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야마무로 군페이의 생애
3. 야마무로 군페이의 『평민의 복음』
4. 야마무로와 사회변혁 운동
5. 일본교회사에서 야마무로에 대한 평가
5. 한국 교회에 미친 영향
6. 결 론
참 고 문 헌
2. 야마무로 군페이의 생애
3. 야마무로 군페이의 『평민의 복음』
4. 야마무로와 사회변혁 운동
5. 일본교회사에서 야마무로에 대한 평가
5. 한국 교회에 미친 영향
6.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민중토착화의 길을 걷지 못했다. 그러나 그 와중에서도 기독교를 일반 민중들의 심령을 파고드는 종교로 만들고자 했던 인물이 있었으니, 그가 바로 일본 구세군의 지도자였던 야마무로 군페이(山室軍平)였다.
그는 저술활동을 통해 일반 민중들이 쉽고 명쾌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복음을 소개하였다. ‘평민의 복음’으로 대표되는 그의 저서는 당시 유교문화, 불교문화, 격언 등을 동원하여 기독교를 통속적이고 민중적으로 소개하여 민중들이 기독교를 쉽고 감명깊게 이해하도록 했던 것이다. 다시 말해서 쉽게 접근할 수 없었던 서구의 옷을 입고 있는 복음을 일본적, 민중적 옷을 입혀 소개했던 것이다. 이 책은 수십만의 민중들에게 읽혀져 변화를 가져왔으며 500판 이상 인쇄돼 일본문학의 고전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야마무로 군페이는 가난한 자들을 구호하고, 사회구조적 모순을 개혁하는 사회변혁 운동을 펼치기도 하였으며, 아동, 여성, 장애인, 죄수 등 사회적 약자, 소외된 민중, 사회구조적 악의 피해자 등을 돌보는 일에 적극적으로 앞장섰다. 그리하여 야마무로는 일본 역사의 가장 위대한 사회사업가, 맹인시설 창립자, 고아원 창립자, 감옥의 개혁자 등의 수식어가 붙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렇게 야마무로 군페이는 기독교를 수용하여 민중을 위한 기독교, 민중토착적 기독교를 만드는데, 그의 평생을 바친 인물이었다.
참 고 문 헌
山室軍平, 장형일 역, 『성결이란 무엇인가』, 소망사, 1978
山室軍平, 정형일 역, 『평민의 복음』, 한국기독교문화원, 1977
윤혜원, 『일본기독교의 역사적 성격』,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5
장형일 편, 『민중의 사도 山室軍平』, 구세군대한본영, 1981
박영원, 김영남, 『일본 문화와 기독교』, 대학생성경읽기선교회, 2009
장형일, 『은총에서 은총으로』, 기독교문사, 1991
프리데릭 쿠츠, 권성오 역, 『구세군발전사』, 대한기독교출판사, 1981
김준철, 『한국 구세군 100년사』, 구세군출판부, 2008
R. David Rightmire, 『Salvationist Samurai:Gunpei Yamamuro and the rise of the Salvation Army in Japan』, Scarecrow Press, 1997
“日本救世軍創設者 山室軍平大佐 講演, 금팔일밤에 구셰군에서”, 『동아일보』, 1920년 7월 8일
“山室軍平 연설회의건” 『京本高秘 제1159호』, 1924년 2월 27일
그는 저술활동을 통해 일반 민중들이 쉽고 명쾌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복음을 소개하였다. ‘평민의 복음’으로 대표되는 그의 저서는 당시 유교문화, 불교문화, 격언 등을 동원하여 기독교를 통속적이고 민중적으로 소개하여 민중들이 기독교를 쉽고 감명깊게 이해하도록 했던 것이다. 다시 말해서 쉽게 접근할 수 없었던 서구의 옷을 입고 있는 복음을 일본적, 민중적 옷을 입혀 소개했던 것이다. 이 책은 수십만의 민중들에게 읽혀져 변화를 가져왔으며 500판 이상 인쇄돼 일본문학의 고전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야마무로 군페이는 가난한 자들을 구호하고, 사회구조적 모순을 개혁하는 사회변혁 운동을 펼치기도 하였으며, 아동, 여성, 장애인, 죄수 등 사회적 약자, 소외된 민중, 사회구조적 악의 피해자 등을 돌보는 일에 적극적으로 앞장섰다. 그리하여 야마무로는 일본 역사의 가장 위대한 사회사업가, 맹인시설 창립자, 고아원 창립자, 감옥의 개혁자 등의 수식어가 붙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렇게 야마무로 군페이는 기독교를 수용하여 민중을 위한 기독교, 민중토착적 기독교를 만드는데, 그의 평생을 바친 인물이었다.
참 고 문 헌
山室軍平, 장형일 역, 『성결이란 무엇인가』, 소망사, 1978
山室軍平, 정형일 역, 『평민의 복음』, 한국기독교문화원, 1977
윤혜원, 『일본기독교의 역사적 성격』,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5
장형일 편, 『민중의 사도 山室軍平』, 구세군대한본영, 1981
박영원, 김영남, 『일본 문화와 기독교』, 대학생성경읽기선교회, 2009
장형일, 『은총에서 은총으로』, 기독교문사, 1991
프리데릭 쿠츠, 권성오 역, 『구세군발전사』, 대한기독교출판사, 1981
김준철, 『한국 구세군 100년사』, 구세군출판부, 2008
R. David Rightmire, 『Salvationist Samurai:Gunpei Yamamuro and the rise of the Salvation Army in Japan』, Scarecrow Press, 1997
“日本救世軍創設者 山室軍平大佐 講演, 금팔일밤에 구셰군에서”, 『동아일보』, 1920년 7월 8일
“山室軍平 연설회의건” 『京本高秘 제1159호』, 1924년 2월 27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