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내용
2. 주제
3. 기존의 연구
4. <구지가>에 대한 나의 견해
2. 주제
3. 기존의 연구
4. <구지가>에 대한 나의 견해
본문내용
협의 어투에서 여러 의문이 생겼는데 ‘소망을 기원하는 노래로 본다면 왜 위협투를 사용했을까’라는 것과 그냥 잡아 먹겠다고 하지 않고 굳이 ‘구워서 먹겠다’ 라는 표현을 사용했을까 하는 것이었다. 이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미처 살펴보지 못했지만 나의 개인적인 생각으로 미루어 보건데 첫 번째 의문에서 명령이나 위협의 어투를 사용한 것은 너무나도 간절한 소망을 나타내려고 할 때 소박한 평서형 어투로 그 심정을 나타내기에는 무엇인가 부족하리라는 느낌이 들었을 것 같다. 위협의 어투를 사용함으로써 집단의 강하고 힘찬 소망을 역설적으로 드러낸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였다. 그리고 두 번째 의문에서 ‘불’은 나름의 상징을 또한 가지고 있을 것이라 생각되는데 단순히 당시의 부족사회에서 음식을 구워 먹는 풍습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고, 불의 뜨거움과 밝음이 곧 태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거북이의 신령스러움이 하늘을 상징하는 태양(천신)과 상응하도록 의미를 맞춘 것이라고 볼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의견도 조심스럽게 제시해본다.
결국 기존 관점의 방향으로 치우치는 ‘뻔한’ 이야기가 되어 버렸지만 나름대로 내용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정해진 하나의 해석이 없기에 나만의 세계를 펼칠 수 있다는 것이 상고시가가 가지는 매력이 아닌가 한다.
◈ 참고문헌
<古詩歌硏究> 최두식, 하상규. 동아대학교 출판부. 2002
<고전시가> - 잘알기총서 7. 김병국. (주)지학사
<한국 고시가의 새로운 인식> 이영태. 경인문화사. 2003
<한국문학통사 1> 조동일. 지식산업사, 2005
결국 기존 관점의 방향으로 치우치는 ‘뻔한’ 이야기가 되어 버렸지만 나름대로 내용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정해진 하나의 해석이 없기에 나만의 세계를 펼칠 수 있다는 것이 상고시가가 가지는 매력이 아닌가 한다.
◈ 참고문헌
<古詩歌硏究> 최두식, 하상규. 동아대학교 출판부. 2002
<고전시가> - 잘알기총서 7. 김병국. (주)지학사
<한국 고시가의 새로운 인식> 이영태. 경인문화사. 2003
<한국문학통사 1> 조동일. 지식산업사,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