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신분석이론과 사회복지실천
I. 심리적 건강과 증상에 대한 관점
II. 치료목표
III.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원칙
IV. 치료적 기법
가. 자유연상
나. 해석
다. 꿈의 분석
라. 저항의 분석과 해석
마. 전이의 분석과 해석
바. 경청과 감정이입
사. 벼터주기와 간직하기
* 참고문헌
I. 심리적 건강과 증상에 대한 관점
II. 치료목표
III.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원칙
IV. 치료적 기법
가. 자유연상
나. 해석
다. 꿈의 분석
라. 저항의 분석과 해석
마. 전이의 분석과 해석
바. 경청과 감정이입
사. 벼터주기와 간직하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저해하고 내담자가 무의식적 욕구를 표출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
- 치료자는 효과적인 치료를 위하여 이 저항을 지적하고 해석, 내담자가 이에 대한 통찰을 더 깊이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내담자도 실제적으로 갈등을 해결하고자 한다면 이런 저항에 직면해야 한다.
마. 전이(transference)의 분석과 해석
전이: 치료과정에서 내담자가 치료자에게 반응하는 것.
- 내담자가 과거의 중요한 타인과의 미결사항으로 남아 있는 부분을 치료자가 마치 과거의 주요인물인 듯 치료자에게 투사하는 것.
- 이런 전이의 분석은 내담자로 하여금 과거 자신의 미결사항이 현재 자신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통찰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며, 통찰된 미결사항을 적절히 해석하고 훈습함으로써 내담자가 자신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한다.
역전이 : 치료자가 내담자에게 보이는 반응
- 역전이가 치료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치료자는 자신의 정신분석에 철저하고, 객관성을 잃지 말아야 한다.
바. 경청(listening)과 감정이입(empathy)
경청: 내담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에 귀를 기울이는 것으로 의사소통의 숨겨진 의미를 이해하는 것.
- 내담자의 무의식적 감정과 사고 소망을 이해하고 이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감정이입이 이루어져야 함. 즉, 객관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내담자의 마음속으로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
- 심층적 감정이입을 위해서는 다차원적, 다각적 경청이 필수적으로 요구됨.
사. 버텨주기(holding)와 간직하기(containing)
버텨주기: 내담자가 경험하고 있거나 혹은 원가 막연하게 느끼기는 하지만 감히 직면할 수 없는 끝없이 깊고 깊은 불안과 두려움을 견별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것.
- 이 기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내담자를 수용하고 일관성 있게 대함으로써 치료자를 신뢰할 만한 사람으로 여기게 하고, 비판을 위한 비판이 아니라 내담자를 위하는 마음에서 내담자의 정동과 감정에 전문가로서 진실하여야 하며, 현실과 환상을 구분하고 정리해 주어야 한다.
간직하기: 내담자가 두려워하는 모든 충동과 경험들을 간직하여 완화시켜 주는 기법.
- 내담자가 보이는 강한 정동을 마음에 간직하여 뜸들이고 길들여서 위험하지 많도록 변화시켜 내담자가 준비가 되었을 때 해석을 통하여 전달하는 기법.
- 내담자와 함께 고통을 나눔.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애착이론과 정신분석 / Peter Fronagy 저, 반건호 역 / 빈센트 / 2005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유아인지발달 / 이화도 저 / 창지사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치료자는 효과적인 치료를 위하여 이 저항을 지적하고 해석, 내담자가 이에 대한 통찰을 더 깊이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내담자도 실제적으로 갈등을 해결하고자 한다면 이런 저항에 직면해야 한다.
마. 전이(transference)의 분석과 해석
전이: 치료과정에서 내담자가 치료자에게 반응하는 것.
- 내담자가 과거의 중요한 타인과의 미결사항으로 남아 있는 부분을 치료자가 마치 과거의 주요인물인 듯 치료자에게 투사하는 것.
- 이런 전이의 분석은 내담자로 하여금 과거 자신의 미결사항이 현재 자신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통찰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며, 통찰된 미결사항을 적절히 해석하고 훈습함으로써 내담자가 자신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한다.
역전이 : 치료자가 내담자에게 보이는 반응
- 역전이가 치료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치료자는 자신의 정신분석에 철저하고, 객관성을 잃지 말아야 한다.
바. 경청(listening)과 감정이입(empathy)
경청: 내담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에 귀를 기울이는 것으로 의사소통의 숨겨진 의미를 이해하는 것.
- 내담자의 무의식적 감정과 사고 소망을 이해하고 이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감정이입이 이루어져야 함. 즉, 객관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내담자의 마음속으로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
- 심층적 감정이입을 위해서는 다차원적, 다각적 경청이 필수적으로 요구됨.
사. 버텨주기(holding)와 간직하기(containing)
버텨주기: 내담자가 경험하고 있거나 혹은 원가 막연하게 느끼기는 하지만 감히 직면할 수 없는 끝없이 깊고 깊은 불안과 두려움을 견별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것.
- 이 기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내담자를 수용하고 일관성 있게 대함으로써 치료자를 신뢰할 만한 사람으로 여기게 하고, 비판을 위한 비판이 아니라 내담자를 위하는 마음에서 내담자의 정동과 감정에 전문가로서 진실하여야 하며, 현실과 환상을 구분하고 정리해 주어야 한다.
간직하기: 내담자가 두려워하는 모든 충동과 경험들을 간직하여 완화시켜 주는 기법.
- 내담자가 보이는 강한 정동을 마음에 간직하여 뜸들이고 길들여서 위험하지 많도록 변화시켜 내담자가 준비가 되었을 때 해석을 통하여 전달하는 기법.
- 내담자와 함께 고통을 나눔.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애착이론과 정신분석 / Peter Fronagy 저, 반건호 역 / 빈센트 / 2005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유아인지발달 / 이화도 저 / 창지사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키워드
추천자료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하시오.
칼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과 지그문트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의 차이점을 간단히 설명하고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을 설명 -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정신분...
[아동복지론] 아동복지실천방법과 기술 - 클라이언트로서의 아동의 특성과 아동 대상 사회복...
정신분석이론 (인간관, 기본가정, 개념, 심리성적 발달단계,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적용, Freu...
프로이드(Freud)의 개념 중 마음의 제2영역인 원 초아, 초자아, 자아에 대해 각각 설명하고, ...
지그문트 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 이론이 사회사업(사회복지 실천현장)에 미치는 영향에 ...
심리사회모델 사회복지실천기술(심리사회모델이론, PIE, 정신분석이론, 대상관계이론등, 심리...
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의 주요개념과 특징 심리성적발달단계 정신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