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위손- 영웅 신화와 기원 설화가 뒤섞인 판타지 멜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위손- 영웅 신화와 기원 설화가 뒤섞인 판타지 멜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그러한 것들이 많은 말을 하게 되는 ‘과잉’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음악의 사용에 주목했을 때, <가위손>은 멜로드라마의 교과서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그 음악사용이 뛰어나다. 처음부터 끝까지 신비한 분위기를 놓치지 않으면서, 상황에 따라 인물들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음악이 돋보인다.
5. 판타지 호러에 대한 패러디
영화에서 그리 큰 비중을 차지하는 효과는 아니지만, 감독은 판타지 호러를 패러디함으로써 또 무슨 이야기를 하고자 한 듯하다. 영화의 시작은 어두운 회색빛과 푸른빛이 뒤섞여, 공포영화의 시작을 알린다. 정신없이 돌아가는 기계들과, 기괴한 형체들이 영화에 익숙한 관객으로 하여금, 직접적으로 ‘프랑켄슈타인’을 떠올리게끔 한다.
인조인간이 주인공이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더욱 그 패러디의 성격이 분명해진다. ‘프랑켄슈타인’은 과학 기술의 발전에 대한 인간의 공포를 그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똑같은 상황에서 <가위손>은 인조인간을 공포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에게 악역을 맡긴다. 오히려 기계, 가위손은 따뜻한 체온의 느낌을 가지고 진정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멜로의 문법을 통해 사회적인 것의 모순을 드러내는 데 만족하지 못하고, 판타지를 사용하여, 공포의 감정을 일상적 삶에 대한 혐오로 옮겨 놓는 것이다. 이 중산층의 소시민적 삶은 기계의 공포까지도 무화시킬 정도로 단단하고, 사실은 그 정도로 무서운 것임을 보여주는 듯하다.
6. 나오는 말
지금까지 네 가지 측면에서 따로따로 <가위손>을 살펴보았다. 기원설화로서 <가위손> 전체가 갖는 의미를 보았고, 변형된 영웅으로서 가위손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멜로물의 규칙들과 영화를 비교함으로써, <가위손>을 판타지 멜로물로 정의하였다. 또한 애교적인 요소로 기존의 판타지 호러물에 대한 패러디를 이 영화 안에서 찾아보았다. 영화는 사물에 대한 의미와 추억이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보여줌과 동시에, 그러한 의미 생성을 방해하는 현대의 소시민적 삶을 비판하고 있다.
결국 겨울밤 소녀가 눈의 기원에 대해 듣게 된 이야기는 굉장히 슬픈 사랑이야기였다. 소시민적인 사람들에 부딪혀 끝내 이루어질 수 없었던 한 기계인간의 사랑이야기였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저주받은 손, 가위를 통해 세상에 아름다움을 선사하고 있었다. 이제는 소녀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게 될지가 궁금해진다.
왜 눈이 오는가? 당신에게는 왜 눈이 오는가?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1.09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4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