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장 좋은 시는 정과 경의 융합
① 王夫之(1619~1692) : 정경설(情景說)
。情과 景이 비록 한 가지는 마음에 있고, 한 가지는 사물에 있다는 차이가 있으나, 실제로 그들은 서로 생겨나는 것.
。시는 정과 경을 일체화시키는 것이며, 시인은 사물의 정신까지도 파악해야 한다.
② 王士(1634~1711) : 신운설(神韻說)
。신이란 사물의 정기, 외부 사물의 정수를 포착하는 것
。운은 시에 있어서의 개인적 문체, 관용어, 개인적 운취(韻趣).
。시의 개별적 특성의 중요성 강조, 개성주의자들처럼 개성이나 私私의 감정 표현이 아닌 개인적 격조-문학적 개성에 도달하는 데 흥미를 지님.
。개인적 감수성을 통해 증류될 수 있도록 시 속에 생활의 정신(神)이 구체화 되어야 하며, 그래야만 그 시는 개성적 운취(韻)를 띨 것.
③ 王國維(1877~1927) : 시의 경계(境界0
。경계란 ‘우주’ 혹은 ‘정신계’를 뜻하는 범어 ‘visaya\'의 번역어
。경계란 경(境)과 물(物)에만 관계 된 것이 아니라, 희노애락 또한 사람의 마음 속의 한 경계를 형성함, 진정한 경물과 진정한 감정을 적어 낼 수 있는 시는 ‘경계를 가졌다’고 말할 수 있음.
。경계란 정(情)과 경(景)의 융합
。왕국유는 시에서 ‘경계를 서술’하는 사람과 ‘경계를 창조’하는 사람들을 구분함.
2. 직관적 관점에서의 詩作
(1) 직관의 중시
① 엄우
° 영감과 직관적 이해(妙悟)에 의존해야 할 것.
° 오직 묘오에 통해야만 자기의 진정한 자신이 있을 수 있고, 자기의 본색을 나타낼 수 있음
° 시란 책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넓게 읽지 ㅇ낳으면 최상의 경지에 도달할 수 없다.
② 왕부지(王夫之)
° 3 왕씨들 또한 직관을 강조하고 모방과 현학 비난
° 왕부지는 시인이 사물의 정신을 포착할 수 있는 한, 그는 자연히 흥겹고 생동하는 시구를 찾게 될 것이라 주장
° 시구에서 기교만 추구한다면, 성정은 타락하고, 시에는 생명이 없어질 것.
③ 왕사진(王士) - 돈오(頓悟)와 점수(漸修)
° ‘돈오’라 부르는 영감의 중요성 강조 : 시는 말로서는 전달되지 ㅇ낳고 묘오의 섬광 속에서만 터득될 수 있는 비법. - 월나라 처녀, 사마상여, 운문선사의 일화
° 시작(詩作)은 단순한 연구만으로 터득할 수 있지 않고, 영감은 계기가 성숙되었을 때 얻게 됨. 단순한 모방은 소용이 없음.
° 시인은 자기의 학문을 완전히 동화할 것이며, 시에 있어서 그것을 뒤
① 王夫之(1619~1692) : 정경설(情景說)
。情과 景이 비록 한 가지는 마음에 있고, 한 가지는 사물에 있다는 차이가 있으나, 실제로 그들은 서로 생겨나는 것.
。시는 정과 경을 일체화시키는 것이며, 시인은 사물의 정신까지도 파악해야 한다.
② 王士(1634~1711) : 신운설(神韻說)
。신이란 사물의 정기, 외부 사물의 정수를 포착하는 것
。운은 시에 있어서의 개인적 문체, 관용어, 개인적 운취(韻趣).
。시의 개별적 특성의 중요성 강조, 개성주의자들처럼 개성이나 私私의 감정 표현이 아닌 개인적 격조-문학적 개성에 도달하는 데 흥미를 지님.
。개인적 감수성을 통해 증류될 수 있도록 시 속에 생활의 정신(神)이 구체화 되어야 하며, 그래야만 그 시는 개성적 운취(韻)를 띨 것.
③ 王國維(1877~1927) : 시의 경계(境界0
。경계란 ‘우주’ 혹은 ‘정신계’를 뜻하는 범어 ‘visaya\'의 번역어
。경계란 경(境)과 물(物)에만 관계 된 것이 아니라, 희노애락 또한 사람의 마음 속의 한 경계를 형성함, 진정한 경물과 진정한 감정을 적어 낼 수 있는 시는 ‘경계를 가졌다’고 말할 수 있음.
。경계란 정(情)과 경(景)의 융합
。왕국유는 시에서 ‘경계를 서술’하는 사람과 ‘경계를 창조’하는 사람들을 구분함.
2. 직관적 관점에서의 詩作
(1) 직관의 중시
① 엄우
° 영감과 직관적 이해(妙悟)에 의존해야 할 것.
° 오직 묘오에 통해야만 자기의 진정한 자신이 있을 수 있고, 자기의 본색을 나타낼 수 있음
° 시란 책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넓게 읽지 ㅇ낳으면 최상의 경지에 도달할 수 없다.
② 왕부지(王夫之)
° 3 왕씨들 또한 직관을 강조하고 모방과 현학 비난
° 왕부지는 시인이 사물의 정신을 포착할 수 있는 한, 그는 자연히 흥겹고 생동하는 시구를 찾게 될 것이라 주장
° 시구에서 기교만 추구한다면, 성정은 타락하고, 시에는 생명이 없어질 것.
③ 왕사진(王士) - 돈오(頓悟)와 점수(漸修)
° ‘돈오’라 부르는 영감의 중요성 강조 : 시는 말로서는 전달되지 ㅇ낳고 묘오의 섬광 속에서만 터득될 수 있는 비법. - 월나라 처녀, 사마상여, 운문선사의 일화
° 시작(詩作)은 단순한 연구만으로 터득할 수 있지 않고, 영감은 계기가 성숙되었을 때 얻게 됨. 단순한 모방은 소용이 없음.
° 시인은 자기의 학문을 완전히 동화할 것이며, 시에 있어서 그것을 뒤
추천자료
해방기의 시와 소설에 관한 논평
3불정책에 관한 개인적인 견해
[모더니즘 시][1930년대 모더니즘 시][1950년대 모더니즘 시][1980년대 모더니즘 시][모더니...
[태교][전통적 태교][음식 태교][지능 태교][음악 태교][미술 태교][남편 태교]전통적 태교, ...
다국적기업의 역할에 관한 제 견해(모델)
시, 소설, 비평 중심으로 본 전후문학 (1950년대, 그것은 끝이자 처음이었다) [모더니즘 시][...
교육심리학의이론과실재 (전이,심리학,인본주의 심리학의 견해, 로저스(Rogers) 이론의 특징,...
한용운(韓龍雲)이 말하는 사상 연구 - 침묵에 관한 연구, 시에 나타난 님의 견해, 승려 한용...
[평가우수자료]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소비자보호법 총정리, 전자상...
[★평가 우수★][소비자보호법 총정리]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 - 전자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