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신체발달(태아기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신체발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의 신체발달(태아기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신체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태아기
1. 배아기
2. 태아기

II. 신생아기
1. 신체의 크기
1) 신장과 체중
2) 머리
2. 뇌와 신경계
1) 모로반사
2) 목강직반사
3) 파악반사
4) 바빈스키반사
5) 근원반사, 흡인반사, 연하반사
6) 수영반사
7) 영속적 반사
8) 걷기반사
3. 호흡계
1) 코
2) 인두
3) 흉부
4. 감각기관의 발달
1) 시각발달
2) 청각발달
3) 미각발달
4) 후각발달
5) 촉각발달

III. 영아기
1. 신체의 크기
1) 신장과 체중
2) 두부
2. 골격과 근육
1) 흉부
2) 복부
3) 피부와 머리털
4) 골격
5) 근육

IV. 유아기
1. 신장, 체중의 발육
2. 뇌발달
3. 신체의 발육에 영향을 주는 요인

V. 아동기
1. 신체의 크기
2. 신체적 비율
3. 골격과 치아의 발달
4. 기타 신체기관의 발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의 골격은 연골상태가 대부분이며 점차적으로 청년기까지 장골이 가장 늦게 화골화가 되어진다. 생후 1년 동안에 화골화된 족근골은 2-4개, 수근골(hand & wrist)은 0-2게가 된다. 화골화(calcification)는 여아가 남아보다 빠른 편이며 개인차도 심하고 백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 즉 손과 손목뼈는 다른 부위의 백보다 일적 화골화되며 1세 때에는 거의 성인과 비슷하다.
유치(milk teeth)의 발육은 영아의 화골화 작용을 나타낸다. 치아의 생성은 태아기에서부터 형성되며 치아의 발생은 출생 후 6-8개월에 나타나는 것이 정상이다. 백와 같이 치아도 여아가 빠르다.
(5) 근육
근육섬유 수는 출생 시 성인이 가지고 있는 것을 다 가지고 있다. 그러나 조직의 섬유수의 크기나 길이는 작다. 근육발달의 방향은 두미법칙에 의존하여 머리부분의 근육에서 꼬리부분의 근육으로 그 섬유수의 크기와 길이, 기능이 발달한다.
영아는 1세까지 골격근이 완전한 기능을 할 수 있을 만큼 발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신체활동에 피로를 랄리 느끼고 또한 회복도 쉽게 된다. 또한 근육의 종류에 따라서 성장속도가 다르며 근육의 신체비율은 남아가 여아보다 크다.
IV. 유아기
1) 신장 체중의 발육
유아기의 신체적 발육은 영아기에 이어서 현저하며, 6세 때는 생후 한 살 때의 체중의 약 두 배가 되고 신장은 약 1.5배가 된다. 신장은 탄생시의 약 2배쯤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뇌발달
신생아의 뇌의 중량은 체중의 10%쯤인데 그것은 성인 뇌의 중량의 약 25% 정도이다. 그런데 H. Vierordt의 연구에 의하면 위의 그림과 같이 4~5세 때에는 성인의 약 80%, 6세 때에는 약 90%에 이른다.
3) 신체의 발육에 영향을 주는 요인
유아기에 있어서 신채의 발육을 저해하거나 또는 촉진시키는 조건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그 하나는 선천적 소질이지만, 이것은 영양, 운동, 휴식이나 수면 등에 의해서 제한된다. 다시 질병에 의해 방해되고, 그밖에 사회환경(도시와 농촌), 민족(의식주 생활의 차이), 계층(빈부의 차), 시대의 영향, 계절이나 기후의 영향, 정신적 부담 등을 들 수 있다.
V. 아동기
1) 신체의 크기
학령기 아동의 신체발달을 보면 남아가 평균 6변 동안에 신장이 113cm에서 136cm로 약 23cm쯤 자라며, 1변에 4cm 정도 자라는 셈이다. 보통 학령기 남아의 평균체중은 약 6년 동안 20에서 30kg로 증가하며 약 1년에 1.5kg~2kg 증가하여 총 10kg 정도의 증가를 보인다. 12세 경의 신장은 출생 시에 비해서 약 2. 8배, 체중은 약 8배가 된다.
흉위는 6세에서 57cm, 11세에는 66cm로 되어 9cm 정도 증가한다. 신장 체증 흉위는 여아도 남아와 비슷한 성장 속도를 유지하고, 모든 면에서 남아가 약간 우세하나 11세부터는 여아가 더 우세해진다.
이러한 현상은 여아들에게 있어서 급격한 성장률을 수반하는 사춘기의 변화가 남아보다 약 2년를 먼저 시작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따라서 초등학교 5-6학년이 되면 남아보다 더 많은 수의 여아들이 성장 속도가 갑자기 발리지는 것을 볼 수 있다.
2) 신체적 비율
아동기의 신체 구조를 보면 머리는 아직도 체격에 비해 큰 편이지만 안면의 면적은 전체 면적의 10%로 줄고 두뇌는 성인의 95% 정도가 된다. 영구치가 생겨나 턱이 더욱 길어지고 신속히 증대되는 부비강의 성장으로 코도 커져 유아기의 귀여운 모습은 사라지고 보기 싫게 된다.
소위 미운 7살이란 말이 있듯이 개구쟁이가 되는데, 신체적 외양이 보기 설게 되는 이유는 영구치가 나기 시작하여 이가 없기 때문이며 머리털이나 솜털이 억제되고 또한 손질을 하지 않으며, 외모에 무관심하고 청결에 대하여 반항적 태도가 있어 지저분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남아는 여아에 비해 이러한 경향이 더욱 심하다.
3) 골겨과 치아의 발달
초기 학령기까지 대부분의 골화중추(occification center)가 형성된다. X-ray 소견에 의한 골화중추의 크기와 모양에 의해서 뼈의 성숙도를 측정할 수 있다.
사춘기에 이르면 골화중추와 인접된 뼈 사이의 거리가 차츰 좁아져서 특히 골단과 장골(ilium)의 종축(shaft)과의 융합이 나타나게 되어 어떤 백에서는 성장이 멈춘다. 때로는 뼈의 성장이 근육의 성장보다 빠를 때가 있는데, 이러한 일은 성장 속도가 빠른 아동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아동에서는 근육통이 밤에 잘 초래되는데, 이는 근육이 새로운 골격의 크기에 미치려고 하는 근육성장기 골통(growing pain)이다.
6살을 전후해서 제1 대구치가 나오며 유치 제2 대구치 뒤에 자리 잡는다. 다른 영구치들은 대부분 유치가 난 순서대로 영구치로 교대하여 그 자리에 나온다. 대부분의 아동들은 제2, 제3 대구치를 제외하고 모든 영구치를 갖게 된다.
IV. 기타 신체기관의 발달
신경계의 발달을 보면 6세경에 뇌중량은 성인의 90%에 달하고, 12세경에는 95%에 이르며, 거의 성인의 수준에 달한다. 임파선은 이 시기에 최대의 크기로 증대되어 큰 편도선을 가지고 있다. 생식기관은 별로 발달하지 않아 아동기를 성적 중성기라고 한다. 심장은 7세 때에 출생 시의 4~5배가 되고 12세 경에는 7배에 이른다.
출생 시의 심장은 체중에 대한 비율이 일생 중 가장 무겁지만 사춘기 직전에는 이 관계가 반대로 되어 가장 가볍다. 폐는 10세까지 비교적 완만하게 발달하나 그 후는 급격히 발달한다.
유아의 위는 관상이며 용적이 적으나 학령기는 식사량이 늘고 위용적도 성인의 약 2/3에 달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3,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9.02.01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90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