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6가지 산업활동과 관리활동
II. 경영관리의 일반원칙
1. 분업
2. 권한과 책임
3. 규율
4. 명령의 통일성
5. 방향의 통일성
6. 개인의 전체이익에 대한 종속성
7. 보상
8. 집권화
9. 계층사슬
10. 질서
11. 공평성
12. 지위의 안정성
13. 주도성
14. 단결심
* 참고문헌
II. 경영관리의 일반원칙
1. 분업
2. 권한과 책임
3. 규율
4. 명령의 통일성
5. 방향의 통일성
6. 개인의 전체이익에 대한 종속성
7. 보상
8. 집권화
9. 계층사슬
10. 질서
11. 공평성
12. 지위의 안정성
13. 주도성
14. 단결심
* 참고문헌
본문내용
람의 지휘자와 하나의 계획만을 가져야 한다. 네 번째 원칙과 다른 점은, 이 원칙이 '사람들'보다는 '조직'에 관계된다는 점이다.
6. 개인의 전체이익에 대한 종속성
각 개인의 이익은 전체이익에 종속하여야 하며, 두 사람의 의견이 다를 때는 경영자는 그들을 조정해야 한다.
7. 보상
보상과 지급방법은 공정하여야 하며, 또한 고용자와 고용주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만족을 주어야만 한다.
8. 집권화
권한의 집중화란 용어를 쓰지 않았으나, 권한의 집중 및 분산 정도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개인적 상황은 '전반적으로 최선의 이익을 남을' 정도를 결정한다.
9. 계층사슬(scalar chain)
페이욜은 이것을 최고 지위에서부터 최저 지위까지의 상위자의 사슬로서 생각하였다. 불필요하게 이것으로부터 벗어날 필요는 없으나, 이것을 따르는 것이 정말 해가 된다면 이 사슬을 짧게 하여야 한다.
10. 질서
그는 질서를 '물질적 질서'와 '사회적 질서'로 나누고, "모든 사물(사람)에게는 그 자리가 있고 또 그 자리에 놓여야 한다."라는 단순한 격언을 따랐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사람과 사물의 배치에 있어서 조직화의 원칙을 의미한다
11. 공평성
경영자의 입장에서 부하를 다를 때는, 친절과 정당성으로써 그들의 충성심과 헌신을 끌어내야 한다.
12. 지위의 안정성
불필요한 인사이동이 나쁜 경영관리의 원인과 결과가 된다는 것을 발견하고, 페이욜은 그 위험성과 비용을 지적하였다.
13. 주도성
그는 주도성(initiative)을 계획의 입안과 실행으로 보았다. 이것은 지식인이 경험하는 가장 예민한 만족이므로, 페이욜은 경영자들에게 부하들이 그것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라고 권유하였다.
14. 단결심
이것은 명령의 통일성 원칙의 확장일 뿐 아니라, "단결하면 힘이 생긴다."라는 원칙이며, 팀워크의 필요성과 이것을 얻는 데 있어서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6. 개인의 전체이익에 대한 종속성
각 개인의 이익은 전체이익에 종속하여야 하며, 두 사람의 의견이 다를 때는 경영자는 그들을 조정해야 한다.
7. 보상
보상과 지급방법은 공정하여야 하며, 또한 고용자와 고용주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만족을 주어야만 한다.
8. 집권화
권한의 집중화란 용어를 쓰지 않았으나, 권한의 집중 및 분산 정도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개인적 상황은 '전반적으로 최선의 이익을 남을' 정도를 결정한다.
9. 계층사슬(scalar chain)
페이욜은 이것을 최고 지위에서부터 최저 지위까지의 상위자의 사슬로서 생각하였다. 불필요하게 이것으로부터 벗어날 필요는 없으나, 이것을 따르는 것이 정말 해가 된다면 이 사슬을 짧게 하여야 한다.
10. 질서
그는 질서를 '물질적 질서'와 '사회적 질서'로 나누고, "모든 사물(사람)에게는 그 자리가 있고 또 그 자리에 놓여야 한다."라는 단순한 격언을 따랐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사람과 사물의 배치에 있어서 조직화의 원칙을 의미한다
11. 공평성
경영자의 입장에서 부하를 다를 때는, 친절과 정당성으로써 그들의 충성심과 헌신을 끌어내야 한다.
12. 지위의 안정성
불필요한 인사이동이 나쁜 경영관리의 원인과 결과가 된다는 것을 발견하고, 페이욜은 그 위험성과 비용을 지적하였다.
13. 주도성
그는 주도성(initiative)을 계획의 입안과 실행으로 보았다. 이것은 지식인이 경험하는 가장 예민한 만족이므로, 페이욜은 경영자들에게 부하들이 그것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라고 권유하였다.
14. 단결심
이것은 명령의 통일성 원칙의 확장일 뿐 아니라, "단결하면 힘이 생긴다."라는 원칙이며, 팀워크의 필요성과 이것을 얻는 데 있어서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소개글