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출산
1. 출산의 과정
2. 분만단계
1) 제1단계 : 개구기
2) 제2단계 : 출산기(만출기)
3) 제3단계 : 후산기
II. 신생아
1. 신체적 특징
2. 생리적 기능
1) 호흡, 맥박, 체온
2) 수유 및 배설
3) 수면
3. 반사운동
1) 근원 반사
2) 빨기 반사
3) 파악 반사
4) 모로 반사
5) 바빈스키 반사
6) 걸음마 반사
4. 감각기능
1) 시각
2) 청각
3) 촉각
4) 미각
5) 후각
6) 통각
* 참고문헌
1. 출산의 과정
2. 분만단계
1) 제1단계 : 개구기
2) 제2단계 : 출산기(만출기)
3) 제3단계 : 후산기
II. 신생아
1. 신체적 특징
2. 생리적 기능
1) 호흡, 맥박, 체온
2) 수유 및 배설
3) 수면
3. 반사운동
1) 근원 반사
2) 빨기 반사
3) 파악 반사
4) 모로 반사
5) 바빈스키 반사
6) 걸음마 반사
4. 감각기능
1) 시각
2) 청각
3) 촉각
4) 미각
5) 후각
6) 통각
* 참고문헌
본문내용
리기 반사(eye-blink reflex), 삼키기 반사(swallowing reflex)등이 있다. 그 밖에 생명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사로 구토, 재채기, 딸꾹질, 하품 등이 있다.
원시반사(Primitive reflexes)는 생존과는 무관하지만, 아기의 정상성 여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하다. 파악반사(grasping reflex), 모로반사(moro reflex), 바빈스키반사(babinski reflex), 수영반사(swimming reflex), 걷기반사(stepping reflex)등이 원시반사의 예이다. 대부분의 반사 운동이 몇 주 또는 몇 달 이내에 없어지는데 이것은 신경 조직이 발달되기 때문이다(Schaffer, 1993).
(1) 근원 반사
신생아는 입 주위에 자극을 주면 그 자극을 향해 고개를 돌리고, 입을 벌려 이것을 빨려고 한다. 이것은 신생아가 帶에 닿는 대상물을 향하여 입을 벌리고 고개를 돌리는 경향성이다. 이러한 먹이 찾기 반사는 음식물 섭취를 위한 생존적 행동으로 대개 생후 3~4개월경이면 사라진다.
(2) 빨기 반사
신생아는 입에 닿는 것은 무엇이든지 빨려고 하는데 이와 같은 빨기반사는 먹이 찾기반사와 마찬가지로 생존을 위해 타고난 반사이다. 생후 1년경 사라지지만 이후부터는 의식적으로 빨게 된다. 생후 얼마 동안에는 빨기 반사로 젖을 찾아 먹는다.
(3) 파악 반사
신생아의 손바닥에 어떤 물건을 쥐어주면 그것을 빼내기 힘들 정도로 꼭 쥐는 현상을 파악반사라 한다. 손가락을 꽉 쥔 힘은 자신의 체증을 실어도 괜찮을 정도로 강하다.
(4) 모로 반사
Moro가 발견한 반사행동이다. 아기를 놀라게 하면 나타나는 현상으로 갑자기 큰 소리를 내거나 신생아를 안고 있다가 갑자기 2-3인치 아래로 내려놓으면 팔을 활모양으로 휜다. 또한 신생아를 똑바로 눕힌 채 누운 자리 근처를 양쪽에서 세게 두드리면 팔을 쭉 벌리면서 손으로 무엇인가를 잡으려고 하는 것 같은 자세를 취한다. 생후 2개월 경 사라진다.
(5) 바빈스킨 반사
Babinski가 발견한 반사행동이다. 신생아의 발바닥을 간질이면 발가락을 발등을 향하여 부채 모양으로 편 후 다시 오므린다. 생후 1년경에 사라진다.
(6) 걸음마 반사
신생아의 겨드랑이를 잡고 살짝 들어 올려 맨발이 평면에 닿게 하면 걸어가듯이 무릎을 구부려 발을 번갈아 땅에 내려놓는데 이는 생후 3~4개월경이면 사라진다.
4) 감각기능
감각이란 주위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여러 가지 자극을 오관을 통해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신생아의 감각기관은 태어날 때부터 발달되어 있으며, 감각기능을 통하여 자신의 환경을 탐색하며, 이러한 감각적 경험을 통해 적응능력이 발달해 간다. 감각능력의 발달은 아기의 인지적 발달이나 운동능력 발달에 직접, 간접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1) 시각
신생아의 시각능력은 비교적 털 발달되어 태어나지만 양육자와 기본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을 정도의 기초적인 시각능력은 가지고 있다. 신생아는 출생 직후 몇 시간 후부터 물체를 따라 눈을 움직일 수 있으며, 10일 정도가 되면 좌우, 상하, 둥글게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갈 수 있다. 시선을 고정시키거나 초점을 맞추는 일은 힘들며 신생아의 가시거리는 가까이서 돌봐주는 사람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이다. 1개월경에 사물에 초점을 맞추고 응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청각
신생아의 청각은 태어나기 전부터 가능하다. 태내기 동안 엄마의 혈액이 흐르는 소리나 자궁을 통해 들려오는 외부 소리를 듣고 기억한다. 특히 높고 강한 소리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한다. 생후 2주경에는 사람 목소리와 다른 소리를 구분할 수 있으며 3주경에는 낯선 사람이나 아버지의 목소리 보다 어머니의 목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3) 촉각
신생아는 주로 촉각에 의존하여 주변 환경을 인지한다. 아기를 안아주거나, 등을 토닥거려 주거나, 배를 가볍게 어루만져주거나, 팔 다리 등을 잡아주는 것과 같은 피부접촉자극은 아기를 조용하게 안정시킨다. 그러므로 출생 초기 엄마가 아기를 안아주고 쓰다들어 주는 것은 아기의 정상적인 발달에 대단히 중요하다.
(4) 미각
미각은 태내에서도 어느 정도 기능을 하며 출생 시에도 여러 가지 맛의 액체를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신생아는 단맛은 입맛을 다시며 긴 시간 동안 빨아먹으나 짠맛이나 신맛은 얼굴을 찡그리고 삼키지 않는다.
(5) 후각
출생 초기부터 발달되어 있으나 아직 다양한 냄새를 구별할 만큼 완전하게 발달되어 있지 못하다. 그러나 암모니아와 같은 강한 자극적인 냄새에 얼굴을 찡그리고 고개를 돌리며 맥박과 호흡이 빨라진다. 반면, 단 냄새가 나면 냄새나는 방향으로 얼굴을 돌리며 맥박과 호흡이 느려진다. 생후 6일경이면 엄마의 채취와 다른 여성의 체취를 구별할 수 있다. 아기는 젖 냄새와 엄마 냄새가 날 때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6) 통각
출생 당시에는 통각에 대한 반응이 없다. 출생 후 8시간까지 아픈 자극에 대한 반응이 없으며, 그 후 3-4일이 지나면 빠르게 발달한다. 통각에 대한 감수성은 여아가 남아보다 더 민감하다.
영아기는 출생 후부터 약 2세까지를 말한다. 영아기는 인간의 일생에서 신체적 성장이 가장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특히 출생 후 첫 1년간은 신체와 뇌의 성장이 급속도로 이루어진다. 출생 시 신생아는 머리가 매우 커서 스스로 가누지를 못하지만 출생 후 12개월이 되는 동안에 앉고, 기고, 서고, 걸음마가 시작될 정도로 발달한다. 생후 2년째 들어서면 성장률은 다소 감소하나 오르기나 뛰기와 같은 활동은 빠른 성장을 보인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원시반사(Primitive reflexes)는 생존과는 무관하지만, 아기의 정상성 여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하다. 파악반사(grasping reflex), 모로반사(moro reflex), 바빈스키반사(babinski reflex), 수영반사(swimming reflex), 걷기반사(stepping reflex)등이 원시반사의 예이다. 대부분의 반사 운동이 몇 주 또는 몇 달 이내에 없어지는데 이것은 신경 조직이 발달되기 때문이다(Schaffer, 1993).
(1) 근원 반사
신생아는 입 주위에 자극을 주면 그 자극을 향해 고개를 돌리고, 입을 벌려 이것을 빨려고 한다. 이것은 신생아가 帶에 닿는 대상물을 향하여 입을 벌리고 고개를 돌리는 경향성이다. 이러한 먹이 찾기 반사는 음식물 섭취를 위한 생존적 행동으로 대개 생후 3~4개월경이면 사라진다.
(2) 빨기 반사
신생아는 입에 닿는 것은 무엇이든지 빨려고 하는데 이와 같은 빨기반사는 먹이 찾기반사와 마찬가지로 생존을 위해 타고난 반사이다. 생후 1년경 사라지지만 이후부터는 의식적으로 빨게 된다. 생후 얼마 동안에는 빨기 반사로 젖을 찾아 먹는다.
(3) 파악 반사
신생아의 손바닥에 어떤 물건을 쥐어주면 그것을 빼내기 힘들 정도로 꼭 쥐는 현상을 파악반사라 한다. 손가락을 꽉 쥔 힘은 자신의 체증을 실어도 괜찮을 정도로 강하다.
(4) 모로 반사
Moro가 발견한 반사행동이다. 아기를 놀라게 하면 나타나는 현상으로 갑자기 큰 소리를 내거나 신생아를 안고 있다가 갑자기 2-3인치 아래로 내려놓으면 팔을 활모양으로 휜다. 또한 신생아를 똑바로 눕힌 채 누운 자리 근처를 양쪽에서 세게 두드리면 팔을 쭉 벌리면서 손으로 무엇인가를 잡으려고 하는 것 같은 자세를 취한다. 생후 2개월 경 사라진다.
(5) 바빈스킨 반사
Babinski가 발견한 반사행동이다. 신생아의 발바닥을 간질이면 발가락을 발등을 향하여 부채 모양으로 편 후 다시 오므린다. 생후 1년경에 사라진다.
(6) 걸음마 반사
신생아의 겨드랑이를 잡고 살짝 들어 올려 맨발이 평면에 닿게 하면 걸어가듯이 무릎을 구부려 발을 번갈아 땅에 내려놓는데 이는 생후 3~4개월경이면 사라진다.
4) 감각기능
감각이란 주위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여러 가지 자극을 오관을 통해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신생아의 감각기관은 태어날 때부터 발달되어 있으며, 감각기능을 통하여 자신의 환경을 탐색하며, 이러한 감각적 경험을 통해 적응능력이 발달해 간다. 감각능력의 발달은 아기의 인지적 발달이나 운동능력 발달에 직접, 간접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1) 시각
신생아의 시각능력은 비교적 털 발달되어 태어나지만 양육자와 기본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을 정도의 기초적인 시각능력은 가지고 있다. 신생아는 출생 직후 몇 시간 후부터 물체를 따라 눈을 움직일 수 있으며, 10일 정도가 되면 좌우, 상하, 둥글게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갈 수 있다. 시선을 고정시키거나 초점을 맞추는 일은 힘들며 신생아의 가시거리는 가까이서 돌봐주는 사람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이다. 1개월경에 사물에 초점을 맞추고 응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청각
신생아의 청각은 태어나기 전부터 가능하다. 태내기 동안 엄마의 혈액이 흐르는 소리나 자궁을 통해 들려오는 외부 소리를 듣고 기억한다. 특히 높고 강한 소리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한다. 생후 2주경에는 사람 목소리와 다른 소리를 구분할 수 있으며 3주경에는 낯선 사람이나 아버지의 목소리 보다 어머니의 목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3) 촉각
신생아는 주로 촉각에 의존하여 주변 환경을 인지한다. 아기를 안아주거나, 등을 토닥거려 주거나, 배를 가볍게 어루만져주거나, 팔 다리 등을 잡아주는 것과 같은 피부접촉자극은 아기를 조용하게 안정시킨다. 그러므로 출생 초기 엄마가 아기를 안아주고 쓰다들어 주는 것은 아기의 정상적인 발달에 대단히 중요하다.
(4) 미각
미각은 태내에서도 어느 정도 기능을 하며 출생 시에도 여러 가지 맛의 액체를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신생아는 단맛은 입맛을 다시며 긴 시간 동안 빨아먹으나 짠맛이나 신맛은 얼굴을 찡그리고 삼키지 않는다.
(5) 후각
출생 초기부터 발달되어 있으나 아직 다양한 냄새를 구별할 만큼 완전하게 발달되어 있지 못하다. 그러나 암모니아와 같은 강한 자극적인 냄새에 얼굴을 찡그리고 고개를 돌리며 맥박과 호흡이 빨라진다. 반면, 단 냄새가 나면 냄새나는 방향으로 얼굴을 돌리며 맥박과 호흡이 느려진다. 생후 6일경이면 엄마의 채취와 다른 여성의 체취를 구별할 수 있다. 아기는 젖 냄새와 엄마 냄새가 날 때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6) 통각
출생 당시에는 통각에 대한 반응이 없다. 출생 후 8시간까지 아픈 자극에 대한 반응이 없으며, 그 후 3-4일이 지나면 빠르게 발달한다. 통각에 대한 감수성은 여아가 남아보다 더 민감하다.
영아기는 출생 후부터 약 2세까지를 말한다. 영아기는 인간의 일생에서 신체적 성장이 가장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특히 출생 후 첫 1년간은 신체와 뇌의 성장이 급속도로 이루어진다. 출생 시 신생아는 머리가 매우 커서 스스로 가누지를 못하지만 출생 후 12개월이 되는 동안에 앉고, 기고, 서고, 걸음마가 시작될 정도로 발달한다. 생후 2년째 들어서면 성장률은 다소 감소하나 오르기나 뛰기와 같은 활동은 빠른 성장을 보인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아동발달의 출산과 신생아기,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의 발달단계
가정교육학과 아동발달 출생과 신생아기
아동발달에 대한 정리
[신생아발달] 신생아의 신체적 특징과 생리적 기능, 반사운동과 감각능력
출산과 신생아
[신체발달, 영아기 신체발달, 유아기 신체발달, 아동기 신체발달, 청소년기 신체발달, 영아기...
[아동발달] 출생과 신생아 - 출산, 대안 분만법, 출산 시 문제점, 신생아
[신생아기 발달특징] 신생아기의 신체적 특징, 신생아의 생리적 기능, 감각기능, 반사운동, ...
[신생아발달] 신생아기 신체적 특징(신체발달) 신생아 생리현상 신생아 반사행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