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낭만적 사랑의 양면성(사랑의 문제점)
I. 과민성
II. 감정의 동요
III. 거부의 두려움
IV. 열등감의 확대
V. 의심
VI. 질투
VII. 외로움과 불안감
* 참고문헌
I. 과민성
II. 감정의 동요
III. 거부의 두려움
IV. 열등감의 확대
V. 의심
VI. 질투
VII. 외로움과 불안감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결되지 못하고 오히려 악화되면 사랑의 관계는 불행한 종말을 맞게 된다.
물론 낭만적 사랑을 하는 모든 사람들이 이러한 심리적 함정에 빠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심리적 함정에 빠져 자기 자신과 상대방을 모두 고통스럽고 불행하게 만드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사랑의 문제로 고통 받는 많은 사랑을 대상으로 연구한 텐노브(Tennov, 1979)는 이들의 사랑방식이 지나치게 비이성적이라는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그녀는 이렇게 타인에게 비이성적이고 강렬하게 집착하는 병적인 사랑을 강박적 사랑(obsessional love)이라고 불렀다. 아울러 강박적 사랑은 다음과 같은 6가지 특성을 지닌다고 보고하고 있다.
1/ 사랑하는 사람에게 지나치게 강박적으로 집착한다.
2/ 사랑하는 사람도 자신과 마찬가지로 똑같이 강렬한 사랑을 보여 주어야 한다는 매우 강한 기대를 지닌다.
3/ 사랑하는 사람의 행동을 왜곡하여 해석하고 따라서 극단적 감정변화를 나타낸다.
4/ 사랑하는 사람이 사랑을 보여 주지 않으면 심한 불안과 우울에 빠진다.
5/ 사랑하는 사람을 비현실적으로 이상화하고 과대평가하며 그 사람의 결점을 보지 않으려 한다.
6/ 사랑하는 사람의 관심과 사랑을 얻기 위해 무모한 행동을 한다.
텐노브의 연구자료에 따르면, 이러한 강박적 사랑은 인생의 여러 시점에서 나타날 수 있고 또한 여러 수준의 강도로 나타날 수 있다. 낭만적 사랑을 하고 있는 사람들 중에서 이런 증긍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 사람도 있고 항상 이런 상태에 있는 사람도 있었다. 이러한 감정은 처음에 단순한 호감에서 시작하여 심각한 강도로 발전하는데, 대부분의 경우 시간이 흐르면 결국 낮은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물론 낭만적 사랑을 하는 모든 사람들이 이러한 심리적 함정에 빠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심리적 함정에 빠져 자기 자신과 상대방을 모두 고통스럽고 불행하게 만드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사랑의 문제로 고통 받는 많은 사랑을 대상으로 연구한 텐노브(Tennov, 1979)는 이들의 사랑방식이 지나치게 비이성적이라는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그녀는 이렇게 타인에게 비이성적이고 강렬하게 집착하는 병적인 사랑을 강박적 사랑(obsessional love)이라고 불렀다. 아울러 강박적 사랑은 다음과 같은 6가지 특성을 지닌다고 보고하고 있다.
1/ 사랑하는 사람에게 지나치게 강박적으로 집착한다.
2/ 사랑하는 사람도 자신과 마찬가지로 똑같이 강렬한 사랑을 보여 주어야 한다는 매우 강한 기대를 지닌다.
3/ 사랑하는 사람의 행동을 왜곡하여 해석하고 따라서 극단적 감정변화를 나타낸다.
4/ 사랑하는 사람이 사랑을 보여 주지 않으면 심한 불안과 우울에 빠진다.
5/ 사랑하는 사람을 비현실적으로 이상화하고 과대평가하며 그 사람의 결점을 보지 않으려 한다.
6/ 사랑하는 사람의 관심과 사랑을 얻기 위해 무모한 행동을 한다.
텐노브의 연구자료에 따르면, 이러한 강박적 사랑은 인생의 여러 시점에서 나타날 수 있고 또한 여러 수준의 강도로 나타날 수 있다. 낭만적 사랑을 하고 있는 사람들 중에서 이런 증긍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 사람도 있고 항상 이런 상태에 있는 사람도 있었다. 이러한 감정은 처음에 단순한 호감에서 시작하여 심각한 강도로 발전하는데, 대부분의 경우 시간이 흐르면 결국 낮은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