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목회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목회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A. 연구 목적

  B. 연구 방법

Ⅱ. 구도자 중심의 예배에 대한 예배 신학적 이해

  1. 구도자 중심의 예배의 정의

  2. 구도자 중심의 예배의 목표

  3. 구도자 중심의 예배의 특징

Ⅲ. 현대 예배의 종류

  1. 구도자 예배(seeker service)

  2. 열린 예배

  3. 사이버 예배

Ⅳ. 구도자 중심의 예배와 실제

  1. 윌로우크릭 교회

  2. 새틀백 교회

  3. 온누리 교회

Ⅴ. 현대 예배의 나아갈 방향 모색

  1. 예전적 예배

  2. 축제적 예배

  3. 멀티미디어 예배

Ⅵ. 결론

본문내용

모색
1. 예전적 예배
먼저, 현대 예배의 흐름 중 하나의 큰 줄기를 형성하고 있는 예전적 예배의 경우를 살펴보겠다. 예전적 예배는 종교개혁 이후에 점차 잃어버렸던 예전적인 성격의 예배모습을 다시금 찾고자 하는 시도에서 그 출발점을 찾을 수 있다. 즉, 예배하는 사람들은 생동감이 넘치고 현란한 현대의 예배 속에서 다시금 옛 상징과 신비의 결핍에서 오는 부족감을 느끼게 되어 기독교 영성에 대한 향수를 강하게 느끼기 시작한다.
그러나 예전적인 모습만을 되찾겠다고 하는 현실 속에서는 오히려 종교 개혁이후에 교회가 지켜온 말씀 중심의 예배와 회중 중심의 예배의 모습을 약화시킬 위험성도 가지고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예전적인 예배는 예배의 두 기둥으로서의 설교(말씀)와 예전 사이에 조화와 균형을 잘 맞추어서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도록 갱신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예전적 예배를 드리면서 초대교회의 예배 전통은 중요시 하되 그 안에 예배가 갇혀서 고정화되어 버리지 않도록 융통성 있는 예배를 기획해야 할 것이고 그런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2. 축제적 예배
축제적 예배는 예전적 예배와 함께 현대 예배의 큰 축을 이루는 예배의 큰 흐름 중의 하나이다. 이 예배는 미국에서 일어난 전도운동의 연속성상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이것이 구도자 예배로 우리나라에 들어와서는 구도자와 일반 신자 모두에게 열린 예배로 새롭게 적용되어서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축제적 성격을 가진 예배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무엇보다도 가장 큰 장점은 시대의 흐름에 맞는 예배, 흥겹고 증거운 예배를 기획함으로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별 다른 이질감 없이 복음을 전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축제적 예배의 장점은 도리어 ‘혁명적 개혁의 형태’를 따른다는 비판 속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다시 말해서 동시대의 사람들에게 다가간다는 명목 하에 예배의 형식을 무비판적으로 수정하고, 또한 어떤 형식이든지 더 많은 사람들만 모을 수 있다면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모방하는 모습이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어떤 예배가 되었든 그 예배는 회중들의 흥을 돋우는 행사가 되어서는 안 된다. 그 예배는 성도가 하나님을 만나고 그분께 경배 드리는 예배가 되어야 한다. 그러하기에 축제적 성격을 지닌 예배는 회중에게 맞춰진 초점을 하나님에게로 향하게 하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도록 하는 목표설정을 분명히 해서 어렵지 않고 즐거운 예배이지만, 분명하게 하나님을 중심으로 모실 수 있는 융통성 있는 예배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3. 멀티미디어 예배
멀티미디어를 예배에 활용하는 문제는 신학적이고 예배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문제이다. 단순히 그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에, 또는 시대적 흐름이기 때문에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은 너무 가볍고 피상적인 발상이다. 왜냐하면 예배는 하나님과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영적인 행위이고, 또한 예배는 무엇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조기연,「한국교회와 예배갱신, 대한기독교 서회, 2004, p 341.
따라서 멀티미디어 예배는 예배 안에서 목적하는 바에 따라 좋은 도구로 사용되어야지 그렇치 않고 예배의 전반을 지배하는 목적의 하나로 사용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또한 멀티미디어 예배는 그 자체가 하나의 예배 흐름으로 이어지기 보다는 오히려 여러 현대예배를 돕는 좋은 도구이자 수단으로 적용되는 모습이 바람직할 것이다.
Ⅵ. 결론
기독교 예배는 그리스도이신 예수님 안에서 자신을 보여주신 하나님의 계시와 그에 대한 인간의 응답으로 무한한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난다. 예배자들은 하나님의 임재로 들어가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세상에 파송된다. 이러한 예배는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부활의
기쁨에 동참하게 되고 모든 예배자들은 하나님의 임재와 축제로서의 예배를 누리게 된다. 그래서 예배는 하나님 중심이고 오직 하나님만이 예배를 받으시기에 합당하다.
하지만 이러한 하나님의 임재와 축제로서의 예배를 누리기에는 현대의 문화와 사회의 상황이 너무도 어둡기만 하다. 오늘날 예배자들은 21세기를 대표하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살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해체주의적이고 상대주의적이며, 전통적인 가치관을 무시하고 새로운 감각과 오락을 중요하게 여겨 개인의 만족을 최우선시 한다. 그에 따라 예배자들의 욕구도 다양해 졌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온전히 하나님의 영광만 나타나는 예배를 추구하기 보다는 자신의 만족과 기쁨을 위한 예배를 선호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전통적인 예배만을 지향하며, 혹은 불신자를 위한 구도자 중심으로의 예배만 지향 할 것이 아니라 두 예배가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 하나님께 영광 돌려야 한다는 예배의 전제가 세워짐을 통해 사람중심으로 기울어지는 지금의 예배의 형태가 하나님 중심으로 시작하여 이웃까지 예배의 감동이 흘러가는 일들이 일어나기를 바라며 “구도자 중심의 예배” 발표를 모두 마치려고 한다.
참고문헌
국내본
김만형, “구도자 예배란 무엇인”,「목회와 신학」제76권, 1997,4.
김병삼, 「구도자 중심의 예배? 현대 예배?」, 프리셉트, 1999.
김순환, 「21세기 예배론」, 대한기독교서회, 2003.
조기연,「한국교회와 예배갱신, 대한기독교 서회, 2004.
최인식, 「미래교회와 미래신학」, 대한기독교서회, 1998.
번역본
Warren W. Wiersbe, Real Worship, 조계광 역,「참된 예배를 회복하라」, 생명
의 말씀사, 2000.
릭 워렌, 「새들백 교회 이야기」, 디모데, 1995.
빌 하이벨스, 「윌로우크릭 커뮤니티」, 디모데, 2000.
논문 및 월간서적
권준, “복음전도의 새로운 장 구도자 예배” 「목회와 신학」제 76권, 1997,4.
민병요, “불신자들의 특징을 이해하려는 예배” 「목회와 신학」제 76권, 1997,4.
손종태, “한국교회는 왜 구도자 예배가 필요한가”「목회와 신학」제 76권,1997,4.
이영호, “구도자 예배의 현장을 가다” 「목회와 신학」제76권, 1997,4.
이정현, “현대에 대한 이해와 평가”, 서울성경신학대학교 대학원 논문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01.11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9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