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 여음의 종류와 기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속요 여음의 종류와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여음의 개념
3. 여음의 종류
3.1. 여음의 위치별 분류
3.2. 여음의 성분별 분류
4. 여음의 기능
5. 결론

본문내용

마지막으로 이러한 여음이 가지는 기능인 ‘종결, 분절, 수사, 해음, 조흥’에 대해 파악한 후 본고를 마무리 하겠다.
2. 여음의 개념
우리 고전 시가 연구에서 여음의 중요성과 의미를 밝히려는 작업은 여러 차례 시도되어 왔다.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종합한다면 여음의 개념은 ‘흥과 멋을 돋우거나 운율을 고루어 음악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 사용된 무의미한 사설내지 감탄적 사설’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여음’은 음악적으로는 성악곡에서 노래는 쉬고 악기만 연주되는 부분이고, 기악곡에서 독주하는 악기는 쉬고 반주하는 다른 악기들만 연주되는 부분을 말한다. 문학적 의미로는 ‘구비문학, 특히 구창(口瘡) 문학인 시가 등에서 연(聯) 단위에 본 가사의 앞뒤 가운데 있어서 의미 표현보다는 감흥과 율조를 일으키는 어절이나 구절’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문학적 의미를 받아들이기로 한다.
여음과 후렴(後斂)을 지금까지 혼재 사용되어 왔다. 둘의 개념정립을 통해 여음의 개념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아보겠다. 이들 가운데 단순한 반복이 중시되어 악곡의 계속을 알리는 기능을 하는 것들은 ‘후렴’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 일정어구로 시작해서 곡의 내용을 함축적으로 제시하는 관용구를 ‘여음’으로 볼 수 있겠다. 이 둘 사이에는 몇 가지 변별성이 존재한다.
① ‘후렴’은 주로 악곡과 관련된 개념이고 ‘여음’은 좀 더 문학적 의미를 지닌 개념이다.
② ‘후렴’은 주로 연장체로 이루어진 작품들에서 분장의 기능을 담당하고 여음은 단련체의 작품에서 한 단락을 끝내거나 한 편의 시가 전체를 종결시키는 구실을 한다. 이것을 문학적 차원에서는 결구 형태라 할 것이다.
③ ‘후렴’은 시가 형태에 열려진 채로 후속될 내용을 전제로 하는 개방성을 부여하고 ‘여음’은 한편의 시가를 자체로 완성시키겠다는 폐쇄성을 암시하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려속요에서의 여음과 후렴은 그 자체가 무의미한 삽입어사라 할지라도 그 노래의 시적정서를 가장 강하게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겠다.
3. 여음의 종류
여음은 위치가 어디에 오느냐에 따라 혹은 여음을 구성하는 성분이 무엇이냐에 따라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전자를 위치별 분류라 하고 후자를 성분별 분류라 한다.
3.1. 여음의 위치별 분류
위치별 분류는 다시 전치여음(前置餘音)과 중치여음(中置餘音), 후치여음(後置餘音)으로 나뉜다. 전치여음은 초렴(初斂)이라고 하며 노래의 서두에 나타나는 각 연에서 반복되어 나타난다. 대개 서두에서 임금이나 공적인 임에 대한 송축의 의미를 담고있다.(동동) 중치여음은 중렴(中斂)이라고 하며 구와 구, 행과 행 사이 등 노래의 중간에 오는 여음을 말한다. 후치여음은 후렴(後斂)이라고도 하며 노래의 말미에 붙는 여음으로서, 연장체 고려속요의 후렴들이 이에 해당된다. 여음의 일반적 형태로 ‘여음’이란 어휘 자체가 ‘후렴구’라는 어휘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① 전치여음
전치여음은 노래의 서두에서 각 연마다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고려 속요 가운데 전치여음을 가지고 있는 노래는 <상저가>뿐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11.25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5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