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신분석 치료
-정신분석 이론의 개념을 중심으로-
1. 정신분석의 이론적 정의
2. 정신분석의 전제
3. 무의식과 의식의 개념
4. 성격구조
5. 불안과 방어기제
5.1. 불안의 개념
5.2. 방어기제
6. 성격발달
7. 정신분석 치료의 기법
8. 정신분석 치료에 대한 평가
-정신분석 이론의 개념을 중심으로-
1. 정신분석의 이론적 정의
2. 정신분석의 전제
3. 무의식과 의식의 개념
4. 성격구조
5. 불안과 방어기제
5.1. 불안의 개념
5.2. 방어기제
6. 성격발달
7. 정신분석 치료의 기법
8. 정신분석 치료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담자가 자발적으로 치료에 참여하였지만 치료에 방해되는 행동을 하는 것은 무의식에 억압된 욕구나 감정, 무의식적 갈등의 산물로 보았다.
해석 : 내담자는 치료과정에서 스스로 자신의 무의식적 갈등에 대한 통찰을 얻게 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내담자의 수용성이나 한계에 따라 이 방법은 역효과를 내기도 한다.
훈습 : 무의식적 갈등이 현실생활에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깨닫고, 어떻게 적응적 행
동을 실천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며 변화하는 점진적 과정이다.
8. 정신분석 치료에 대한 평가 권석만,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학지사,2012), 80-2.
프로이트의 이론은 여전히 심리치료의 시작으로 평가되며 사용된다. 그 이유는 프로이트의 무의식과 의식세계의 이해 및 성격발달은 인간의 정신과 인간의 신경증 병리학적 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에 따른 개입방법을 제시하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정신분석 치료에는 몇 가지 이론적 한계가 존재한다. 첫째는 객관화가 불가능한 무의식 세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증명이 불가능하는 것이다. 정신분석이론은 인간의 내면세계에 초점으로 인간행동을 설명하였다. 인간행동은 현상이지만 그 근원이 되는 내면세계는 도식화나 객관적인 측정도구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다. 따라서 이후 발달한 행동주의자들은 이를 문제로 정신분석을 비판한다.
둘째, 프로이트가 연구한 대상은 한정되어 있으며 보편적이지 않다. 프로이트가 연구한 대상은 중상층 여성으로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는 여성의 성에 대해 억압적이었다. 프로이트 이론은 그들을 중심으로 연구가 전개되었기 때문에 보편적인 인간 정신세계를 탐구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셋째, 정신분석 치료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확실한 치료 척도를 기준하기가 어렵다. 정신분석 치료는 무의식을 탐구하고 이를 표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인간행동을 결정한다고 하는 무의식 세계에서 어떤 잠재된 욕구, 불안, 불쾌감, 의존감이 행동의 원인인지는 알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이를 치료하는 시간은 오래 걸리고, 확실한 치료 척도를 기준하기도 어렵다.
프로이트가 창시한 정신분석 치료는 위와 같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심리상담의 현장에서 정신분석 치료만으로 치료하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그가 확립한 무의식에 대한 관심과 개념, 정신병리, 불안에 대한 이론은 현대 심리치료 발전의 근간이 되었다. 비록 그의 연구가 확실하게 증명이 불가능하다 할지라도 프로이트에 의해 현대 심리학이 발전한 것은 부정할 여지가 없다. 필자는 이러한 프로이트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지지하지는 않지만, 그가 정립한 개념을 탐구하고 더욱 인간의 내면과 정신병리에 대한 이론을 확립하고 싶다.
참고문헌
샹양탠, 상담과 심리치료,(이레서원, 2014)
두산백과, ‘정신분석’에 대한 검색 결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0593&cid=40942&categoryId=31531)
이영실 외 2저, 정신건강론 (창지사. 2011)
권석만,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학지사,2012)
해석 : 내담자는 치료과정에서 스스로 자신의 무의식적 갈등에 대한 통찰을 얻게 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내담자의 수용성이나 한계에 따라 이 방법은 역효과를 내기도 한다.
훈습 : 무의식적 갈등이 현실생활에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깨닫고, 어떻게 적응적 행
동을 실천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며 변화하는 점진적 과정이다.
8. 정신분석 치료에 대한 평가 권석만,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학지사,2012), 80-2.
프로이트의 이론은 여전히 심리치료의 시작으로 평가되며 사용된다. 그 이유는 프로이트의 무의식과 의식세계의 이해 및 성격발달은 인간의 정신과 인간의 신경증 병리학적 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에 따른 개입방법을 제시하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정신분석 치료에는 몇 가지 이론적 한계가 존재한다. 첫째는 객관화가 불가능한 무의식 세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증명이 불가능하는 것이다. 정신분석이론은 인간의 내면세계에 초점으로 인간행동을 설명하였다. 인간행동은 현상이지만 그 근원이 되는 내면세계는 도식화나 객관적인 측정도구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다. 따라서 이후 발달한 행동주의자들은 이를 문제로 정신분석을 비판한다.
둘째, 프로이트가 연구한 대상은 한정되어 있으며 보편적이지 않다. 프로이트가 연구한 대상은 중상층 여성으로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는 여성의 성에 대해 억압적이었다. 프로이트 이론은 그들을 중심으로 연구가 전개되었기 때문에 보편적인 인간 정신세계를 탐구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셋째, 정신분석 치료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확실한 치료 척도를 기준하기가 어렵다. 정신분석 치료는 무의식을 탐구하고 이를 표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인간행동을 결정한다고 하는 무의식 세계에서 어떤 잠재된 욕구, 불안, 불쾌감, 의존감이 행동의 원인인지는 알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이를 치료하는 시간은 오래 걸리고, 확실한 치료 척도를 기준하기도 어렵다.
프로이트가 창시한 정신분석 치료는 위와 같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심리상담의 현장에서 정신분석 치료만으로 치료하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그가 확립한 무의식에 대한 관심과 개념, 정신병리, 불안에 대한 이론은 현대 심리치료 발전의 근간이 되었다. 비록 그의 연구가 확실하게 증명이 불가능하다 할지라도 프로이트에 의해 현대 심리학이 발전한 것은 부정할 여지가 없다. 필자는 이러한 프로이트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지지하지는 않지만, 그가 정립한 개념을 탐구하고 더욱 인간의 내면과 정신병리에 대한 이론을 확립하고 싶다.
참고문헌
샹양탠, 상담과 심리치료,(이레서원, 2014)
두산백과, ‘정신분석’에 대한 검색 결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0593&cid=40942&categoryId=31531)
이영실 외 2저, 정신건강론 (창지사. 2011)
권석만,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학지사,2012)
추천자료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 학문적 배경,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 개념과 특징, 정신분...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기본원칙과 중심개념,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성격구조와 심리성...
[정신건강론] 심리치료의 정의 및 목표, 치료놀이의 개념과 목적 및 특성, 치료놀이의 원리와...
[심리치료psychotherapy 와 상담] 정신분석의 주요개념과 성격이론 - 정신분석의 기본가정, ...
[상담과 심리치료]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주요 이론적 개념 -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인간관, 무...
정신분석이론의 주요개념과 성격이론(정신분석의 기본가정, 마음의 지형학적 모델, 성적 추동...
[가족치료] 가족치료의 주요개념,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정신분석가족치료), 구조적 가족치료,...
현대놀이 이론 중 프라이드의 정신분석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행동주의이론 상위 의사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