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 정의
나.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 특징
2. 콜버그의 도덕교육
가. 블랫(Blatt)의 +1효과와 도덕 딜레마 토론
나. 도덕발달의 촉진을 위한 교사의 기능
3. 콜버그 이론과 관련한 사례와 분석
4. 도덕과 교육에의 적용
결론
<참고자료>
본론
1.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 정의
나.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 특징
2. 콜버그의 도덕교육
가. 블랫(Blatt)의 +1효과와 도덕 딜레마 토론
나. 도덕발달의 촉진을 위한 교사의 기능
3. 콜버그 이론과 관련한 사례와 분석
4. 도덕과 교육에의 적용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권익상
마음에 새겨 둡시다
제재의 구성과 흐름
수업에 적용하기
<효은이의 하루>
(요약) 효은이는 아침부터 도덕 시간이 매우 기다려졌다. 선생님께서 도덕 시간에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 주신다고 약속하셨기 때문이다. 설레는 마음으로 수업을 듣는데, 뒷자리에 앉은 민재와 미진이가 떠들어서 선생님의 말씀이 들리지 않았다. 그래서 민재에게 조용히 하라고 화를 냈고, 그에 더불어 민재도 효은이에게 화가 나서 소리를 질렀다. 이 소리에 선생님께서 수업 시간에는 조용히 해야한다고 말씀하셔서 효은이는 더 화를 내고 싶었지만 참았다. 수업을 마치고 집에 돌아오니, 사촌 동생들이 와 있어서 효은이는 학교 일을 잊고 사촌 동생들과 거실에서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쿵쾅거렸다. 그 때, 아래층 아주머니가 올라오셔서 시끄럽다고 화를 내시자 효은이 어머니는 공손하게 사과를 하셨다. 효은이는 지나치게 공손한 어머니의 태도를 이해할 수 없었다.
5단원 서로 존중하는 태도에서 '효은이의 하루' 사례는 콜버그의 토론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1전략' 을 활용하기에 적합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교사의 중요한 역할은 적절한 질문을 아이들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아이들의 도덕성 발달을 이끌어낼 수 있다.
교사
학생
· 효은이가 이번 도덕시간을 기다린 이유는 무엇인가요?
· 효은이가 민재와 미진이 때문에 속이 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도덕적 문제 부각)
· 민재와 미진이의 행동은 옳은 행동인가요?
· 왜 아니지요? 그렇다면 민재와 미진이는 어떤 잘못을 하였나요? ('왜'라는 질문하기)
· 수업시간에 떠드는 것이 왜 잘못인가요?
('왜'라는 질문하기)
· 우리 반은 수업시간에 떠들지 않기로 학기 초에 무엇을 했지요? (인접 단계의 논의 강조하기)
· 약속을 지키는 것은 중요해요. 그럼 우리 효은이의 집에서 일어난 일을 한번 생각해 봅시다. 무슨 일이 일어났나요?
· 효은이의 행동은 옳은가요?
· 왜 옳지 않은가요?
· 효은이가 학교에서 한 행동과 집에서 한 행동은 똑같은가요? (상황 복잡하게 하기)
· 어떤 차이가 있나요?
· 그렇다면 우리가 다른 사람의 권익을 존중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왜 다른 사람을 차별하기 않고 똑같이 권리를 존중해야 하나요? ('왜'라는 질문하기')
- 선생님께서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주신다고 하셔서입니다.
- 민재와 미진이가 떠들어서 수업에 집중할 수가 없었어요.
- 아니에요.
- 수업시간에 떠들면 안 되는데 떠들었어요.
- 선생님께 혼이 나기 때문이에요. (1단계)
- 다른 친구들에게 방해가 되기 때문이에요. (3단계)
- 규칙을 정했어요. 이건 우리가 약속한 것이라서 모두가 지켜야 해요. (4단계)
- 효은이가 사촌 동생들과 집안에서 뛰어다녔어요.
- 시끄러워서 아래층 아주머니가 올라오셔서 화를 내셨어요.
- 아니요.
- 아래층 집을 생각하지 않고 시끄럽게 떠들었어요. (효은이의 행동 - 2단계)
- 아니에요, 달라요.
- 학교에서는 친구들이 떠들어서 자기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에 화를 냈어요. 하지만 집에서는 반대로 권리를 침해받은 다른 사람의 입장을 생각하지 못했어요.
- 다른 사람의 권익을 존중해 주어야 나의 권익도 존중받을 수 있어요. (2단계)
- 내가 무시당하는 것이 싫듯이 다른 사람도 마찬가지일 거에요.
- 힘이 세든 약하든 모두 똑같은 사람으로서의 권리가 있어요.
- 가난하거나 부유하거나 모두 사람으로서의 권리를 누려야 해요. (5단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콜버그의 토론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도덕 수업을 할 수 있다. 아이들의 실생활과 연관 짓기 위하여 중간 중감 권익을 침해받은 경험에 대한 질문을 추가하거나, 또는 권익 존중이 잘 드러난 모범 사례를 제시하여 그것을 본받아 실천할 수 있는 계획을 세워보는 활동도 가능하다.
교사가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을 유도하는 질문을 함으로써 학생들 사이에서도 적극적이고 활발한 의사 교환이 일어나며, 이를 통해 보다 더 높은 단계의 도덕성을 띤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유도 가능하다.
결론
사람들이 '윤리학'을 들었을 때 떠올리는 생각은 딱딱하다, 고리타분하다, 꽉 막혀 있다와 같은 부정적인 반응들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것은 아마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일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는 윤리란 전통적인 것(유교, 불교 등)이며 그들 속에서 이루어져 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들이 윤리학의 전부가 아님은 분명하다. 생각해보면 '인간은 이러저러하니 그러한 규칙을 지키며 살아야한다' 는 어느 한 측면의 윤리적 당위에 '윤리학'은 많은 반박의 가능성을 제공해주는 학문이 아닐까. 오히려 비평의 학문이고, 생산과 수용을 거듭하는 능동적인 학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 이론을 공부하면서 나는 몇 단계에 있는 사람일까 생각해보았다. 1단계 일 때도 있으며, 3단계, 5단계에까지 해당되기도 하는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내가 비록 고등학교 때부터 윤리 과목을 좋아하긴 하였지만, 그렇다고 해서 온전히 윤리적인 사람이 될 수 없음이 명백해졌다. 이에 대해서 또한 콜버그는 도덕적 행동과 추론, 즉 실천이 일치하지는 않는다고 하였으니 그가 얼마나 치열하게 인간의 도덕성에 대해 연구하였는지 알 수 있다. 그의 이론도 설명할 수 없는 현상에 대한 단점들을 가지기도 하였지만, 콜버그가 실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딜레마를 통해서 인간의 행동 동기에 초점을 맞추어 도덕 판단의 단계를 나눈 그의 업적은 후대에 높은 평가를 받아 마땅하다.
이러한 콜버그의 6단계를 통해서 이를 활용하여 교육에 있어서도 아이들이 좀 더 도덕적인 인간상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살아가면서 수많은 딜레마를 겪고 스스로가 더 높은 단계의 도덕적 판단을 이루어낼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던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었다.
참고자료
콜버그 도덕 교육의 이론과 실제, 유병열 외 번역, rainbow books
콜버그의 도덕 교육론, 남궁달화 저, 철학과 현실사
에스퀴스 선생님의 위대한 수업, 레이프 에스퀴스 저, 박인균 역, 추수밭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댈 저, 김영사
5학년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
마음에 새겨 둡시다
제재의 구성과 흐름
수업에 적용하기
<효은이의 하루>
(요약) 효은이는 아침부터 도덕 시간이 매우 기다려졌다. 선생님께서 도덕 시간에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 주신다고 약속하셨기 때문이다. 설레는 마음으로 수업을 듣는데, 뒷자리에 앉은 민재와 미진이가 떠들어서 선생님의 말씀이 들리지 않았다. 그래서 민재에게 조용히 하라고 화를 냈고, 그에 더불어 민재도 효은이에게 화가 나서 소리를 질렀다. 이 소리에 선생님께서 수업 시간에는 조용히 해야한다고 말씀하셔서 효은이는 더 화를 내고 싶었지만 참았다. 수업을 마치고 집에 돌아오니, 사촌 동생들이 와 있어서 효은이는 학교 일을 잊고 사촌 동생들과 거실에서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쿵쾅거렸다. 그 때, 아래층 아주머니가 올라오셔서 시끄럽다고 화를 내시자 효은이 어머니는 공손하게 사과를 하셨다. 효은이는 지나치게 공손한 어머니의 태도를 이해할 수 없었다.
5단원 서로 존중하는 태도에서 '효은이의 하루' 사례는 콜버그의 토론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1전략' 을 활용하기에 적합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교사의 중요한 역할은 적절한 질문을 아이들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아이들의 도덕성 발달을 이끌어낼 수 있다.
교사
학생
· 효은이가 이번 도덕시간을 기다린 이유는 무엇인가요?
· 효은이가 민재와 미진이 때문에 속이 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도덕적 문제 부각)
· 민재와 미진이의 행동은 옳은 행동인가요?
· 왜 아니지요? 그렇다면 민재와 미진이는 어떤 잘못을 하였나요? ('왜'라는 질문하기)
· 수업시간에 떠드는 것이 왜 잘못인가요?
('왜'라는 질문하기)
· 우리 반은 수업시간에 떠들지 않기로 학기 초에 무엇을 했지요? (인접 단계의 논의 강조하기)
· 약속을 지키는 것은 중요해요. 그럼 우리 효은이의 집에서 일어난 일을 한번 생각해 봅시다. 무슨 일이 일어났나요?
· 효은이의 행동은 옳은가요?
· 왜 옳지 않은가요?
· 효은이가 학교에서 한 행동과 집에서 한 행동은 똑같은가요? (상황 복잡하게 하기)
· 어떤 차이가 있나요?
· 그렇다면 우리가 다른 사람의 권익을 존중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왜 다른 사람을 차별하기 않고 똑같이 권리를 존중해야 하나요? ('왜'라는 질문하기')
- 선생님께서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주신다고 하셔서입니다.
- 민재와 미진이가 떠들어서 수업에 집중할 수가 없었어요.
- 아니에요.
- 수업시간에 떠들면 안 되는데 떠들었어요.
- 선생님께 혼이 나기 때문이에요. (1단계)
- 다른 친구들에게 방해가 되기 때문이에요. (3단계)
- 규칙을 정했어요. 이건 우리가 약속한 것이라서 모두가 지켜야 해요. (4단계)
- 효은이가 사촌 동생들과 집안에서 뛰어다녔어요.
- 시끄러워서 아래층 아주머니가 올라오셔서 화를 내셨어요.
- 아니요.
- 아래층 집을 생각하지 않고 시끄럽게 떠들었어요. (효은이의 행동 - 2단계)
- 아니에요, 달라요.
- 학교에서는 친구들이 떠들어서 자기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에 화를 냈어요. 하지만 집에서는 반대로 권리를 침해받은 다른 사람의 입장을 생각하지 못했어요.
- 다른 사람의 권익을 존중해 주어야 나의 권익도 존중받을 수 있어요. (2단계)
- 내가 무시당하는 것이 싫듯이 다른 사람도 마찬가지일 거에요.
- 힘이 세든 약하든 모두 똑같은 사람으로서의 권리가 있어요.
- 가난하거나 부유하거나 모두 사람으로서의 권리를 누려야 해요. (5단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콜버그의 토론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도덕 수업을 할 수 있다. 아이들의 실생활과 연관 짓기 위하여 중간 중감 권익을 침해받은 경험에 대한 질문을 추가하거나, 또는 권익 존중이 잘 드러난 모범 사례를 제시하여 그것을 본받아 실천할 수 있는 계획을 세워보는 활동도 가능하다.
교사가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을 유도하는 질문을 함으로써 학생들 사이에서도 적극적이고 활발한 의사 교환이 일어나며, 이를 통해 보다 더 높은 단계의 도덕성을 띤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유도 가능하다.
결론
사람들이 '윤리학'을 들었을 때 떠올리는 생각은 딱딱하다, 고리타분하다, 꽉 막혀 있다와 같은 부정적인 반응들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것은 아마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일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는 윤리란 전통적인 것(유교, 불교 등)이며 그들 속에서 이루어져 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들이 윤리학의 전부가 아님은 분명하다. 생각해보면 '인간은 이러저러하니 그러한 규칙을 지키며 살아야한다' 는 어느 한 측면의 윤리적 당위에 '윤리학'은 많은 반박의 가능성을 제공해주는 학문이 아닐까. 오히려 비평의 학문이고, 생산과 수용을 거듭하는 능동적인 학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 이론을 공부하면서 나는 몇 단계에 있는 사람일까 생각해보았다. 1단계 일 때도 있으며, 3단계, 5단계에까지 해당되기도 하는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내가 비록 고등학교 때부터 윤리 과목을 좋아하긴 하였지만, 그렇다고 해서 온전히 윤리적인 사람이 될 수 없음이 명백해졌다. 이에 대해서 또한 콜버그는 도덕적 행동과 추론, 즉 실천이 일치하지는 않는다고 하였으니 그가 얼마나 치열하게 인간의 도덕성에 대해 연구하였는지 알 수 있다. 그의 이론도 설명할 수 없는 현상에 대한 단점들을 가지기도 하였지만, 콜버그가 실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딜레마를 통해서 인간의 행동 동기에 초점을 맞추어 도덕 판단의 단계를 나눈 그의 업적은 후대에 높은 평가를 받아 마땅하다.
이러한 콜버그의 6단계를 통해서 이를 활용하여 교육에 있어서도 아이들이 좀 더 도덕적인 인간상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살아가면서 수많은 딜레마를 겪고 스스로가 더 높은 단계의 도덕적 판단을 이루어낼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던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었다.
참고자료
콜버그 도덕 교육의 이론과 실제, 유병열 외 번역, rainbow books
콜버그의 도덕 교육론, 남궁달화 저, 철학과 현실사
에스퀴스 선생님의 위대한 수업, 레이프 에스퀴스 저, 박인균 역, 추수밭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댈 저, 김영사
5학년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