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상행동의 증상
I. 정신분열증
II. 신경증
1) 히스테리
2) 불안신경증
3) 공포증
4) 강박신경증
5) 그 밖의 신경증
III. 경계선 인격장애
* 참고문헌
I. 정신분열증
II. 신경증
1) 히스테리
2) 불안신경증
3) 공포증
4) 강박신경증
5) 그 밖의 신경증
III. 경계선 인격장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반응하여 신체적 이상을 호소는 심기진(hypochondriasis)도 있다. 정신분석학에서는 어떠한 신경증일지라도 그 증상의 중심에는 '불안반응'이라고 하는 문제가 관여하고 있다고 보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문제의 해결은 이 불안을 약화시키는 데 있다고 보고 있다.
III. 경계선 인격장애
오늘날 정신과 진료에서 '경계선 인격장애'(borderline personal disorder)로 진단되는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 병은 DSM-IV에 의한 인격장애의 분류 가운데 속하는 하나의 유형으로 대인관계나 감정이 상당히 불안정하고 다양한 충동성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 증상에 대한 문제가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한 시기는 대략 1940년대부터이다. 페니첼(Fenichel, 1945)의 경계선 사례(borderline case)개념의 소개가 그 단초가 되었는데, 처음에는 이 증상의 본질을 분열증으로 보았다. 1950년에 들어서서 나이트(Knight, 1953)는 분열증과 신경증의 경계영역, 즉 중간상태에 있는 사례로 보았다. 그러다가 1960년대 케른버그(Kernberg)는 분열증이나 신경증도 아닌 중증의 인격병으로 보면서 '경계인격구조'라 명명하였다. 이 경계인격구조와 DSM에서 말하는 경계선 인격장애는 엄밀하게 말하면 일치하지는 않지만, 오늘날 거의 동의어로 사용하고 있다.
경계선 인격장애환자는 정서가 불안정하여 끝없이 안절부절 못하며, 갑자기 분노를 폭발하거나 심각한 절망감에 빠지기도 한다. 타인에게 버림받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으로 인해 상대방이 약속시간에 조금이라도 늦게 오면 격노한다. 또한 한 번 만난 사람일지라도 이상화하지만, 상대방이 자신을 수용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순간부터는 상대방을 비난 공격한다. 자아가 불안정하여 학교를 중퇴하는 등 행동이나 목표의 변화가 심하다.
그리고 과식 낭비 약물남용 및 불안정한 성행위 등의 자기 자신에 대한 충동적 위해(危害)행동을 하며, 자해행동(신체에 상처를 내거나 화상을 내기도 한다)이나 자살계획 내지 시도를 반복한다.
발생비율은 여성(환자의 약 75測이 남성에 비해 훨씬 높으며, 유아기 때 모자관계의 문제가 인격장애의 형성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 있다. 청년기에서 성인초기에 걸쳐 만성적인 불안정상태가 계속되면서 자살의 위험성도 높아지지만, 연령증가와 함께 안정을 찾아 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 참고문헌
아동 청소년 정신발달 : Gilmore Pamela Meersand 저, 이지연, 이지현 옮김 / 2018 / 학지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청소년권리와 청소년복지 : 이혜원, 이봉주 외 3명 저 / 2008 / 한울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청소년복지의 이해 : 정규석, 김영미 저 / 2017 / 학지사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III. 경계선 인격장애
오늘날 정신과 진료에서 '경계선 인격장애'(borderline personal disorder)로 진단되는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 병은 DSM-IV에 의한 인격장애의 분류 가운데 속하는 하나의 유형으로 대인관계나 감정이 상당히 불안정하고 다양한 충동성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 증상에 대한 문제가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한 시기는 대략 1940년대부터이다. 페니첼(Fenichel, 1945)의 경계선 사례(borderline case)개념의 소개가 그 단초가 되었는데, 처음에는 이 증상의 본질을 분열증으로 보았다. 1950년에 들어서서 나이트(Knight, 1953)는 분열증과 신경증의 경계영역, 즉 중간상태에 있는 사례로 보았다. 그러다가 1960년대 케른버그(Kernberg)는 분열증이나 신경증도 아닌 중증의 인격병으로 보면서 '경계인격구조'라 명명하였다. 이 경계인격구조와 DSM에서 말하는 경계선 인격장애는 엄밀하게 말하면 일치하지는 않지만, 오늘날 거의 동의어로 사용하고 있다.
경계선 인격장애환자는 정서가 불안정하여 끝없이 안절부절 못하며, 갑자기 분노를 폭발하거나 심각한 절망감에 빠지기도 한다. 타인에게 버림받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으로 인해 상대방이 약속시간에 조금이라도 늦게 오면 격노한다. 또한 한 번 만난 사람일지라도 이상화하지만, 상대방이 자신을 수용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순간부터는 상대방을 비난 공격한다. 자아가 불안정하여 학교를 중퇴하는 등 행동이나 목표의 변화가 심하다.
그리고 과식 낭비 약물남용 및 불안정한 성행위 등의 자기 자신에 대한 충동적 위해(危害)행동을 하며, 자해행동(신체에 상처를 내거나 화상을 내기도 한다)이나 자살계획 내지 시도를 반복한다.
발생비율은 여성(환자의 약 75測이 남성에 비해 훨씬 높으며, 유아기 때 모자관계의 문제가 인격장애의 형성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 있다. 청년기에서 성인초기에 걸쳐 만성적인 불안정상태가 계속되면서 자살의 위험성도 높아지지만, 연령증가와 함께 안정을 찾아 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 참고문헌
아동 청소년 정신발달 : Gilmore Pamela Meersand 저, 이지연, 이지현 옮김 / 2018 / 학지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청소년권리와 청소년복지 : 이혜원, 이봉주 외 3명 저 / 2008 / 한울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청소년복지의 이해 : 정규석, 김영미 저 / 2017 / 학지사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이상행동-개념, 모델, 평가, 진단, 불안장애, 정신신체적장애, 정동장애, 정신분열증, 사회적...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상행동 - 정동장애와 정신분열증, 사회적 및 대인관계적 장애.pptx
이상심리학_조현병 (정신분열증)의 핵심적인 증상 5가지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와해된 ...
성인기 이상행동 및 정신장애 - 정신분열증(정신분열병, 조현병), 기분장애(우울장애, 양극성...
[이상행동] 이상행동의 분류와 평가(범불안장애 기분장애 신체형 장애 해리장애 정신분열증)
[이상행동의 분류] 정신분열증 기분장애 불안장애 신체형 장애
[아동발달장애] 아동기 이상행동(아동 정신분열증 조울증 신경증 자폐증 아동 ADHD아동 아동...
[이상행동의 유형과 치료] 이상행동 및 정신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정신분열증, 기...
[이상행동] 이상행동의 개념, 이상행동모델, 이상행동의 증상과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