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거치는 것이다. 이때 아이는 스스로 관심을 가진 것을 활동으로 성취한 경험으로 또 한 번의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결론
지금까지 High/Scope프로그램이 어떻게 형성되어져 왔고 진행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사회에서 강점으로 여겨지는 것은 High/Scope프로그램이 영어교육에서 많이 사용됨에 따라 언어적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으로 그 효과성이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스스로의 생각을 영어로 이야기하면서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으며 High/Scope프로그램 특성상 교사와의 적극적인 의사소통도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교사의 교수법 또한 영어를 학습하는 것에 좋은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때문에 이어지는 단점은 한국 교육 프로그램과는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지금을 많이 변화를 하려는 추세지만 학교에 들어가려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이 교육의 한계점이라고 볼 수 있다. 오히려 외국어를 배울 때 아이들이 표현력이 좋아지는 현상을 보이는 것이다. 실제로 영어 수업과 다른 수업에서는 아이들의 학습태도가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영어는 High/Scope프로그램으로 적극적인 참여를 하는 아이들도 주어지는 문제만 해결해야하는 수업에서는 수동적으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주어지는 문제만 해결하면 되는 수업방식에서 창의력은 필요 없는 것이다. 오히려 이런 수업이 이후 아동이 경험하는 학교생활에서 주요 학습 모습이기 때문에 더욱 간과할 수 없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아이는 스스로 탐색하고 탐색하면서 발견하고 발전하는 것에 성취감을 충분히 가질 수 있으나 어른들이 보기에는 조금 느릴 수도 잘 못된 방법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모든 사람이 같은 방법으로 생각하는 것이 과연 정답일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새로운 창의성으로 접근할 수 있는 문제를 획일화된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우리나라 교육의 큰 틀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처음 발전하고 교육을 위한 기틀을 마련할 때에는 행동주의에서 말하는 교육법으로 교사가 일정한 목표를 제시하면서 교육에 대한 도전을 단계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은 많은 교육자가 나타났으며 학습에 대한 정보도 많이 나온 현 시점에서 어떤 교육자의 모습이 필요할지 생각해보아야하는 것이다. High/Scope프로그램처럼 학습자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창의성이 필요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에 적용되기에는 교육자들의 불안과 이전 세대에 학습자였던 부모의 불안이 충분히 다뤄지지 않았음을 볼 수 있다. 한 가지 문제에도 10가지 해결이 나올 수 있으며, 10가지 해결은 각기 다른 모습과 특성으로써 필요하다는 것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이은화, 이정환, 이경우, 이기숙, 홍용희, 박은혜, 김희진 (2003). 유아교육 개론.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이혜주 (1993). 유아교육 프로그램 유형이 아동의 학업성취, 사회 정서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결론
지금까지 High/Scope프로그램이 어떻게 형성되어져 왔고 진행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사회에서 강점으로 여겨지는 것은 High/Scope프로그램이 영어교육에서 많이 사용됨에 따라 언어적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으로 그 효과성이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스스로의 생각을 영어로 이야기하면서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으며 High/Scope프로그램 특성상 교사와의 적극적인 의사소통도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교사의 교수법 또한 영어를 학습하는 것에 좋은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때문에 이어지는 단점은 한국 교육 프로그램과는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지금을 많이 변화를 하려는 추세지만 학교에 들어가려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이 교육의 한계점이라고 볼 수 있다. 오히려 외국어를 배울 때 아이들이 표현력이 좋아지는 현상을 보이는 것이다. 실제로 영어 수업과 다른 수업에서는 아이들의 학습태도가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영어는 High/Scope프로그램으로 적극적인 참여를 하는 아이들도 주어지는 문제만 해결해야하는 수업에서는 수동적으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주어지는 문제만 해결하면 되는 수업방식에서 창의력은 필요 없는 것이다. 오히려 이런 수업이 이후 아동이 경험하는 학교생활에서 주요 학습 모습이기 때문에 더욱 간과할 수 없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아이는 스스로 탐색하고 탐색하면서 발견하고 발전하는 것에 성취감을 충분히 가질 수 있으나 어른들이 보기에는 조금 느릴 수도 잘 못된 방법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모든 사람이 같은 방법으로 생각하는 것이 과연 정답일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새로운 창의성으로 접근할 수 있는 문제를 획일화된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우리나라 교육의 큰 틀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처음 발전하고 교육을 위한 기틀을 마련할 때에는 행동주의에서 말하는 교육법으로 교사가 일정한 목표를 제시하면서 교육에 대한 도전을 단계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은 많은 교육자가 나타났으며 학습에 대한 정보도 많이 나온 현 시점에서 어떤 교육자의 모습이 필요할지 생각해보아야하는 것이다. High/Scope프로그램처럼 학습자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창의성이 필요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에 적용되기에는 교육자들의 불안과 이전 세대에 학습자였던 부모의 불안이 충분히 다뤄지지 않았음을 볼 수 있다. 한 가지 문제에도 10가지 해결이 나올 수 있으며, 10가지 해결은 각기 다른 모습과 특성으로써 필요하다는 것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이은화, 이정환, 이경우, 이기숙, 홍용희, 박은혜, 김희진 (2003). 유아교육 개론.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이혜주 (1993). 유아교육 프로그램 유형이 아동의 학업성취, 사회 정서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추천자료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B형]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C형]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A형]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A형]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C형)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정...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B형]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