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훈민정음> 해례본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
2. 자음
1) 사라진 자음
2) 전탁음과 경음
3) 자음의 배열순서
3. 모음
1) 사라진 모음
2) 이중모음과 단모음
3) 모음의 배열순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훈민정음> 해례본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
2. 자음
1) 사라진 자음
2) 전탁음과 경음
3) 자음의 배열순서
3. 모음
1) 사라진 모음
2) 이중모음과 단모음
3) 모음의 배열순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계속해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ㅐ, ㅔ. ㅚ. ㅟ, ㅢ’ 중에서는 \'ㅢ\'를 제외하고는 모두 단모음으로 변하였다. 이러한 모음들은 쓰는 방식에는 변화가 없으나, 발음만 달라졌다. 현재 <한글맞춤법>을 기준으로 할 때는 단모음 ‘ㅏ, ㅐ, ㅓ, ㅔ, ㅗ, ㅚ, ㅜ,ㅟ, ㅡ, ㅣ’가 있고, 이중모음에는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가 있다.
3) 모음의 배열순서
창제 당시 모음의 배열순서는 ‘ㆍ, ㅡ,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이었다. 이러한 배열순서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되면서 현재는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의 순서로 자리 잡았다.
Ⅲ. 결론
언어는 쉴 새 없이 사용된다. 또한 사용하는 세대와 사용되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한다. <한글맞춤법>은 <훈민정음>이 15세기에 창제된 이래 꾸준히 변화한 한글의 변천을 반영하여 자모의 구성과 그 쓰임에도 크고 작은 변화를 거쳐 확립되었다.
Ⅳ. 참고문헌
훈민정음 창제와 연구사 (강신항, 경진, 2010)
개정판 국어사개설 (이기문, 탑출판사, 1972)
개정 한글 맞춤법 강의(이희승 등 지음, 신구문화사, 2015)
3) 모음의 배열순서
창제 당시 모음의 배열순서는 ‘ㆍ, ㅡ,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이었다. 이러한 배열순서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되면서 현재는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의 순서로 자리 잡았다.
Ⅲ. 결론
언어는 쉴 새 없이 사용된다. 또한 사용하는 세대와 사용되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한다. <한글맞춤법>은 <훈민정음>이 15세기에 창제된 이래 꾸준히 변화한 한글의 변천을 반영하여 자모의 구성과 그 쓰임에도 크고 작은 변화를 거쳐 확립되었다.
Ⅳ. 참고문헌
훈민정음 창제와 연구사 (강신항, 경진, 2010)
개정판 국어사개설 (이기문, 탑출판사, 1972)
개정 한글 맞춤법 강의(이희승 등 지음, 신구문화사, 2015)
추천자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세계의 주요 문자
[맞춤법과표준어]한글창제 이후 한글 표기법의 변천에 관한 고찰
한국어음운론-훈민정음 해례본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
한국어음운론-훈몽자회 범례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
[인문과학] 한국어음운론)훈민정음 해례본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
한국어음운론 ) 훈몽자희 범례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
한국어 음운론)훈민정음해례본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
한국어음운론)훈몽자회 범례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
한국어 음운론)훈민정음 해례본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