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종교사 연구 - 시대의 독주자 백남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종교사 연구 - 시대의 독주자 백남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시대의 독주자 백남주

1. 들어가는 말

2. 시대적인 어려움

3. 백남주의 인성적 자질

4. 주도적이나 시대정신을 읽지 못한 자

5. 나가는 말

본문내용

몰현세적인 삶을 요구하였다. 그에게는 신비주의적 신앙의 배경이 근본주의적인 성향으로 달음질하던 한국적 상황에서 받아들여지지 못하였다. 그에게는 독특한 신앙과 더불어 독주자적 기질적 인성이 발견된다. 그렇다고 해서 그가 지닌 기질이 시대를 읽어내는 카리스마적 영향력을 지니지도 못했다. 결정적으로 그에게 부족했던 윤리의식은 그에게 한국기독교역사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하게 한 요인 가운데 하나였다. 비단 그의 천국결혼설이 아니더라도 한국적 민족의식이 결여되어있었던 것이다. 신앙은 개인적 체험으로 그치지 않는다. 이찬수는 “민족에 의해 일깨워진 신앙의 한국적 정체성은 민족이 신앙 앞에서 스스로 부정해 신앙 속으로 녹아들어갈 때 확립된다”고 말한다. 이찬수, 『한국 그리스도교 비평: 그리스도교, 한국적이기 위하여』(이화여대출판부, 2009), 198.
즉 민족이 지닌 상황적 신앙의식과 백남주의 신비주의적 신앙은 간격이 있었던 것이다. 백남주가 시대적 상황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자신의 세계 속에서 신앙을 키워간 결과를 낳게 한 것이다.
참고문헌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대한기독교출판사, 1981.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3.
이찬수. 『한국 그리스도교 비평: 그리스도교, 한국적이기 위하여』이화여대출판부, 2009.
기독교대백과사전편찬위원회. 『기독교대백과사전』7권. 기독교문사, 1980.
기독교대백과사전편찬위원회. 『기독교대백과사전』11권. 기독교문사, 1980.
「기독신보」 1932년 12월 14일자
「기독신보」1933년 3월 15일자
「신앙생활」1937년 12월.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1.11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9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