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천주공경가
1. 내용요약
2. 선행연구
3. 감상
4.주제
1. 내용요약
2. 선행연구
3. 감상
4.주제
본문내용
다. 더군다나 한국의 종교는 기복신앙적인 면이 다분한데, 죽음 이후의 삶을 위해 지금 이 순간의 삶을 희생한다는 것은 도박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때때로 제단위에서 신부님이 미사를 집도하는 모습을 볼 때면, 그들의 신앙에 감탄하곤 한다. 무엇이 그들의 삶을 송두리째 하느님께로 바치게 하였을까. 성지를 순례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그들의 생을 희생하면서까지 신앙을 지탱하려고 하였을까. 물론 혼란스러운 조선 후기 사회 배경 속에서 평등과 구원의 교리는 당시 민중들에게 큰 감동으로 다가왔을 것이라고 짐작할 수도 있다.
그러나 「천주공경가」의 내용을 보면 딱히 그러한 교리의 내용을 찾아보기 힘들다. 특히 “지에 어른있고 라에 임군있네/ 네몸에 령혼있고 날에난 텬쥬있네/ 부모의게 효도하고 임군에난 충성네/ 강오륜 지켜가 텬쥬공경 읏뜸일셰”라는 행을 보면 하느님을 공경하는 일을 집안의 어른, 나라의 임금을 공경충성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파악하고 있다. 이는 하느님에 대한 공경을 결국은 수직적인 질서로 바라보고 있는 것이 아닌가? 물론 그가 다른 유학자들의 반발을 염두에 두고 이 가사를 썼다는 점에서는 인정하는 바이지만 어쨌든 그 이면에 계층이 도사리고 있음을 부정할 수는 없다. 이런 점에서 「천주공경가」를 포교의 수단이라기보단 천주교 옹호의 노래라고 보고 싶다.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사람들이 신앙을 포기하지 않는 이유는 지금 나의 모습에서 찾을 수 있다. 나는 천주교 교리를 무조건 다 믿지 못한다. 웃기는 것은 그러면서도 힘들 때마다 하느님을 찾는 나의 모습이다. 이미 어린 시절부터 깊히 뿌리박힌 믿음, 나는 아직도 해답을 찾지 못하였다. 기독교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생각을 일종의 세뇌라고 여길지도 모른다. 나는 아직도 나의 종교를 찾는 과정에 있으며, 이것은 평생을 거쳐 성장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바라는 바가 있다면, 그래도 하느님을 놓지 않았으면 하는 것이다. 웃기는 아이러니이다.
4.주제
유학자를 염두에 둔 천주교 옹호의노래
□참고문헌
김영수 엮음, 『천주가사 자료집』(가톨릭대학 출판부, 2000)
조규익, 『고전시가의 변이와 지속』, (학고방, 2006)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판, (지식산업사, 1994),
신규호, 『한국기독교시가연구』,(이회문화사, 1999),
윤민구, 『한국 천주교회의 기원』,(국학자료원, 2002),
신규호, 『한국 현대시와 종교』, (국학자료원, 2003)
때때로 제단위에서 신부님이 미사를 집도하는 모습을 볼 때면, 그들의 신앙에 감탄하곤 한다. 무엇이 그들의 삶을 송두리째 하느님께로 바치게 하였을까. 성지를 순례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그들의 생을 희생하면서까지 신앙을 지탱하려고 하였을까. 물론 혼란스러운 조선 후기 사회 배경 속에서 평등과 구원의 교리는 당시 민중들에게 큰 감동으로 다가왔을 것이라고 짐작할 수도 있다.
그러나 「천주공경가」의 내용을 보면 딱히 그러한 교리의 내용을 찾아보기 힘들다. 특히 “지에 어른있고 라에 임군있네/ 네몸에 령혼있고 날에난 텬쥬있네/ 부모의게 효도하고 임군에난 충성네/ 강오륜 지켜가 텬쥬공경 읏뜸일셰”라는 행을 보면 하느님을 공경하는 일을 집안의 어른, 나라의 임금을 공경충성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파악하고 있다. 이는 하느님에 대한 공경을 결국은 수직적인 질서로 바라보고 있는 것이 아닌가? 물론 그가 다른 유학자들의 반발을 염두에 두고 이 가사를 썼다는 점에서는 인정하는 바이지만 어쨌든 그 이면에 계층이 도사리고 있음을 부정할 수는 없다. 이런 점에서 「천주공경가」를 포교의 수단이라기보단 천주교 옹호의 노래라고 보고 싶다.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사람들이 신앙을 포기하지 않는 이유는 지금 나의 모습에서 찾을 수 있다. 나는 천주교 교리를 무조건 다 믿지 못한다. 웃기는 것은 그러면서도 힘들 때마다 하느님을 찾는 나의 모습이다. 이미 어린 시절부터 깊히 뿌리박힌 믿음, 나는 아직도 해답을 찾지 못하였다. 기독교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생각을 일종의 세뇌라고 여길지도 모른다. 나는 아직도 나의 종교를 찾는 과정에 있으며, 이것은 평생을 거쳐 성장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바라는 바가 있다면, 그래도 하느님을 놓지 않았으면 하는 것이다. 웃기는 아이러니이다.
4.주제
유학자를 염두에 둔 천주교 옹호의노래
□참고문헌
김영수 엮음, 『천주가사 자료집』(가톨릭대학 출판부, 2000)
조규익, 『고전시가의 변이와 지속』, (학고방, 2006)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판, (지식산업사, 1994),
신규호, 『한국기독교시가연구』,(이회문화사, 1999),
윤민구, 『한국 천주교회의 기원』,(국학자료원, 2002),
신규호, 『한국 현대시와 종교』, (국학자료원,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