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아동발달의 이해
3) 아동발달의 적용
4) 맺음말
2) 아동발달의 이해
3) 아동발달의 적용
4) 맺음말
본문내용
미지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어느 순간부터인가 미개하다, 라는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도 ‘사회적 동물’이기에 신체적 발달이 있고, 그러고 난 후에야 정서적이고 심리적, 사회적, 지적 발달이 있다는 사실을 절대 잊어서는 안된다.
지금까지 아동 발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아동발달 하면 많은 사람은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은 이유로 정서, 심리 등의 다른 이론들에 적용하여 자신을 판단하는 데 급급할지도 모르겠다. 타인을 판단하는데 있어서도 말이다.
그러나 우리는 신체적 발달이 잘 이루어지고 난 후에야 건강한 심리와 정서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건강하지 못한 신체는 건강하지 못한 심리와 정서를 낳는다. 남을 돕지 못하고, 나를 일으킬 수 없는 것이 어떻게 다른 것을 잘 돕고 세울 수 있을까? 당연한 것을 잊고 살아서 아동 인식에 대해 너무 많은 것을 짊어지게 하기 보다는, 쉬운 것부터 차근차근 인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참고문헌>
Richard A. Griggs 저, 신성만, 박권생, 박승호 옮김, 『심리학과의 만남』, 시그마프레스, 2012.
이철수, 「정신분석이론」, 『사회복지학사전』, Blue Fish, 2009.
지금까지 아동 발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아동발달 하면 많은 사람은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은 이유로 정서, 심리 등의 다른 이론들에 적용하여 자신을 판단하는 데 급급할지도 모르겠다. 타인을 판단하는데 있어서도 말이다.
그러나 우리는 신체적 발달이 잘 이루어지고 난 후에야 건강한 심리와 정서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건강하지 못한 신체는 건강하지 못한 심리와 정서를 낳는다. 남을 돕지 못하고, 나를 일으킬 수 없는 것이 어떻게 다른 것을 잘 돕고 세울 수 있을까? 당연한 것을 잊고 살아서 아동 인식에 대해 너무 많은 것을 짊어지게 하기 보다는, 쉬운 것부터 차근차근 인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참고문헌>
Richard A. Griggs 저, 신성만, 박권생, 박승호 옮김, 『심리학과의 만남』, 시그마프레스, 2012.
이철수, 「정신분석이론」, 『사회복지학사전』, Blue Fish, 200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