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독교회 예배 요소와 순서
2. 예배의 비 복음적인 요소
3. 올바른 예배 방향 제시
4. 결론
2. 예배의 비 복음적인 요소
3. 올바른 예배 방향 제시
4. 결론
본문내용
대속의 은혜를 받고 거룩한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특권을 얻었다. 그러나 육체를 가지고 사는 동안 육체의 소욕은 성령의 소욕을 거스르기 때문에 성령의 열매를 맺지 못하도록 대적하는 것은 물론이요 육신의 열매를 맺게 한다(갈 5:19-23).
육체의 소욕을 십자가에 못 박지 못하면 성결한 삶을 살아갈 수 없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의 은혜를 받지 못하면 거룩하신 하나님과의 교제도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예배 요소와 순서를 통해서 성결한 삶을 살지 못한 것을 회개하도록 하여야 하며, 예수 그리스도를 주인으로 모시고 말씀에 순종하여 성결성을 회복하는 예배자가 되게 하고, 삶 가운데서 성결한 삶이 드러나도록 해야 한다. 예배자가 삶 가운데서 성결성을 회복할 때 예배는 바른 방향을 제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공동체 의식의 회복
기독교회 예배는 무형교회들이 한 마음과 한 뜻이 되어 창조와 구원의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공동체 행위이다. 초대교회는 기독교회 공동체 의식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다. 그들은 핍박 가운데서도 함께 모여 사도의 가르침을 받고 기도하며 떡을 떼며 교제하는 공동체였다.
IT의 발달로 개인주의가 팽배하여 공동체 의식이 약화되어 가는 현실이지만 기독교회 예배는 공동체 의식을 회복시켜야 한다.
3) 축제의 회복
기독교회 예배는 명제적 정의에서 축제적 의미를 경축으로 이미 진술하였다. 기독교회 예배가 축제가 되어야 함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사죄의 은총에 대한 축제요,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라 풍성한 생명을 얻는 축제요, 다시 오실 메시야를 통하여 완성되는 영원한 축제가 되어야 한다.
4) 목표와 목적의 회복
기독교회 예배는 첫째는 구원의 감격 속에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목적이 분명해야 하며, 둘째는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동력이 되어야 한다.
기독교회 예배는 먼저는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예배가 되고 삶의 현장에서도 예배의 장소와 같은 목적을 드러내는 삶이 되어야 한다. 또한 삶의 현장에서 강도 만난 이웃에게 자비를 베푼 사마리아 사람과 같은 사랑을 실천하는 삶을 살게 하는 동기가 되어야 한다.
4. 결론
많은 교회들이 예배의 순서가 있고 순서에 의해 예배가 진행됨을 교회의 주보를 통해 알 수 있다. 주일예배를 드려보면 주보에 나와 있는 순서에 의하며 예배가 진행된다. 예배의 순서 안에 많은 요소들이 있음을 각자의 교회 주보를 보면 알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요소와 순서들이 의미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의미를 미처 깨닫지 못하고 순서에 따라 예배를 드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발표를 준비하면서 성경의 근거한 예배의 요소들은 무엇이며, 예배의 비 복음적인 요소들 그리고 앞으로 우리의 예배가 어떻게 방향을 잡고 올바르게 세워져 가야하는지에 알았다.
교회의 초기 모습인 초대교회의 모습을 잃어버리거나 혹은 잊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초대교회의 모습을 닮아가려고 더 노력하며 주님의 성전에 모이기를 함께 힘써야 한다. 더불어 예배의 요소와 순서들을 정확하고 올바르게 이해하며 예배의 자리에 나아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육체의 소욕을 십자가에 못 박지 못하면 성결한 삶을 살아갈 수 없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의 은혜를 받지 못하면 거룩하신 하나님과의 교제도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예배 요소와 순서를 통해서 성결한 삶을 살지 못한 것을 회개하도록 하여야 하며, 예수 그리스도를 주인으로 모시고 말씀에 순종하여 성결성을 회복하는 예배자가 되게 하고, 삶 가운데서 성결한 삶이 드러나도록 해야 한다. 예배자가 삶 가운데서 성결성을 회복할 때 예배는 바른 방향을 제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공동체 의식의 회복
기독교회 예배는 무형교회들이 한 마음과 한 뜻이 되어 창조와 구원의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공동체 행위이다. 초대교회는 기독교회 공동체 의식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다. 그들은 핍박 가운데서도 함께 모여 사도의 가르침을 받고 기도하며 떡을 떼며 교제하는 공동체였다.
IT의 발달로 개인주의가 팽배하여 공동체 의식이 약화되어 가는 현실이지만 기독교회 예배는 공동체 의식을 회복시켜야 한다.
3) 축제의 회복
기독교회 예배는 명제적 정의에서 축제적 의미를 경축으로 이미 진술하였다. 기독교회 예배가 축제가 되어야 함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사죄의 은총에 대한 축제요,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라 풍성한 생명을 얻는 축제요, 다시 오실 메시야를 통하여 완성되는 영원한 축제가 되어야 한다.
4) 목표와 목적의 회복
기독교회 예배는 첫째는 구원의 감격 속에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목적이 분명해야 하며, 둘째는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동력이 되어야 한다.
기독교회 예배는 먼저는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예배가 되고 삶의 현장에서도 예배의 장소와 같은 목적을 드러내는 삶이 되어야 한다. 또한 삶의 현장에서 강도 만난 이웃에게 자비를 베푼 사마리아 사람과 같은 사랑을 실천하는 삶을 살게 하는 동기가 되어야 한다.
4. 결론
많은 교회들이 예배의 순서가 있고 순서에 의해 예배가 진행됨을 교회의 주보를 통해 알 수 있다. 주일예배를 드려보면 주보에 나와 있는 순서에 의하며 예배가 진행된다. 예배의 순서 안에 많은 요소들이 있음을 각자의 교회 주보를 보면 알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요소와 순서들이 의미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의미를 미처 깨닫지 못하고 순서에 따라 예배를 드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발표를 준비하면서 성경의 근거한 예배의 요소들은 무엇이며, 예배의 비 복음적인 요소들 그리고 앞으로 우리의 예배가 어떻게 방향을 잡고 올바르게 세워져 가야하는지에 알았다.
교회의 초기 모습인 초대교회의 모습을 잃어버리거나 혹은 잊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초대교회의 모습을 닮아가려고 더 노력하며 주님의 성전에 모이기를 함께 힘써야 한다. 더불어 예배의 요소와 순서들을 정확하고 올바르게 이해하며 예배의 자리에 나아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추천자료
[장로교회][장로교회 예배순서][장로교회 정치][미국 장로교회][한국 장로교회]장로교회의 역...
[예배][교회예배][기독교예배]예배(교회예배)의 정의, 예배(교회예배)의 역사, 예배(교회예배...
예배의 구성 요소 (말씀 강독, 설교, 기도, 찬송)
[성경·설교·말씀] (빌립보서 2장 5-8절)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 (새벽예배) (성서·기독교·교...
[초대교회사] 사도시대 (使徒 時代 / The Apostolic Age) - 기독교가 탄생한 세계, 기독교의 ...
[성탄절 어린이 설교] 성탄절 어린이(5세) 설교안, 설교문, 예배 교안,성경교안 작성 및 교구...
임종 입관 장례 하관예배 주보 및 순서지
[예배와설교] 예배음악과 사역의 실제
[예배와 설교] 예배음악과 구도자 집회의 실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