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두교(Hinduism)의 이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힌두교(Hinduism)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힌두교의 정의
2. 힌두교의 용어 이해
3. 인생의 4주기
4. 힌두교의 통과 의례

Ⅲ. 결론




참고도서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한 물방울을 입에 흘려 넣는다. 그리고 사망자의 가장 가까운 남자 친척이 장례식을 맡아야 하는 게 관례이다. 사망한 후에는 시체의 머리를 남쪽으로 향하게 하여 집 입구에 눕히는데 이는 시신이 어머니 대지의 품으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시신을 땅바닥에 눕힌다. 이런 식으로 통과의례는 끝을 맺게 된다.
Ⅲ. 결론
인도에 직접 가지 않는 이상 쉽게 접할 수 없는 힌두교에 대한 연구를 통해 힌두교에 대해 알아보았다. 인도 사회를 몇 천 년가량, 그리고 인도 사회 가운데 8할 이상의 인구를 힌두교도로 이끌어온 힌두교. 이제 우리는 그 힌두교에 대해서 우리 사회가 아니라는 관점으로 모른 척 해서는 안 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서 가장 먼저 알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사용하는 용어가 우리가 전혀 알 수 없는 것들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예를 들자면 Dharma(다르마, 달마) 등을 보면 알 수 있다. 게다가 사람의 일생 중 중대한 변화를 나타내는 통과 의례에 대해서는 비록 우리나라와 많은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우선시하는 것들과 또한 세계 사회가 동일하게 중요시 여기는 부분에 대해서 유사한 점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을 아는 것만으로 이번 연구를 무사히 마쳤다고 말할 수 없는 바이다. 상상할 수 없는 시간이 흐르는 동안 인도 사회를 단일하게 이끌어온 힌두교는 과연 어떠한 매력이 있는 것일까? 우리는 이것을 본론의 마지막 부분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즉, 엄격한 카스트 제도 가운데 이루어지는 통과 의례에 의해서이다. 힌두 사회를 이토록 엄격하고 하나 되게 이끌어온 힌두교에 대해서 가히 존경을 표할만도 하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가장 중요시 여기는 인간의 존엄성을 비롯하여 민주사회에서 필수적으로 가져야하는 여러 덕목들과 힌두교의 사회 체계를 대비하여 살펴볼 때, 어쩌면 시대에 조금은 뒤떨어져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을 해본다. 아니, 분명 이것은 시대에 뒤떨어지는 가치임이 분명할지도 모르는 일이다.
하지만 세상적인 관점으로 편협하게 힌두교 자체를 바라보는 것이 아닌 기독교인의 관점으로 힌두교를 바라볼 때, 날로 과학적이고 더욱 더 빠름을 추구하는 사회 속에서 교회가 사회를 따라가며 세속적으로 변해가는 사실을 안타까운 눈으로 바라본다면 우리가 힌두교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 그저 그것은 ‘진리가 아니다.’라는 편협한 관점으로 힌두교를 바라보는 것은 결코 올바르지 못한 생각일 것이다.
그들이 그토록 따르고 있는 힌두교 그 자체는 이미 그들의 삶 속에 “완전한 진리”로 인식되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 기독교인들에게 “예수는 그리스도”라는 이 진리가 우리 힌두교인처럼 내면 깊은 곳까지 스며들고 있는가? 점검해 보아야 할 일이다.
힌두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어떤 기독교인들은 이것이 진리가 아니라는 생각으로 힌두교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는 것에 대해서 눈을 흘길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교를 통해서 (특히 힌두교는 이제 더 이상 종교라고 이해되기 보다는 사회 체계 자체로 이해해야 함이 옳을 것이다.) 그 사회를 알아보고, 기독교의 현 위치를 알아보는 것은 정말 옳은 일이고, 우리의 정체성을 찾고, 복음을 전파해야하는 사명을 가진 그리스도인들에게 특별히 필요한 일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이것은 다만 힌두교를 연구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세계에 있는, 세계를 이끌어가고 있는 다양한 종교를 연구함으로써 그 사회를 알아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세계는 넓고 다양함의 극치를 달린다. 이 시대 속에서 우리는 다양함의 극치에 한 발자국 들어가서 그 세계를 알고 탐험해야하는 필요성을 느낄 필요가 있음을 밝히면서 인도사회를 이끌어가고 있는 ‘힌두교’에 대한 연구를 마치려 한다.
※참고 도서※
1. Holm, Jean, Bowker, John, Rites of Passage, (London : Pinter Pub, 1994)
2. 이훈구, 『비교종교학』 (서울 : 은혜출판사, 2005)
3. 김은수, 『비교종교학 개론』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6)
5. Catherine Bell, Ritual: Perspectives and Dimensions, 류성민 역, 『의례의 이해·의례를 보는 관점들과 의례의 차원들』 (경기 :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9)
※참고 사이트※
1. http://blog.naver.com/ikorea1234?Redirect=Log&logNo=30102952186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12.13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39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