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분석심리이론의 주요 개념
I. 자아와 페르소나
II. 무의식
1/ 개인적 무의식과 복합, 음영
2/ 집단적 무의식과 원형
III. 아니마와 아니무스
IV. 자기
V. 성격유형
* 참고문헌
I. 자아와 페르소나
II. 무의식
1/ 개인적 무의식과 복합, 음영
2/ 집단적 무의식과 원형
III. 아니마와 아니무스
IV. 자기
V. 성격유형
* 참고문헌
본문내용
. 자기(self)
자기(self)는 성격의 상반된 측면들을 균형 있고 조화롭게 만들려는 내적 충동으로, 중심성, 전체성. 의미를 무의식적으로 추구하는 원형이다.
자기는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는 원형으로, 자아가 의식의 영역만을 볼 수 있다면 자기는 의식과 무의식의 영역 모든 것을 보고 통합할 수 있기 때문에 성격의 통일성과 안정성을 제공한다. 자기는 성격이 개성화를 통해 충분히 발달하여야만 드러날 수 있기 때문에 중년이 될 때까지 거의 표면화되지 않는다. 자기의 목표는 자아실현으로 자아가 자기의 원형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용하고 자기에 대한 이해를 증진해 나감으로써 자아실현이 가능해진다.
V. 성격유형
융(Jung)은 자아성향(ego orientation) 즉, 자아의 태도와 기능을 근거로 성격을 구분하였다. 먼저 자아의 태도에 따라 내향성(introversion)과 외향성(extraversion)으로 구분하였는데 외향적인 사람은 자신 있게 직접적으로 행동하는 반면 내향적인 사람은 망설임이 많고 일이 어떻게 될 것인가를 꼼꼼히 생각한다. 인간에게는 누구나 이 두 가지 태도가 함께 존재하지만, 둘 중 어느 하나가 우세하여 의식되고 다른 하나는 무의식에 존재한다.
한편, 자아기능은 외부와 내면세계를 지각하고 이해하기 사용하는 사고(thinking), 감정(feeling), 감각(sensitive), 직관(intuition)을 의미하는데, 이는 세상을 경험하는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융은 자아의 태도인 내향성과 외향성을 자아기능의 4가지 개념과 결합시켜 외향적 사고형, 외향적 감정형, 외향적 감각형, 외향적 직관형, 내향적 사고형, 내향적 감정형, 내향적 감각형, 내향적 직관형의 8가지 성격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애착이론과 정신분석 / Peter Fronagy 저, 반건호 역 / 빈센트 / 2005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유아인지발달 / 이화도 저 / 창지사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자기(self)는 성격의 상반된 측면들을 균형 있고 조화롭게 만들려는 내적 충동으로, 중심성, 전체성. 의미를 무의식적으로 추구하는 원형이다.
자기는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는 원형으로, 자아가 의식의 영역만을 볼 수 있다면 자기는 의식과 무의식의 영역 모든 것을 보고 통합할 수 있기 때문에 성격의 통일성과 안정성을 제공한다. 자기는 성격이 개성화를 통해 충분히 발달하여야만 드러날 수 있기 때문에 중년이 될 때까지 거의 표면화되지 않는다. 자기의 목표는 자아실현으로 자아가 자기의 원형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용하고 자기에 대한 이해를 증진해 나감으로써 자아실현이 가능해진다.
V. 성격유형
융(Jung)은 자아성향(ego orientation) 즉, 자아의 태도와 기능을 근거로 성격을 구분하였다. 먼저 자아의 태도에 따라 내향성(introversion)과 외향성(extraversion)으로 구분하였는데 외향적인 사람은 자신 있게 직접적으로 행동하는 반면 내향적인 사람은 망설임이 많고 일이 어떻게 될 것인가를 꼼꼼히 생각한다. 인간에게는 누구나 이 두 가지 태도가 함께 존재하지만, 둘 중 어느 하나가 우세하여 의식되고 다른 하나는 무의식에 존재한다.
한편, 자아기능은 외부와 내면세계를 지각하고 이해하기 사용하는 사고(thinking), 감정(feeling), 감각(sensitive), 직관(intuition)을 의미하는데, 이는 세상을 경험하는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융은 자아의 태도인 내향성과 외향성을 자아기능의 4가지 개념과 결합시켜 외향적 사고형, 외향적 감정형, 외향적 감각형, 외향적 직관형, 내향적 사고형, 내향적 감정형, 내향적 감각형, 내향적 직관형의 8가지 성격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애착이론과 정신분석 / Peter Fronagy 저, 반건호 역 / 빈센트 / 2005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유아인지발달 / 이화도 저 / 창지사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분석심리학]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 - 분석심리학의 특성, 융(Jung)의 분석심리학적 성격이론...
[융의 분석심리학] 분석심리이론의 주요 개념 융의 성격발달단계 분석심리이론의 사회복지실...
융의 분석심리이론(분석심리학)
융(Jung)의 분석심리학(분석심리이론)
[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Freud), 에릭슨(Erikson), 아들러(Adler), 융(Jung)의 이론(정신역...
[분석심리이론] 융(Jung)의 성격구조, 분석심리학의 주요개념, 융의 성격발달단계, 분석심리...
인간행동의 발달이론 중 프로이드(Freud)와 융(Jung)의 인간관 의식과 무의식 성격발달에 대...
[분석심리학] 융(Jung)의 분석심리이론(융의 정신구조, 자아, 콤플렉스, 원형, 페르소나, 그...
[융의 분석심리학] 분석심리이론의 주요개념 융의 성격발달단계 분석심리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