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족관계
I. 성공적인 부부관계
II. 부부관계의 해체: 이혼
III. 부모-자녀관계
1/ 부모-자녀관계의 특성
2/ 갈등적인 부모-자녀관계의 유형
* 참고문헌
I. 성공적인 부부관계
II. 부부관계의 해체: 이혼
III. 부모-자녀관계
1/ 부모-자녀관계의 특성
2/ 갈등적인 부모-자녀관계의 유형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순종적이고 의존적인 자녀는 이러한 부모와 원만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부모의 지시를 일방적으로 따르는 자녀는 자기정체감이나 자율성에 있어서 미숙한 상태에 머무르게 되며 부모의 삶을 대신 살아주는 셈이 된다. 부모의 방향 제시나 지원이 중단되는 미래의 상황에서 무력감과 혼란에 빠질 수 있다. 이런 유형의 자녀 중에는 강하고 지배적인 부모에게 곁으로는 대항하지 못하지만 수동 저항적인 태도를 지니고 여러 가지 상황적인 이유를 핑계로 부모의 뜻에 반하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또 다른 유형의 자녀는 이러한 부모의 요구적이고 통제적인 태도에 정면으로 저항하는 자녀들이다. 이런 경우에는 부모와 자녀 사이에 노골적인 갈등이 생겨난다. 극단적인 경우에 부모는 경제적 지원의 중단이나 부모-자녀관계의 종식 등으로 위협하게 되고 자녀는 가출 등의 저항방법을 택하기도 한다.
둘째는 자녀에 대해 방임적이고 무관심한 부모들이 있다. 이러한 부모는 경제적 또는 정서적으로 자녀를 지원하는 일에 무관심하거나 무력한 부모들이 많다. 자신의 사업이나 업무 때문에 또는 부모간의 심한 갈등 때문에 자녀에 대해 관심을 기울일 만한 여력이 없는 부모도 있다. 이 경우 자녀들은 부모의 경제적 또는 심리적 지원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혼자서 자신의 생활을 영위해 나가야 하는 심한 부담감, 결핍감, 고독감을 느끼게 된다. 이런 자녀의 경우는 가족 밖의 인간관계가 더욱 중요하게 되며 만족스런 친구관계나 이성 관계를 형성하지 못할 경우에는 심한 우울과 혼란을 경험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부모의 간섭이 없기 때문에 자칫 무계획적이고 무질서한 방만한 생활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셋째는 자녀에 대해 지나치게 의존적인 부모이다. 가정의 의사결정이나 부양책임을 자녀에게 부여할 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지지나 위안을 자녀에게 기대하는 부모들이다. 이들은 자녀의 자율성을 최대한 허용하지만 대신 가족에 대한 역할과 책임을 과도하게 부여하고 기대하는 부모이다. 경제적으로 무능한 부모나 배우자에게서 좌절된 애정을 자녀에게서 보상받으려는 부모는 자녀에게 많은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자녀는 부모를 경제적으로 또는 심리적으로 부양해야 하는 위치에 서게 되어 부모에 대한 책임으로 심리적인 부담을 안게 된다. 이러한 자녀는 자유로운 사회활동이나 진로탐색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그러나 부모의 지시를 일방적으로 따르는 자녀는 자기정체감이나 자율성에 있어서 미숙한 상태에 머무르게 되며 부모의 삶을 대신 살아주는 셈이 된다. 부모의 방향 제시나 지원이 중단되는 미래의 상황에서 무력감과 혼란에 빠질 수 있다. 이런 유형의 자녀 중에는 강하고 지배적인 부모에게 곁으로는 대항하지 못하지만 수동 저항적인 태도를 지니고 여러 가지 상황적인 이유를 핑계로 부모의 뜻에 반하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또 다른 유형의 자녀는 이러한 부모의 요구적이고 통제적인 태도에 정면으로 저항하는 자녀들이다. 이런 경우에는 부모와 자녀 사이에 노골적인 갈등이 생겨난다. 극단적인 경우에 부모는 경제적 지원의 중단이나 부모-자녀관계의 종식 등으로 위협하게 되고 자녀는 가출 등의 저항방법을 택하기도 한다.
둘째는 자녀에 대해 방임적이고 무관심한 부모들이 있다. 이러한 부모는 경제적 또는 정서적으로 자녀를 지원하는 일에 무관심하거나 무력한 부모들이 많다. 자신의 사업이나 업무 때문에 또는 부모간의 심한 갈등 때문에 자녀에 대해 관심을 기울일 만한 여력이 없는 부모도 있다. 이 경우 자녀들은 부모의 경제적 또는 심리적 지원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혼자서 자신의 생활을 영위해 나가야 하는 심한 부담감, 결핍감, 고독감을 느끼게 된다. 이런 자녀의 경우는 가족 밖의 인간관계가 더욱 중요하게 되며 만족스런 친구관계나 이성 관계를 형성하지 못할 경우에는 심한 우울과 혼란을 경험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부모의 간섭이 없기 때문에 자칫 무계획적이고 무질서한 방만한 생활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셋째는 자녀에 대해 지나치게 의존적인 부모이다. 가정의 의사결정이나 부양책임을 자녀에게 부여할 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지지나 위안을 자녀에게 기대하는 부모들이다. 이들은 자녀의 자율성을 최대한 허용하지만 대신 가족에 대한 역할과 책임을 과도하게 부여하고 기대하는 부모이다. 경제적으로 무능한 부모나 배우자에게서 좌절된 애정을 자녀에게서 보상받으려는 부모는 자녀에게 많은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자녀는 부모를 경제적으로 또는 심리적으로 부양해야 하는 위치에 서게 되어 부모에 대한 책임으로 심리적인 부담을 안게 된다. 이러한 자녀는 자유로운 사회활동이나 진로탐색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가족문제에 관한 고찰
[노년기 가족관계] 노년기(노인)의 부부관계, 부모자녀관계, 형제 및 친척관계
가족의 인간관계 (가족관계, 부모자녀관계, 형제자매관계, 부부관계, 가정폭력, 동반자적 부...
[인간발달 공통] 성인 중기 부부관계 및 부모-성인자녀관계의 특성을 설명한 뒤, 100세 시대...
성인 중기 : 방통대인간발달, 방송대인간발달, 성인 중기, 부부관계 , 성인자녀관계, 100세...
가족관계론_가족관계의 특성에 대해 정리하고, 현대사회의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를 비교...
재혼가족의 가족관계(재혼가족의 부부관계, 부모-자녀관계, 형제자매관계)
중년기의 가족관계(중년기 부부관계 및 부모자녀관계)
[가정에서의 인간관계(Human Relations)] 부부관계, 부모-자녀관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