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도덕 교육에의 적용 -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도덕 교육에의 적용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 정의
나.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 특징

2. 콜버그의 도덕교육
가. 블랫(Blatt)의 +1효과와 도덕 딜레마 토론
나. 도덕발달의 촉진을 위한 교사의 기능

3. 콜버그 이론과 관련한 사례와 분석

4. 도덕과 교육에의 적용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권익상
마음에 새겨 둡시다
제재의 구성과 흐름
수업에 적용하기
<효은이의 하루>
(요약) 효은이는 아침부터 도덕 시간이 매우 기다려졌다. 선생님께서 도덕 시간에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 주신다고 약속하셨기 때문이다. 설레는 마음으로 수업을 듣는데, 뒷자리에 앉은 민재와 미진이가 떠들어서 선생님의 말씀이 들리지 않았다. 그래서 민재에게 조용히 하라고 화를 냈고, 그에 더불어 민재도 효은이에게 화가 나서 소리를 질렀다. 이 소리에 선생님께서 수업 시간에는 조용히 해야한다고 말씀하셔서 효은이는 더 화를 내고 싶었지만 참았다. 수업을 마치고 집에 돌아오니, 사촌 동생들이 와 있어서 효은이는 학교 일을 잊고 사촌 동생들과 거실에서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쿵쾅거렸다. 그 때, 아래층 아주머니가 올라오셔서 시끄럽다고 화를 내시자 효은이 어머니는 공손하게 사과를 하셨다. 효은이는 지나치게 공손한 어머니의 태도를 이해할 수 없었다.
5단원 서로 존중하는 태도에서 '효은이의 하루' 사례는 콜버그의 토론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1전략' 을 활용하기에 적합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교사의 중요한 역할은 적절한 질문을 아이들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아이들의 도덕성 발달을 이끌어낼 수 있다.
교사
학생
· 효은이가 이번 도덕시간을 기다린 이유는 무엇인가요?
· 효은이가 민재와 미진이 때문에 속이 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도덕적 문제 부각)
· 민재와 미진이의 행동은 옳은 행동인가요?
· 왜 아니지요? 그렇다면 민재와 미진이는 어떤 잘못을 하였나요? ('왜'라는 질문하기)
· 수업시간에 떠드는 것이 왜 잘못인가요?
('왜'라는 질문하기)
· 우리 반은 수업시간에 떠들지 않기로 학기 초에 무엇을 했지요? (인접 단계의 논의 강조하기)
· 약속을 지키는 것은 중요해요. 그럼 우리 효은이의 집에서 일어난 일을 한번 생각해 봅시다. 무슨 일이 일어났나요?
· 효은이의 행동은 옳은가요?
· 왜 옳지 않은가요?
· 효은이가 학교에서 한 행동과 집에서 한 행동은 똑같은가요? (상황 복잡하게 하기)
· 어떤 차이가 있나요?
· 그렇다면 우리가 다른 사람의 권익을 존중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왜 다른 사람을 차별하기 않고 똑같이 권리를 존중해야 하나요? ('왜'라는 질문하기')
- 선생님께서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주신다고 하셔서입니다.
- 민재와 미진이가 떠들어서 수업에 집중할 수가 없었어요.
- 아니에요.
- 수업시간에 떠들면 안 되는데 떠들었어요.
- 선생님께 혼이 나기 때문이에요. (1단계)
- 다른 친구들에게 방해가 되기 때문이에요. (3단계)
- 규칙을 정했어요. 이건 우리가 약속한 것이라서 모두가 지켜야 해요. (4단계)
- 효은이가 사촌 동생들과 집안에서 뛰어다녔어요.
- 시끄러워서 아래층 아주머니가 올라오셔서 화를 내셨어요.
- 아니요.
- 아래층 집을 생각하지 않고 시끄럽게 떠들었어요. (효은이의 행동 - 2단계)
- 아니에요, 달라요.
- 학교에서는 친구들이 떠들어서 자기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에 화를 냈어요. 하지만 집에서는 반대로 권리를 침해받은 다른 사람의 입장을 생각하지 못했어요.
- 다른 사람의 권익을 존중해 주어야 나의 권익도 존중받을 수 있어요. (2단계)
- 내가 무시당하는 것이 싫듯이 다른 사람도 마찬가지일 거에요.
- 힘이 세든 약하든 모두 똑같은 사람으로서의 권리가 있어요.
- 가난하거나 부유하거나 모두 사람으로서의 권리를 누려야 해요. (5단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콜버그의 토론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도덕 수업을 할 수 있다. 아이들의 실생활과 연관 짓기 위하여 중간 중감 권익을 침해받은 경험에 대한 질문을 추가하거나, 또는 권익 존중이 잘 드러난 모범 사례를 제시하여 그것을 본받아 실천할 수 있는 계획을 세워보는 활동도 가능하다.
교사가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을 유도하는 질문을 함으로써 학생들 사이에서도 적극적이고 활발한 의사 교환이 일어나며, 이를 통해 보다 더 높은 단계의 도덕성을 띤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유도 가능하다.
결론
사람들이 '윤리학'을 들었을 때 떠올리는 생각은 딱딱하다, 고리타분하다, 꽉 막혀 있다와 같은 부정적인 반응들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것은 아마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일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는 윤리란 전통적인 것(유교, 불교 등)이며 그들 속에서 이루어져 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들이 윤리학의 전부가 아님은 분명하다. 생각해보면 '인간은 이러저러하니 그러한 규칙을 지키며 살아야한다' 는 어느 한 측면의 윤리적 당위에 '윤리학'은 많은 반박의 가능성을 제공해주는 학문이 아닐까. 오히려 비평의 학문이고, 생산과 수용을 거듭하는 능동적인 학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 이론을 공부하면서 나는 몇 단계에 있는 사람일까 생각해보았다. 1단계 일 때도 있으며, 3단계, 5단계에까지 해당되기도 하는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내가 비록 고등학교 때부터 윤리 과목을 좋아하긴 하였지만, 그렇다고 해서 온전히 윤리적인 사람이 될 수 없음이 명백해졌다. 이에 대해서 또한 콜버그는 도덕적 행동과 추론, 즉 실천이 일치하지는 않는다고 하였으니 그가 얼마나 치열하게 인간의 도덕성에 대해 연구하였는지 알 수 있다. 그의 이론도 설명할 수 없는 현상에 대한 단점들을 가지기도 하였지만, 콜버그가 실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딜레마를 통해서 인간의 행동 동기에 초점을 맞추어 도덕 판단의 단계를 나눈 그의 업적은 후대에 높은 평가를 받아 마땅하다.
이러한 콜버그의 6단계를 통해서 이를 활용하여 교육에 있어서도 아이들이 좀 더 도덕적인 인간상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살아가면서 수많은 딜레마를 겪고 스스로가 더 높은 단계의 도덕적 판단을 이루어낼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던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었다.
참고자료
콜버그 도덕 교육의 이론과 실제, 유병열 외 번역, rainbow books
콜버그의 도덕 교육론, 남궁달화 저, 철학과 현실사
에스퀴스 선생님의 위대한 수업, 레이프 에스퀴스 저, 박인균 역, 추수밭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댈 저, 김영사
5학년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9.01.05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2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