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개인심리학
I.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주요 개념
1. 가상적 목표
2. 열등감과 보상
3. 우월에 대한 추구
4. 생활양식
5. 가족형상
II. 성격발달
B. 분석심리학
I. 융 이론의 주요 개념
1. 자아
2. 개인적 무의식과 콤플렉스
3. 집단무의식과 원형
4. 페르소나
5. 아니마와 아니무스
II. 성격발달단계 및 심리적 유형
1. 성격발달단계
2. 심리적 유형
* 참고문헌
I.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주요 개념
1. 가상적 목표
2. 열등감과 보상
3. 우월에 대한 추구
4. 생활양식
5. 가족형상
II. 성격발달
B. 분석심리학
I. 융 이론의 주요 개념
1. 자아
2. 개인적 무의식과 콤플렉스
3. 집단무의식과 원형
4. 페르소나
5. 아니마와 아니무스
II. 성격발달단계 및 심리적 유형
1. 성격발달단계
2. 심리적 유형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 변화는 부모로부터 자아의 의식적 분리와 정신적 탄생을 야기한다. 성인기에는 외양적으로 성숙하며 외부 세계에 대처하는 능력이 발달한다. 남자는 남성적 원리를, 여성은 여성적 원리를 발달시킨다. 35-40세를 전후로 외부적 목표와 야망이 그 의미를 잃게 되며 정신적 변화가 오게 된다. 중년기에는 외부로 쏟았던 에너지를 자신의 내부 세계로 돌리기 시작하며 남녀 모두 자신과 상반되는 성적 측면을 표현하기 시작한다. 이는 의식에만 집중하던 경향이 무의식의 세계를 깨닫게 되기 때문이다. 노년기에는 자신의 인생이 이제는 마무리를 해야 할 단계임을 알고 자신에 대해 진지하게 관심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융은 나이가 들어 명상과 회고를 많이 하면 내적 이미지에 몰두하게 되며 노인이 내세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야 건전하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다고 하였다.
2. 심리적 유형
융(Jung)은 자아의 기본적 태도와 자아의 심리적 기능에 따라 개인의 성격이 결정된다고 하였다. 융은 자아의 태도를 외향성과 내향성으로 구분했다. 외향성은 리비도가 객관적 세계를 지향하고 있으며, 외향적 성격의 특성은 쾌활하고 남성적이며 적극적 능동적이다. 반면 내향성은 리비도가 주관적 제계를 지향하고 있으며, 여성적 소극적 수동적 성격 특성을 보인다. 모든 사람은 이 두 가지 성격 특성을 다 가지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우세한 쪽으로 성격 유형이 결정된다.
융에 따르면 외향성과 내향성이라는 자아의 기본적 태도 외에 의식에는 자아의 심리적 기능이 있다. 그는 심리적 기능을 사고, 감정, 감각, 직관의 네 가지로 구분하고 이 중 어느 기능이 우세한지에 따라 사고형, 감정형, 감각형, 직관형으로 분류하였다. 사고와 감정은 평가 혹은 판단에 사용되는 기능이다. 사고는 다양한 생각을 연결시켜 사물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에 이르는 지적 기능으로, 사고형의 주요한 행동은 감정을 누르고 생각을 통해 나온다. 이에 반해 감정형은 사물을 평가할 때 감정에 의해 판단한다. 즉, 어떤 생각이나 행동이 유쾌한지 불쾌한지에 따라 받아들이거나 거부한다. 지각의 다른 두 형태인 감각과 직관은 이성이 필요하지 않은 비합리적 기능이다. 감각이 오감을 통해 현실을 경험한다면, 직관은 경험하지 않더라도 육감을 토대로 하여 발생하는 심적 상태다. 감각형은 보이거나 만져지는 사물의 현재 있는 그대로의 모습에 관심이 있으나, 직관형은 미래 또는 가상의 가능한 모습으로 사물을 바라본다. 사람은 이 네 가지 기능 중 어느 기능을 주로 사용하는지에 따라 기본 성격이 달라진다. 자아의 두 가지 태도인 외향과 내향, 그리고 사고, 감정, 감각, 직관의 네 가지 심리적 기능의 결합에 따라 심리적 유형은 결정된다. 융의 심리적 유형은 인간을 기계적으로 틀 안에 고정시켜 개인을 이해하는 데 적용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지만 성격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인간 이해를 도울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무스(animus)다. 아니마와 아니무스로 인해 이성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2. 심리적 유형
융(Jung)은 자아의 기본적 태도와 자아의 심리적 기능에 따라 개인의 성격이 결정된다고 하였다. 융은 자아의 태도를 외향성과 내향성으로 구분했다. 외향성은 리비도가 객관적 세계를 지향하고 있으며, 외향적 성격의 특성은 쾌활하고 남성적이며 적극적 능동적이다. 반면 내향성은 리비도가 주관적 제계를 지향하고 있으며, 여성적 소극적 수동적 성격 특성을 보인다. 모든 사람은 이 두 가지 성격 특성을 다 가지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우세한 쪽으로 성격 유형이 결정된다.
융에 따르면 외향성과 내향성이라는 자아의 기본적 태도 외에 의식에는 자아의 심리적 기능이 있다. 그는 심리적 기능을 사고, 감정, 감각, 직관의 네 가지로 구분하고 이 중 어느 기능이 우세한지에 따라 사고형, 감정형, 감각형, 직관형으로 분류하였다. 사고와 감정은 평가 혹은 판단에 사용되는 기능이다. 사고는 다양한 생각을 연결시켜 사물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에 이르는 지적 기능으로, 사고형의 주요한 행동은 감정을 누르고 생각을 통해 나온다. 이에 반해 감정형은 사물을 평가할 때 감정에 의해 판단한다. 즉, 어떤 생각이나 행동이 유쾌한지 불쾌한지에 따라 받아들이거나 거부한다. 지각의 다른 두 형태인 감각과 직관은 이성이 필요하지 않은 비합리적 기능이다. 감각이 오감을 통해 현실을 경험한다면, 직관은 경험하지 않더라도 육감을 토대로 하여 발생하는 심적 상태다. 감각형은 보이거나 만져지는 사물의 현재 있는 그대로의 모습에 관심이 있으나, 직관형은 미래 또는 가상의 가능한 모습으로 사물을 바라본다. 사람은 이 네 가지 기능 중 어느 기능을 주로 사용하는지에 따라 기본 성격이 달라진다. 자아의 두 가지 태도인 외향과 내향, 그리고 사고, 감정, 감각, 직관의 네 가지 심리적 기능의 결합에 따라 심리적 유형은 결정된다. 융의 심리적 유형은 인간을 기계적으로 틀 안에 고정시켜 개인을 이해하는 데 적용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지만 성격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인간 이해를 도울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무스(animus)다. 아니마와 아니무스로 인해 이성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Alfred Adle] 개인심리학 이론과 적용 및 치료 방법 그리고 사례 분석 (A+레포트)★★★★★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과 사례분석(제빵왕 김탁구)보거서 파워포인트 PPT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과 사례분석(제빵왕 김탁구)
상담의 주요 이론 중 정신분석학, 개인심리학, 인간중심상담의 인간관, 상담의 목표 및 상담...
[심리치료와 상담] 분석심리학(分析心理學)의 주요개념과 성격이론 - 분석심리학의 기본과정,...
융의 분석分析심리학과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개인심리이론에의 출생순위별 성향을 바탕으로 자신의 성향을 분석하고 아들러 개인심리이론...
영화 한편을 보고 영화 속 주인공을 사례로 삼아 수업 시간에 배운 이론 (프로이트의 정신분...
융의 분석심리학과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아들러의 개인심리학과 융의 분석심리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