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조직화 기술
3. 옹호 기술
4. 자원개발과 동원화 기술
5. 임파워먼트 기술
6. 참고문헌
2. 조직화 기술
3. 옹호 기술
4. 자원개발과 동원화 기술
5. 임파워먼트 기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민을 임파워링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단계가 필요하다.
1) 의식제고하기(consciousness raising)
무력감을 느끼는 개인들을 한데 모아 의식화 모임을 가짐으로써 문제의 원인이 자신들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알게 하고 자신들을 억압하는 사회구조에 대해 비판적인 의식을 갖게 한다.
2) 자기목소리내기(self-assertion)
문제의 원인과 소재에 대해 공개적으로 자기주장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그러한 장을 마련한다.
3) 공공의제 만들기(framing the agenda)
문제의 원인과 소재를 대중이 인식할 수 있게끔 쟁점을 효과적으로 정리하고 필요하면 공공의제가 될 수 있도록 시위나 대중매체 캠페인을 주도한다.
4) 힘권력 키우기(building power)
자원동원을 통해 주민들의 힘을 키운다. 동원되는 사람의 수와 열정이 가장 중요한 힘의 원천이 된다.
5) 역량 키우기(capacity building)
조직건설과 캠페인 등을 전개하면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성공에 대한 경험을 통해 성공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짐으로써 고질적 무력감에서 벗어나 역량을 얻는다.
6) 사회자본 창출하기(creating social capacity)
마지막으로 주민의 능력이 모여 사회 자본으로 발전하게 된다. 임파워링을 통해 임파워먼트된 주민들은 사회적 관계를 주도하고 서로 간의 협력과 연대감을 높여 주민유도와 책임의 공유의식이라는 사회적 자본을 강화한다.
6. 참고문헌
1) 박서영ㆍ권성철ㆍ김용길 외 2명(2018), 지역사회 복지론, 정민사
2) 양정하(2017),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1) 의식제고하기(consciousness raising)
무력감을 느끼는 개인들을 한데 모아 의식화 모임을 가짐으로써 문제의 원인이 자신들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알게 하고 자신들을 억압하는 사회구조에 대해 비판적인 의식을 갖게 한다.
2) 자기목소리내기(self-assertion)
문제의 원인과 소재에 대해 공개적으로 자기주장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그러한 장을 마련한다.
3) 공공의제 만들기(framing the agenda)
문제의 원인과 소재를 대중이 인식할 수 있게끔 쟁점을 효과적으로 정리하고 필요하면 공공의제가 될 수 있도록 시위나 대중매체 캠페인을 주도한다.
4) 힘권력 키우기(building power)
자원동원을 통해 주민들의 힘을 키운다. 동원되는 사람의 수와 열정이 가장 중요한 힘의 원천이 된다.
5) 역량 키우기(capacity building)
조직건설과 캠페인 등을 전개하면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성공에 대한 경험을 통해 성공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짐으로써 고질적 무력감에서 벗어나 역량을 얻는다.
6) 사회자본 창출하기(creating social capacity)
마지막으로 주민의 능력이 모여 사회 자본으로 발전하게 된다. 임파워링을 통해 임파워먼트된 주민들은 사회적 관계를 주도하고 서로 간의 협력과 연대감을 높여 주민유도와 책임의 공유의식이라는 사회적 자본을 강화한다.
6. 참고문헌
1) 박서영ㆍ권성철ㆍ김용길 외 2명(2018), 지역사회 복지론, 정민사
2) 양정하(2017),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키워드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 실천과정의 다양한 실천기술에 대해서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사의 지역사회 실천 기술을 요약하여 정리하고 각 기술에 따른 사...
지역사회복지론3공통) 우선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을 교재 제5장에 소개된 네 단계(문제확...
[지역사회복지론 공통] 지역사회복지실천의 4단계 과정 요약 및 지역사회복지에 관한 문제를 ...
[지역사회복지론 공통] 우선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을 교재 제5장에 소개된 네 단계(문제확...
[[지역사회복지론3]]우선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을 교재 제5장에 소개된 네 단계(문제확인,...
[지역사회복지론] 우선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을 교재 제5장에 소개된 네 단계(문제확인, ...
[지역사회복지론]우선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을 교재 제5장에 소개된 네 단계(문제확인, 지...
[지역사회복지론] 수업시간에 다룬 지역복지실천모델(로스만, 웨이과 갬블, 포플 등) 중 하...
지역사회복지실천기술 요약정리(지역사회복지론 단원요약정리 지역사회복지실천간략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