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적 동기(욕구 갈증 배고픔 성행동 공격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리적 동기(욕구 갈증 배고픔 성행동 공격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생리적 동기

I. 욕구
1. 동기화 상태
2. 동질정체
3. 부적 피드백

II. 갈증
1. 내부 조절
2. 외부 영향

III. 배고픔
1. 내부 조절
2. 맛에 이끌리는 섭취 행동
3. 다양성의 효과
4. 비만과 외부 단서의 관계성

IV. 성 행동
1. 내부 요인(호르몬과 성적 동기)
2. 외부 요인
3. 다양성의 효과

V. 공격성
1. 내부 요인
2. 외부 요인
3. 학습의 영향
4. 문화와 인간의 공격성

* 참고문헌

본문내용

, 이 기간에는 에스트로겐(estrogen)이라는 여성 호르몬의 분비가 왕성해진다. 동물의 성 행동은 완전히 호르몬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호르몬이 분비되지 않으면 성 행동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인간의 경우에는 호르몬이 그다지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는다. 인간은 배란기 동안에만 성 관계를 가지는 것이 아니며, 자궁을 제거한다고 해서 성적 충동이 없어지는 것도 아니다.
2. 외부 요인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섭취 행동은 내부 요인뿐만 아니라 외부 요인의 영향도 받는다. 성 행동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페로몬(pheromone)이라는 냄새는 동물의 성 행동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와 유사한 외부 자극에 의해 인간의 성적 충동도 발생할 수 있다. 매력적인 여성을 본다거나 그런 사진을 보게 되면 남성은 발기 현상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의 경우 앞서 언급한 동물처럼 특정 자극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반응한다고 보기 힘들다. 왜냐하면 인간에게 성적 매력이라는 개념은 문화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어떤 사회에서는 여성이 날씬해야 매력적으로 보지만, 또 어떤 사회에서는 반대로 풍만한 여성을 매력적으로 본다. 그러므로 매력적인 여성이나 그런 사진을 보고 성적인 충동을 느끼는 현상은 특정한 문화 내에서 성장하면서 획득한 학습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3. 다양성의 효과
한 가지 음식보다 다양한 음식을 제공할 때 유기체의 섭취 행동은 증가한다. 다양성은 성 행동에도 유사한 영향을 미친다. 어떤 종의 경우, 성적 활동의 대상이 바뀌지 않을 때보다 다양하게 바뀔 때, 그들의 성적 활동 수준이 높아진다. 이러한 현상을 쿨리지 효과(Coolidge effect)라고 한다.
쿨리지 효과는 인간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다. 과거 태평양 군도를 지배한 식민정부가 첩을 금지시키자, 아내에 대한 남성의 성적 관심이 저하되었다(Davenport, 1965). 또한 미국 성인의 경우 많은 사람이 성교를 하면서 성적 흥분감을 고조시키기 위해 상상을 한다는 보고가 있는데, 주로 옛 애인이나 가상의 매력적인 여성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Tavris & Sadd, 1977).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다양성은 인간의 성 행동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V. 공격성
1. 내부 요인
어떤 종의 공격성과 성 행동은 서로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둘을 한 종류의 동기로 볼 수도 있다. 사슴은 교미할 시기가 되면 수컷의 경우 안드로겐(androgen)이 분비되어 성 행동과 공격적 행동을 동시에 유발한다. 안드로겐은 성적 행동뿐만 아니라 공격적 행동도 유발하는 내부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더구나 많은 종에서 사춘기 이전에는 공격적 행동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사춘기 이후의 공격적 행동도 암컷보다는 수컷이 더 많이 한다는 사실에서 남성 호르몬이 공격적 행동을 유발하는 내부 요인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인간의 공격적 행동도 어느 정도는 호르몬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과격한 범죄를 더 많이 저지른다는 것은 명백하며(Brain, 197, 남성에게서 공격성과 테스토스테론 수준 간의 상관관계는 놀라울 정도로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Persky, Smith, & Basu, 1971; Kreuz & Rose, 1972). 또 다른 실험에서는 약물치료를 통하여 테스토스테론의 수준을 낮추었을 때, 공격적 행동도 그에 따라 감소하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Money et al., 1975).
2. 외부 요인
공격적 행동은 내부 요인에 의해서만 유발되는 것이 아니다. 성적 행동과 마찬가지로 공격적 행동도 외부 자극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모이어(Moyer, 1976)는 공격적 행동을 유발하는 수많은 자극을 파악하여, 그 자극에 따라 공격적 행동을 유형별로 구분하였다. 육식동물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공격적 행동 중의 하나는 사냥감을 보았을 때 나타나는 공격적 행동(Predatory aggression)이다. 이러한 행동은 배가 고프지 않은 상태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고 한다. 다른 형태의 공격적 행동은 유기체가 혐오적인 자극을 받았을 때 보이는 공격적 행동(Irritable aggression)이다. 한 쌍의 쥐에게 고통스러운 전기 자극을 주면 서로 공격적 행동을 보인다(Azrin, Hutchinson, & McLaughlin, 1965). 인간에게서도 이와 유사한 공격적 행동이 나타난다고 한다. 또 하나의 공격적 행동은 모성적 공격 행동(Maternal aggression)이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공격성의 정도가 높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모성적 공격 행동은 특이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쥐나 토끼의 암컷이 임신 증이거나 새끼에게 젖을 먹일 때 수컷이 접근하면, 암컷은 수컷을 공격한다(Svare, 1983).
3. 학습의 영향
많은 종에서 공격적 행동은 학습되지 않은 본능적 행동이다. 그러나 이러한 본능적 공격 행동도 경험을 통해 면할 수 있다. 고양이가 쥐와 어릴 때부터 함께 성장하면 쥐를 공격하지 않고 오히려 보호해 준다고 한다. 반대로 다른 고양이나 쥐와 함께 성장하지 않고 고립된 상황에서 혼자 성장한 고양이는 쥐를 보는 즉시 죽인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해 동물의 공격적 행동도 학습의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4. 문화와 인간의 공격성
성 행동과 마찬가지로 공격성도 경험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인간에게 문화는 공격적 행동을 일으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또 공격적 행동이 나오는 경우 그 표출 형태를 결정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가격3,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9.01.29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85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