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의 생애를 통해 본 『구운몽(九雲夢)』
2) 유교(儒敎), 불교(佛敎), 도교(道敎)의 삼교사상설(三敎思想說)
3) 불교사상(佛敎思想)으로 본 『구운몽(九雲夢)』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의 생애를 통해 본 『구운몽(九雲夢)』
2) 유교(儒敎), 불교(佛敎), 도교(道敎)의 삼교사상설(三敎思想說)
3) 불교사상(佛敎思想)으로 본 『구운몽(九雲夢)』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6
도교와 융합되기도 하여 천상의 선관, 선녀가 죄를 짓거나 상제의 명령을 받아 속세에 환생하는 예가 많았다.
셋째, 인과응보사상이다. 권선징악적인 면과 결부하여 착한 일을 많이 한 사람은 복을 받고, 남에게 악한 일을 많이 하면 화를 입는다는 것이다. <구운몽>의 유복자로 태어나 부친의 얼굴을 보지 못하여 전생의 적악으로 알려진 것이 인과응보적인 면이다.
불교관념은 우리 문학에 다양하고 풍부한 환상적 세계와 환상적인 인물들을 마련해 주었다. 염라대왕이나 보살형상들이 곧 그러하며, 김시습의 <남여부주지>의 염부주는 곧 불교의 지옥설에 기초하고 있으며, <구운몽>의 천상세계 등은 모두 불교관념에서 나온 형상들이다. 위의 책, pp.49-50
그리고 남섬부주가 다른 곳과 구분되는 중요한 특징은 이곳이 부처님이 출현한 곳으로서 성불할 수 있는 유일한 장소라는 점이다. 인간계에서의 삶을 무상하다고 보는 것이 불교의 가치 체계이지만 불교에서의 궁극 목표인 해탈은 남섬부주에서의 삶을 성공적으로 살았을 때에만 가능하다.
<구운몽>에서는 하늘에서 불경 공부를 하던 성진이 금욕적인 계율을 어긴 죄로 팔선녀와 함께 지옥에 떨어졌다 다시 인간 세상의 양소유로 환생한 후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다 하늘로 돌아가는데, 이것이 바로 불교의 윤회전생과 제행무상사상에 기초한 환상적산물이라 할 수 있다.
Ⅲ. 결론
<구운몽>의 작가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의 생애, 삼교사상설(三敎思想說), 불교(佛敎)사상 등을 바탕으로 <구운몽>의 배경 사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며, 동기였다.
예학(禮學)의 집안에서 태어나 유학이 뿌리깊게 자리 잡혀 있는 시대에 단지 유학만을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유학을 중심으로 다른 사상들까지도 관련지으려 했던 그의 사상관을 볼 수 있었다.
그 시대의 다른 사람들은 다른 사상에 대해서는 거부하고, 배척하는 모습이 많았다. 그러나 그는 불교와 도교를 대립사상으로만 보지 않고, 오히려 유학을 위주로 관계 회복에 힘썼다. 이러한 그의 생애와 관계되어 <구운몽>에서는 유교(儒敎), 불교(佛敎), 도교(道敎) 사상의 배경으로 표현되었다. 삼교사상(三敎思想)이 주된 배경으로 작용하지는 않았으나, 삼교사상설(三敎思想說)은 <구운몽>의 배경사상을 논하는데 있어서 빠질 수 없는 부분이다.
불교사상(佛敎思想) 면에서 공(空) 사상(思想)에 관련지어 그것을 <구운몽>의 주제라 할 수는 없지만, 배경을 논하는 자리에서는 충분히 이것이 주된 배경사상이라 할 수 있다. <구운몽>은 불교사상을 허구적으로 극대화한 독보적인 작품으로서, 유병환, 구운몽의 불교 사상과 소설미학, 국학자료원, 1998, p.9
아직도 이것의 배경 사상에 관한 논의는 끊이지 않고 있다. 이 글을 쓰며, 여러 각도의 논의를 봐왔고, 혼합사상을 아예 배재할 수는 없겠지만, 불교사상(佛敎思想)에 초점을 두고 이 글을 완성하였다.
§ 참 고 자 료
* 김만중, 김병국 주해, 「구운몽」시인사, 1984
* 김만중, 전규태 주해, 「구운몽」범우사, 1984
* 유병환, 「九雲夢의 불교사상과 소설미학」국학자료원, 1998
* 김병국, 「서포 김만중의 생애와 문학」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 문일환, 「조선 고전 문학연구」 한국문화사, 1994
* 허문섭, 「조선 고전 문학사」 한국문화사, 1996
* 반교어문학회, 「고소설의 사적 전개와 문학적 지향」 도서출판 보고사, 2000
* http://www.kbufkn.org/substext/sangsik_1d.htm
* http://sojungmd.netian.com/munhak/godae-sosul/godaesosu-guounmong.htm
도교와 융합되기도 하여 천상의 선관, 선녀가 죄를 짓거나 상제의 명령을 받아 속세에 환생하는 예가 많았다.
셋째, 인과응보사상이다. 권선징악적인 면과 결부하여 착한 일을 많이 한 사람은 복을 받고, 남에게 악한 일을 많이 하면 화를 입는다는 것이다. <구운몽>의 유복자로 태어나 부친의 얼굴을 보지 못하여 전생의 적악으로 알려진 것이 인과응보적인 면이다.
불교관념은 우리 문학에 다양하고 풍부한 환상적 세계와 환상적인 인물들을 마련해 주었다. 염라대왕이나 보살형상들이 곧 그러하며, 김시습의 <남여부주지>의 염부주는 곧 불교의 지옥설에 기초하고 있으며, <구운몽>의 천상세계 등은 모두 불교관념에서 나온 형상들이다. 위의 책, pp.49-50
그리고 남섬부주가 다른 곳과 구분되는 중요한 특징은 이곳이 부처님이 출현한 곳으로서 성불할 수 있는 유일한 장소라는 점이다. 인간계에서의 삶을 무상하다고 보는 것이 불교의 가치 체계이지만 불교에서의 궁극 목표인 해탈은 남섬부주에서의 삶을 성공적으로 살았을 때에만 가능하다.
<구운몽>에서는 하늘에서 불경 공부를 하던 성진이 금욕적인 계율을 어긴 죄로 팔선녀와 함께 지옥에 떨어졌다 다시 인간 세상의 양소유로 환생한 후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다 하늘로 돌아가는데, 이것이 바로 불교의 윤회전생과 제행무상사상에 기초한 환상적산물이라 할 수 있다.
Ⅲ. 결론
<구운몽>의 작가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의 생애, 삼교사상설(三敎思想說), 불교(佛敎)사상 등을 바탕으로 <구운몽>의 배경 사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며, 동기였다.
예학(禮學)의 집안에서 태어나 유학이 뿌리깊게 자리 잡혀 있는 시대에 단지 유학만을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유학을 중심으로 다른 사상들까지도 관련지으려 했던 그의 사상관을 볼 수 있었다.
그 시대의 다른 사람들은 다른 사상에 대해서는 거부하고, 배척하는 모습이 많았다. 그러나 그는 불교와 도교를 대립사상으로만 보지 않고, 오히려 유학을 위주로 관계 회복에 힘썼다. 이러한 그의 생애와 관계되어 <구운몽>에서는 유교(儒敎), 불교(佛敎), 도교(道敎) 사상의 배경으로 표현되었다. 삼교사상(三敎思想)이 주된 배경으로 작용하지는 않았으나, 삼교사상설(三敎思想說)은 <구운몽>의 배경사상을 논하는데 있어서 빠질 수 없는 부분이다.
불교사상(佛敎思想) 면에서 공(空) 사상(思想)에 관련지어 그것을 <구운몽>의 주제라 할 수는 없지만, 배경을 논하는 자리에서는 충분히 이것이 주된 배경사상이라 할 수 있다. <구운몽>은 불교사상을 허구적으로 극대화한 독보적인 작품으로서, 유병환, 구운몽의 불교 사상과 소설미학, 국학자료원, 1998, p.9
아직도 이것의 배경 사상에 관한 논의는 끊이지 않고 있다. 이 글을 쓰며, 여러 각도의 논의를 봐왔고, 혼합사상을 아예 배재할 수는 없겠지만, 불교사상(佛敎思想)에 초점을 두고 이 글을 완성하였다.
§ 참 고 자 료
* 김만중, 김병국 주해, 「구운몽」시인사, 1984
* 김만중, 전규태 주해, 「구운몽」범우사, 1984
* 유병환, 「九雲夢의 불교사상과 소설미학」국학자료원, 1998
* 김병국, 「서포 김만중의 생애와 문학」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 문일환, 「조선 고전 문학연구」 한국문화사, 1994
* 허문섭, 「조선 고전 문학사」 한국문화사, 1996
* 반교어문학회, 「고소설의 사적 전개와 문학적 지향」 도서출판 보고사, 2000
* http://www.kbufkn.org/substext/sangsik_1d.htm
* http://sojungmd.netian.com/munhak/godae-sosul/godaesosu-guounmong.htm
키워드
추천자료
[고전문학]구운몽 작품 개관 및 남녀 결연 서사
구운몽(九雲夢)에 나타난 불교사상 - 구운몽에 대한 불교적 이해, 사념 실현과 환생 극복, 깨...
『등신불(等身佛)』에 나타난 불교사상 - 등신불의 구조와 갈등 양상, 만적의 소신공양과 성...
김동리(金東里) 소설에 나타난 죽음을 통해 알아본 해탈의식(등신불을 중심으로) - 김동신의...
[한국문학배경론] 구운몽을 통해 표현된 불교사상
[한국문학배경론] 구운몽에 나타난 사상과 그 특징
『구운몽』에 나타난 배경사상
[한국문학배경론] 구운몽에 담긴 유불도 사상
슬견설, 경설 에 나타난 이규보의 불교 사상 [한국문학배경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