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 청교도 운동 정의 역사적 배경 청교도 운동 분류 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회사] 청교도 운동 정의 역사적 배경 청교도 운동 분류 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을 판단하고 정죄하는 기준으로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는 배타 주의적 경향을 가진다는 것이다. 신앙고백으로 타협하지 않는 것이 지나쳐서 남과 화해하지 않고 자신의 신앙스타일과 조금만 달라도 이단시하거나 사이비로 정죄함으로써 교회분열을 조장한 면이 분명 크다고 할 수 있다.
넷째로 지성적 요소는 강조하지만 감성적 요소는 배제하는 신앙이라는 것이다. 지성적 신앙고백을 강조함으로 민중들 속에 신앙부흥을 일으키는 감성적 요소가 없었다. 따라서 18세기 영국에서는 청교도주의가 영향력을 나타내지 못하는 광부와 온부와 노동자들 속에 감리교의 경건 주의적 감성적 신앙운동이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5. 나오면서
청교도인들의 거듭나고자 하는 삶의 자세, 그리고 자신의 삶과 신앙을 별개로 보지 않았다는 점은 분명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이다. 또한 그들이 거듭남을 위해 생활에서 노력을 아끼지 않았던 점과, 높은 도덕적 삶을 추구한 면은 분명 지금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더 몇 가지 의문점을 지울 수가 없었다.
분명 청교도 운동은 도덕적 생활을 강조한 운동이었다. 하지만 현재에 있어 청교도 정신에 기초하여 출발한 미국에서 도덕적인 생활을 강조하는 모습보다는 근본주의적이고 오만한 모습이 뚜렷이 보이는 것은 왜일까?
물론 청교도 운동이 배타적 요소를 가진 것이라는 것은 주지하고 있는 사실이지만, 단지 그것만 가지고는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힘들었다.
그래서 우리는 이것을 예정론과 결부시켜 생각해 보았다. 예정론은 자신이 구원받은 것을 확신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열심히 일하고 신앙에 충실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이러한 예정론에 기초한 청교도주의는 거듭남을 위해 실천을 더욱 강조하였다.
그렇다면 청교도주의의 깊은 내면에는 자신의 구원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불안과 공포가 내재되어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물론 청교도주의가 불안과 공포로 시작된 운동은 결코 아니다. 하지만 예정론을 강조한 그들의 사상 구조 자체로 볼 때, 청교도주의는 불안과 공포가 내재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런 맥락에서 본다면 청교도인들이 불안과 공포를 해소하기 위해, 자신의 의에 확신을 가지기 위해 더 배타적이고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인정하지 않으려 할 가능성도 높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질문은 그들이 과연 영국을 떠나서 새로운 신정 국가를 세우려고 한 것 자체에 대해 고민을 해보았다. 예수께서는 우리에게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되라고 하셨다. 이 말씀은 어지럽고 부패한 세상에서 그리스도인으로서 사는 것을 포기하지 말라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당시 영국의 정치적 상황이나 종교적 상황이 어려운 현실에 있다고 할지라도 영국에 남아서 그들의 소명을 계속 실천했어야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물론 그들이 생각하기에 그들 자신의 소명은 이 땅 위에 그리스도의 통치가 이루어지는 신정국가를 세우기 위해 신대륙으로 건너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것이 절대적으로 옳은 선택이었는가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고민해 보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1.26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88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