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부극> 이라는 장르에 대하여
2. 플롯
3. 장르적 분석
4. 의미적 분석
2. 플롯
3. 장르적 분석
4. 의미적 분석
본문내용
수 있다.
<엘 토포>를 감상하면서 느낀 것은 무엇보다도 인간에 대한 새로운 발견이었다. 그토록 극단적인 인간의 모습이 오히려 더 인간적으로 보였다. 또한 자신의 운명을 바꾸려 애쓰지만 결국 좌절하고, 쓰러지는 듯 하다가도 다시 이어지는 의지를 통해 인간의 삶이 갖는 연속성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섹스, 동성애, 폭력, 말살, 기독교 등이 비현실적이고 몽환적인 배경과 한데에 뭉뚱그려져, 영화가 제작되던 당시의 정치적 상황에 대한 명확한 메시지를 이끌어 낸다는 사실 또한 놀라웠다.
사실 영화를 보면서 대부분은 어이없어 하거나 신나게 웃었다. 주인공의 매정하거나 결단력 있는 행동, 사막의 바위에서 물을 뽑아낸다거나 함께 다니던 여자를 냅다 후려친 후 옷을 벗긴다거나, 그 후 여자도 바위에서 물을 뽑아낸다거나 하는 상황 등은 그저 풍자개그에나 나오는 장면 같았다. 윗글에 길게 써놓은 사색보다는 주인공이 보여주는 희극적 행동만이 마음에 와 닿았다. 무엇보다도 엘 토포가 마음을 흔든 이유는, 영화가 끝난 뒤 스텝롤과 함께 머리에 떠오르는 깨달음의 단편들이라고 생각한다. 조용한 가운데 하나둘씩 드는 생각들은 깨달음을 주고 관객으로 하여금 자신이 성장했음을 느끼게 한다.
알레한드로 조도로프스키 감독의 내한 인터뷰 내용 중 “나로 살아가는 것이 힘들기도 하지만 그건 내 상상력이 끝도 없이 넘쳐나기 때문이고, 나는 한 순간에 강한 결말을 끄집어낼 수도 있는 것이다.” 라는 대답이 기억에 남는다. 한 인간인 자신에 대해 끝없이 상상하고 그 결과물을 영화라는 매개로 타인에게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이 부러울 따름이었다.
<엘 토포>를 감상하면서 느낀 것은 무엇보다도 인간에 대한 새로운 발견이었다. 그토록 극단적인 인간의 모습이 오히려 더 인간적으로 보였다. 또한 자신의 운명을 바꾸려 애쓰지만 결국 좌절하고, 쓰러지는 듯 하다가도 다시 이어지는 의지를 통해 인간의 삶이 갖는 연속성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섹스, 동성애, 폭력, 말살, 기독교 등이 비현실적이고 몽환적인 배경과 한데에 뭉뚱그려져, 영화가 제작되던 당시의 정치적 상황에 대한 명확한 메시지를 이끌어 낸다는 사실 또한 놀라웠다.
사실 영화를 보면서 대부분은 어이없어 하거나 신나게 웃었다. 주인공의 매정하거나 결단력 있는 행동, 사막의 바위에서 물을 뽑아낸다거나 함께 다니던 여자를 냅다 후려친 후 옷을 벗긴다거나, 그 후 여자도 바위에서 물을 뽑아낸다거나 하는 상황 등은 그저 풍자개그에나 나오는 장면 같았다. 윗글에 길게 써놓은 사색보다는 주인공이 보여주는 희극적 행동만이 마음에 와 닿았다. 무엇보다도 엘 토포가 마음을 흔든 이유는, 영화가 끝난 뒤 스텝롤과 함께 머리에 떠오르는 깨달음의 단편들이라고 생각한다. 조용한 가운데 하나둘씩 드는 생각들은 깨달음을 주고 관객으로 하여금 자신이 성장했음을 느끼게 한다.
알레한드로 조도로프스키 감독의 내한 인터뷰 내용 중 “나로 살아가는 것이 힘들기도 하지만 그건 내 상상력이 끝도 없이 넘쳐나기 때문이고, 나는 한 순간에 강한 결말을 끄집어낼 수도 있는 것이다.” 라는 대답이 기억에 남는다. 한 인간인 자신에 대해 끝없이 상상하고 그 결과물을 영화라는 매개로 타인에게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이 부러울 따름이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