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작가적 사실과의 관련
(2)구운몽에 나타나는 불교의 모습
*연기 사상
*윤회 사상
*제행무상 사상
*인연 사상
*정토 사상
(3)금강경과의 대응
3. 결론
2. 본론
(1)작가적 사실과의 관련
(2)구운몽에 나타나는 불교의 모습
*연기 사상
*윤회 사상
*제행무상 사상
*인연 사상
*정토 사상
(3)금강경과의 대응
3. 결론
본문내용
니 神仙과 龍神과 사람과 鬼神이 한가지로 尊崇함을 六官大師와 같이 하고 여덟 이고가 인하여 성진을 스승으로 섬겨 깊이 배살대도를 얻어 아홉 사람이 한가지로 극락세계로 가니라”18)
이렇게 하여 性眞과 팔선녀는 지난날의 잘못으로 輪廻의 고통까지 받았으나, 인간세계를 통하여 無常함을 깨닫고 도를 얻어 極樂世界로 이르게 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세계가 서포가 동경하는 세계며, 구운몽을 통하여 그리고 있는 것이다. 인간이 누리는 모든 부귀영화가 다 물거품과 같은 것이기 때문에 더욱 인간은 영원히 안주할 세계를 찾게 되는 거처럼 서포는 그의 정치현실로부터 떠나서 그가 영원히 안주할 새로운 세계가 필요했던 것이다.
(3)금강경과의 대응
구운몽은 금강경을 중심으로 한 공사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보았는데 그 근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 중 육관대사가 전도차 서역으로부터 중국에 들어와 남악 형산 연화봉 위에 암자를 짓고 전교할 때에 오직 금강경만을 갖고 있었다는 것과, 꿈과 현실의 한계에 대해 蒙暗한 성진으로 하여금 금강경 대법으로 대각케 한 후, 성진이 비로소 정과를 얻게 되자 성진에게 금강경을 전수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는 것이다.
---------------------------
17)상게서. p.25.
18)상게서. p.423.
둘째, <구운몽>이나 <金剛經>은 모두 미에서 환을 통하여 각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것이며 각한 이후의 세계는 구운몽에도 언급되어 있지 않으려니와 금강경에도 언급이 없다는 점을 들어 이것이 구운몽과 금강경이 공통하는 공사상이라 하였다.
셋째, 각한 이후의 세계를 진공모유라 하여 성진이 양소유로 환생한 것은 미망의 윤회이지만 양소유가 성진으로 환원한 것은 悟達의 해탈이기 때문에 숙명의 윤회를 벗은 자재의 생명으로 보았다.
그 결과 구운몽이 공사상의 중심경인 금강경을 사상적인 남본으로 하여 엮어져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 구조는 ‘꿈 이전-꿈-꿈 이후’ 의 불교적 환몽구조로서 愛*取*有 生*老死의 오지 연기설과 긴밀하게 부합되고 있다고 하여, 꿈속의 이야기를 꿈 이전의 세계와 대립시켜 그 사이비 이야기의 현실성을 펼쳐져 왔던 파란만장한 기연과 인간의 모든 부귀와 영달 등의 궁극적인 의미를 헛것(空)으로 돌리는 데서 불교적인 상징성을 꿈에서 찾았다.
3. 결론
이렇게 연기 사상, 윤회 사상, 제행무상 사상, 인연 사상, 정토 사상으로 불교적 이념을 작품 속에 내재하면서 그 뜻을 내보이고 있다.
작품에 대한 지엽적이고 표면적인 분석만을 통해 그 깊이를 다 헤아리지는 못했지만 구운몽에 드러난 불교적 의미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고 불교 뿐 아니라 유*도 사상이 화합되어 나타난 구운몽을 이해하는데 소중한 시간이 되었다. 구운몽에는 불교 뿐 아니라 유교와 도교가 함께 융합되어 있다. 하지만 환몽 구조적 고찰은 곧바로 꿈과 팔선녀의 상징성을 밝혀주는 열쇠가 되어 꿈만의 유교적 세계와 꿈 이전의 불교적 세계가 긴밀하게 대치됨으로써 유*불*선 화합설의 무모함과 또한 불교 사상이 근본적임을 해명해 준다.
이번 과제를 통해 구운몽에 불교 사상이 어떻게 표현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를 통해 작가 김만중이 어떤 내용을 표현하려 했는지도 조금이나마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가장 큰 깨달음은 단순히 종교로만 느꼈던 불교가 문학과 결합하면서 작품의 완성도에 큰 영향력을 미쳤다는 것과 종교가 문학의 배경에 적용되면 이해나 작품의 질에 좋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참고 문헌
*논문-원광 대학교 국어 교육 전공 김진기
*관련도서-고전 소설 연구. 정음사. 1979
-구운몽의 불교 사상과 소설미학. 국학 자료원. 1998
이렇게 하여 性眞과 팔선녀는 지난날의 잘못으로 輪廻의 고통까지 받았으나, 인간세계를 통하여 無常함을 깨닫고 도를 얻어 極樂世界로 이르게 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세계가 서포가 동경하는 세계며, 구운몽을 통하여 그리고 있는 것이다. 인간이 누리는 모든 부귀영화가 다 물거품과 같은 것이기 때문에 더욱 인간은 영원히 안주할 세계를 찾게 되는 거처럼 서포는 그의 정치현실로부터 떠나서 그가 영원히 안주할 새로운 세계가 필요했던 것이다.
(3)금강경과의 대응
구운몽은 금강경을 중심으로 한 공사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보았는데 그 근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 중 육관대사가 전도차 서역으로부터 중국에 들어와 남악 형산 연화봉 위에 암자를 짓고 전교할 때에 오직 금강경만을 갖고 있었다는 것과, 꿈과 현실의 한계에 대해 蒙暗한 성진으로 하여금 금강경 대법으로 대각케 한 후, 성진이 비로소 정과를 얻게 되자 성진에게 금강경을 전수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는 것이다.
---------------------------
17)상게서. p.25.
18)상게서. p.423.
둘째, <구운몽>이나 <金剛經>은 모두 미에서 환을 통하여 각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것이며 각한 이후의 세계는 구운몽에도 언급되어 있지 않으려니와 금강경에도 언급이 없다는 점을 들어 이것이 구운몽과 금강경이 공통하는 공사상이라 하였다.
셋째, 각한 이후의 세계를 진공모유라 하여 성진이 양소유로 환생한 것은 미망의 윤회이지만 양소유가 성진으로 환원한 것은 悟達의 해탈이기 때문에 숙명의 윤회를 벗은 자재의 생명으로 보았다.
그 결과 구운몽이 공사상의 중심경인 금강경을 사상적인 남본으로 하여 엮어져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 구조는 ‘꿈 이전-꿈-꿈 이후’ 의 불교적 환몽구조로서 愛*取*有 生*老死의 오지 연기설과 긴밀하게 부합되고 있다고 하여, 꿈속의 이야기를 꿈 이전의 세계와 대립시켜 그 사이비 이야기의 현실성을 펼쳐져 왔던 파란만장한 기연과 인간의 모든 부귀와 영달 등의 궁극적인 의미를 헛것(空)으로 돌리는 데서 불교적인 상징성을 꿈에서 찾았다.
3. 결론
이렇게 연기 사상, 윤회 사상, 제행무상 사상, 인연 사상, 정토 사상으로 불교적 이념을 작품 속에 내재하면서 그 뜻을 내보이고 있다.
작품에 대한 지엽적이고 표면적인 분석만을 통해 그 깊이를 다 헤아리지는 못했지만 구운몽에 드러난 불교적 의미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고 불교 뿐 아니라 유*도 사상이 화합되어 나타난 구운몽을 이해하는데 소중한 시간이 되었다. 구운몽에는 불교 뿐 아니라 유교와 도교가 함께 융합되어 있다. 하지만 환몽 구조적 고찰은 곧바로 꿈과 팔선녀의 상징성을 밝혀주는 열쇠가 되어 꿈만의 유교적 세계와 꿈 이전의 불교적 세계가 긴밀하게 대치됨으로써 유*불*선 화합설의 무모함과 또한 불교 사상이 근본적임을 해명해 준다.
이번 과제를 통해 구운몽에 불교 사상이 어떻게 표현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를 통해 작가 김만중이 어떤 내용을 표현하려 했는지도 조금이나마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가장 큰 깨달음은 단순히 종교로만 느꼈던 불교가 문학과 결합하면서 작품의 완성도에 큰 영향력을 미쳤다는 것과 종교가 문학의 배경에 적용되면 이해나 작품의 질에 좋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참고 문헌
*논문-원광 대학교 국어 교육 전공 김진기
*관련도서-고전 소설 연구. 정음사. 1979
-구운몽의 불교 사상과 소설미학. 국학 자료원. 199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