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슴, ‘인’은 다리에 해당한다고 생각해 보았다. 비는 ‘천’ 즉, 하늘에서 내리므로 온 대지와 인간을 관장하는 하늘의 힘을 빌어야 한다고 생각 했을 것이다. 하늘은 곧 거북이의 신체 중 ‘머리’와 유사한 맥락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필 ‘머리’를 내어 라고 협박을 하게 된 것이다. 거북이 머리=하늘의 기운을 운행하는 존재로써 일종의 신앙의 대상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 비를 내려달라고, 신앙의 대상에게 감히 협박을?-
어떻게 비를 내려 주리라 믿는 신앙의 존재라고 생각한 ‘거북’을 구워먹는다는 말을 할 수 있을까? 여기서는 약간의 말의 어패가 있다고 생각한다. 거북을 다정스럽게 부르고 난 다음에 이어진 문맥을 살펴보면 거북에게 머리를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어지는 협박이 존재한다. 이 협박은 협박 아닌 협박이다. \'머리를 내어놓지 않으면 구워먹겠다\'라는 부분은 표면상으로는 협박으로 보일지 모르나, 실질적으로는 간절한 부탁의 또 다른 표현에 해당한다. 절실하게 필요하고, 또 원하는 대상이기에 강한어감을 사용한 애원으로 보여진다.
혹은 다른 측면에서 보게 되면 ‘거북’이 신령스런 존재이기 때문에 반드시 자기들에게 머리 즉, 비를 내어줄 것이라고 생각해서 가뭄이 지속되는 일은 생기지 않을꺼라는 확신 때문이리라는 추측을 해 보았다.
-참고문헌-
이영태. 한국 고시가의 새로운 인식 경인문화사 2003.
최두식,하상규. 고시가연구 동아대학교출판부 2002.
김병국. 고전시가 지학사 1994.
고전시가의 이해 / 성낙희 / 국학자료원 / 2006.
고전시가 다시 읽기 / 황병익 / 새문사 / 2006.
- 비를 내려달라고, 신앙의 대상에게 감히 협박을?-
어떻게 비를 내려 주리라 믿는 신앙의 존재라고 생각한 ‘거북’을 구워먹는다는 말을 할 수 있을까? 여기서는 약간의 말의 어패가 있다고 생각한다. 거북을 다정스럽게 부르고 난 다음에 이어진 문맥을 살펴보면 거북에게 머리를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어지는 협박이 존재한다. 이 협박은 협박 아닌 협박이다. \'머리를 내어놓지 않으면 구워먹겠다\'라는 부분은 표면상으로는 협박으로 보일지 모르나, 실질적으로는 간절한 부탁의 또 다른 표현에 해당한다. 절실하게 필요하고, 또 원하는 대상이기에 강한어감을 사용한 애원으로 보여진다.
혹은 다른 측면에서 보게 되면 ‘거북’이 신령스런 존재이기 때문에 반드시 자기들에게 머리 즉, 비를 내어줄 것이라고 생각해서 가뭄이 지속되는 일은 생기지 않을꺼라는 확신 때문이리라는 추측을 해 보았다.
-참고문헌-
이영태. 한국 고시가의 새로운 인식 경인문화사 2003.
최두식,하상규. 고시가연구 동아대학교출판부 2002.
김병국. 고전시가 지학사 1994.
고전시가의 이해 / 성낙희 / 국학자료원 / 2006.
고전시가 다시 읽기 / 황병익 / 새문사 / 2006.
키워드
추천자료
사례를 통해 살펴 본 게임이론
언어학적 관점에서 살펴 본 훈민정음
GDP로 살펴 본 중국
영화 <마르탱 게르의 귀향(Le Retour De Martin Guerre/The Return Of Martin Guerre)>을 통...
(삼국유사)와 (균여전)의 기록으로 살펴 본 향가 혹은 사뇌가의 성격
『삼국유사』,『균여전』을 통해 살펴 본 향가의 성격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 본 노인학대의 원인, 특징, 문제점 및 노인학대의 대응책
[드라마 속 고부갈등, 동성애, 부모의 사랑 분석] 드라마 속 이야기 - 가족끼리 왜이래, 넝쿨...
학생체벌을 통해 살펴 본 교사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