교육과정과 순환학습 모형
(3) 순환학습모형의 실제
3) 경험학습 모형
(1) 개관
(2) 경험학습모형의 실제
4) 놀이 중심의 과학학습 모형
(1) 개관
(2) 놀이 중심의 과학학습 모형의 실제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 서론

흔히 21세기를 정보화 사회라고 말한다. 이 새로운 패러다임이 전개되는 사회는 과학기술이 주도할 것이며 따라서 과학교육 역시 매우 중요한 국가적 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국가적 필요 외에도 과학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다는 점에서 배울만한 가치가 있는 교과이다. 이는 정신지체 아동이라고 예외일 수 없다. 경험으로서의 과학을 배웠을 때 정신지체 아동의 삶은 질적 양적으로 발전할 것이다.
그러나 정신지체 아동들은 비장애 아동과 비교했을 때, 과학을 배우는데 있어 더 적은 기회를 가지며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개발 역시 적은 편이다. 이런 현실은 정신지체 아동에 대한 편견과 교사들의 부정적인 인식에 기인한다.
많은 사람들은 정신지체 아동은 과학 학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과학에 대한 흥미도 잘 느끼지 못하고, 실험기구를 제대로 조작할 수 없을 것이란 편견을 가지고 있다. 특수 교사들 조차 정신지체 아동들이 과학 실험을 수행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따른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과학 학습 효과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정신지체 아동은 비장애 아동과 동등한 과학 학습의 기회를 제공받지 못하며, 특수교육에서 과학교육은 타 교과에 비해 적은 관심을 받아왔다.
때문에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과학과 교수학습 방법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정신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과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과학과 연구자료, 일반 초등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참고할 수밖에 없었다. 본론에서는 과학교육의 성격 및 정신지체 아동의 인지적 특성과 과학과의 교수학습 지도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18.11.20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10710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