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론] 불안장애에 대한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건강론] 불안장애에 대한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신건강론
-불안장애에 대하여-

1. 불안장애의 이해
1.1. 정의
1.2. 불안의 기능
1.3. 불안장애의 종류
1.4. 불안장애의 인지적 평가

2. 불안의 이론
2.1. Mowrer(1960)의 2요인 이론
2.2. 불안장애의 설명모형
2.3. 불안장애의 발달경로

3. 불안장애의 상담
3.1. 부모상담
3.2. 가족상담
3.3. 인지행동 치료적 상담
3.3.1. 행동적 개입전략
3.3.2. 인지적 개입전략
3.3.3. 치료적 상담방법

4. 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누고 자신의 기여도가 몇 %인지 수식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파이차트 기법은 주로 책임에 대한 불안이 있을 때 이용하며, 누적확률계산법은 사고 등에 대해서 이용한다.
또한, 연속적 기법이 있는데, 이 기법은 불안상황에 대해서 불안척도(1~10 사이, 불안할수록 높은 숫자로 표기)를 작성하여 타집단과 비교해보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대상자 A는 가스밸브에 대해서 7의 불안을 가지고 있지만 B는 안전설비에 대한 지식으로 2에 불안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A에게 B의 사례를 말하고 불안에 대해서 재구조화 시켜주는 것이다.
이러한 치료적 상담방법은 행동치료나 인지치료를 시행하면서 사용하기 용이하며,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해당 상담은 불안 장애를 치료하는데 필수적이다.
4. 사례
필자가 해당 정신장애에 대해서 선택한 이유는 본인이 불안장애의 일종인 공황장애로 2년간 고생을 했기 때문이다. 필자의 경우 광장공포증이 동반되었으며 당시의 경험과 치료과정을 통해 사례를 정리하고자 한다.
1) 공황발작이 일어날 때 상황 : 노원역 인근에서 사람들이 많은 가운데 일행을 놓침
2) 공황발작 증상 : 식은땀이 흐르고 호흡이 가빠짐, 심장이 빨리 뜀, 사람들의 흉을 보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고 위협을 느낌
3) 결과 : 수 분 의식을 잃고 집으로 돌아옴, 병원에 입원을 결심
4) 치료과정
⑴ 병원에 입원하여 심리검사를 실시 : 인지구조의 불균형과 인지능력이 감퇴 IQ지수 105, (원래 IQ 128), 자살과 우울증상 호소, 사람들에 대한 지나친 경계와 두려움 (약물 치료 시작)
⑵ 인지 재구조화 : 당시의 상황과 불안 정도를 작성하고 객관적으로 평가, 지속적인 상담 병행
⑶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 미술치료를 통해 그림을 그리고 입원한 동안, 지속적으로 그림을 그림, 음악치료를 통해 노래를 배우고 일요일에는 같이 노래방 기기로 노래를 부름
⑷ 사회 훈련 : 산책과 외출을 통해 사람들이 많은 장소에 적응함, 힘이들때는 약물을 복용
⑸ 사회 복귀 : 증상이 있고 1달이 넘은 뒤에 퇴원, 지속적인 내원과 훈련을 통해 극복, 일반적인 사람과 다르게 상황에 지속적으로 노출하고 견딤, 수 차례 발작이 있었지만 포기하지 않고 지속하는 덕에 현재는 불안장애에 대한 호소는 없음.
참고문헌
이영실 이윤로 유영달, 「정신건강론」, (서울 : 창지사, 2013)
정정순, 수업자료 「불안장애」, (미발간, 2016)
  • 가격1,1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2.18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45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