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위기청소년이란
2. 우리지역의 지역사회 기반 청소년안전망 사업의 현황 – 위기 청소년 상담지원사업
3. 위기 청소년 상담지원사업의 장점
1) 상담 및 심리검사
2) 교육
3) 아웃리치
4)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4. 위기 청소년 상담지원사업의 개선방안
5.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위기청소년이란
2. 우리지역의 지역사회 기반 청소년안전망 사업의 현황 – 위기 청소년 상담지원사업
3. 위기 청소년 상담지원사업의 장점
1) 상담 및 심리검사
2) 교육
3) 아웃리치
4)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4. 위기 청소년 상담지원사업의 개선방안
5.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센터는 창원센터와 마산센터, 진해센터 세 군데로 나뉘어져 있으나 사업진행시에는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각 센터별로 팀장과 상담지원팀, 통합지원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창원센터는 팀장 1명과 팀원 5명, 마산센터는 팀장 1명과 팀원 4명, 진해센터는 팀장 1명과 팀원 4명으로 운영되고 있다. 상담 지원팀에서는 청소년대상 상담사업과 심리검사, 성인대상 프로그램, 솔리언 또래 상담사업, 청소년 동반자, 지역사회 연계 교육 프로그램 지원, 대학 실습생 관리 등을 운영하고 있다. 학업중단 청소년 진로 지원 프로그램과 학업중단 청소년 문화체험 활동, 두드림·해밀 운영, 학업 숙려제 관련 연계 업무, 청소년 직업 체험단, CYS-net 운영, 청소년 직업체험 기관 네트워크 구축 및 연계, 위기 청소년 발굴 및 지원 등의 사업은 통합지원팀에서 운영하고 있다. 센터는 각 프로젝트별로 비정규직 인원을 충원하는 등의 형태로 인원을 충원하고 있지만, 센터장을 비롯하여 총 6~7인의 전문인력 배치는 센터의 사업량에 비해 다소 적은 규모라고 할 수 있으며 전문성 면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로인해 위기청소년 특성에 맞는 개별화된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에는 한계가 있으며, 사업 효율성도 떨어질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우리지역의 지역사회 기반 청소년안전망 사업의 현황을 점검해보고 장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창원시의 경우 1388 청소년 지원단의 100%가 민간단체의 참여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예산지원과 특별지원청소년을 관리하는 관공서의 참여가 없었다. 이를 통해서 창원시의 경우 운영위원회와 실행위원회는 지나치게 관공서와 청소년 관련기관 중심으로 운영되고 1388 청소년 지원단은 지나치게 민간 단체의 참여로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체적인 조직구성에 있어서 공공부문과 민간부분의 균형적인 구성이 필요하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내부의 각각 다양한 영역들과 유기적인 결합을 할 수 있는 사업전개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윤철경(2005). 위기청소년 지역사회 안전망 실태와 발전방안.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김동일 외(2008). 위기청소년 통합지원체계(CYS-net) 운영평가 연구, 「상담학 연구」.
김경미(2010). 「경남지역 위기청소년 상담지원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석영 외(2009). 전국 청소년 위기상황 실태조사. 「청소년상담연구」.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우리지역의 지역사회 기반 청소년안전망 사업의 현황을 점검해보고 장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창원시의 경우 1388 청소년 지원단의 100%가 민간단체의 참여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예산지원과 특별지원청소년을 관리하는 관공서의 참여가 없었다. 이를 통해서 창원시의 경우 운영위원회와 실행위원회는 지나치게 관공서와 청소년 관련기관 중심으로 운영되고 1388 청소년 지원단은 지나치게 민간 단체의 참여로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체적인 조직구성에 있어서 공공부문과 민간부분의 균형적인 구성이 필요하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내부의 각각 다양한 영역들과 유기적인 결합을 할 수 있는 사업전개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윤철경(2005). 위기청소년 지역사회 안전망 실태와 발전방안.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김동일 외(2008). 위기청소년 통합지원체계(CYS-net) 운영평가 연구, 「상담학 연구」.
김경미(2010). 「경남지역 위기청소년 상담지원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석영 외(2009). 전국 청소년 위기상황 실태조사. 「청소년상담연구」.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론] 내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 복지적 관점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점과 해결방...
국토계획 및 도시계획법과 부산시 도시개발계획
의료사회사업론2A) 우리나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의 개요, 자원 현황, 프로그램 및 개...
[청소년복지]지역사회 내 청소년복지 관련 기관을 방문하여 기관을 분석해보고 청소년 관련 ...
우리지역의 지역사회 기반 청소년안전망 사업의 현황을 점검해보고 장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해...
우리지역의 지역사회 기반 청소년안전망 사업의 현황을 점검해보고 장점과 개선방안을 제시
우리지역의 지역사회 기반 청소년안전망 사업의 현황을 점검해보고 장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